공무원 인식과 조직행태

도서명:공무원 인식과 조직행태
저자/출판사:박순애,나혜영,손지은,이동성,이영미,이혜연,최성주,최/박영사
쪽수:396쪽
출판일:2023-10-20
ISBN:9791130318585
목차
제1장 공무원 성과평가의 오해와 진실
Ⅰ. 지위특성에 따른 성과 차이, 실제로 나타나는가?
Ⅱ. 연구설계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2장 포스트 코로나와 인공지능 시대의 공무원 인식
Ⅰ. 코로나 19로 인한 행정환경 변화와 그에 대한 부정적 효과 인식
Ⅱ. 비대면 근무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인식
Ⅲ. 인공지능 기술, 그에 따른 변화와 공무원의 인식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3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규제개혁
Ⅰ. 규제개혁의 영향요인
Ⅱ. 분석자료 및 측정변수
Ⅲ. 분석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4장 성과관리의 역설: 성과측정과 왜곡행태
Ⅰ. 이론적 논의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5장 피드백과 성과등급: 목표 명확성과 자율성의 효과
Ⅰ. 성과피드백의 효과
Ⅱ.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Ⅲ. 모형 및 실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6장 성과중심 보상제도와 공공봉사동기의 구축효과
Ⅰ. 공공봉사동기와 성과
Ⅱ. 연구 설계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7장 업무특성에 따른 성과보상제도의 효과성
Ⅰ. 성과보상의 효과
Ⅱ. 연구설계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8장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인식차이와 성과관리
Ⅰ. 성과관리의 효과성: 조직성과 영향요인
Ⅱ. 연구설계
Ⅲ. 분석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9장 공직 채용제도와 조직 효과성
Ⅰ. 경력경쟁채용과 성과
Ⅱ. 연구설계
Ⅲ. 분석 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10장 젠더와 리더십 유형 선호도
Ⅰ. 공공 부문 조직에서의 거래적 및 변혁적 리더십
Ⅱ. 연구 설계: 열거식 실험
Ⅲ. 분석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제11장 공공관리자의 의사결정: 위험선택과 조직성과
Ⅰ. 조직성과와 의사결정 간의 관계
Ⅱ. 공공관리자의 위험선택 의사결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제12장 대통령제 정부의 장관 리더십과 관료의 평가
Ⅰ. 대통령제 정부에서 장관 리더십
Ⅱ. 장관 리더십과 정책 분야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13장 일선 관료의 행태와 개혁의 동인
Ⅰ. 일선 관료와 정책 변경 이행
Ⅱ. 연구 설계: 설문 실험
Ⅲ. 분석결과
Ⅳ. 연구의 의의 및 한계
부 록 공공부문 성과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소개
Ⅰ. 개요
Ⅱ. 조사방법 및 표본설계
Ⅲ. 연도별 조사내용
Ⅳ. 연도별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