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간선거 분석

도서명:미국 중간선거 분석
저자/출판사:정진민,서정건,임성호,이소영,이수훈,이종곤,이병재,이/박영사
쪽수:280쪽
출판일:2023-10-20
ISBN:9791130318523
목차
제1장 2022년 미국 중간선거와 주요 선거요인 (정진민)
I. 서론 ..... 2
Ⅱ. 정당분극화와 선거효과 ..... 5
Ⅲ. 트럼프 효과 및 공화당 후보 요인 ..... 9
Ⅳ. 이슈 요인 ..... 12
1. **** 이슈 ..... 12
2. 인플레/경제 이슈 ..... 16
Ⅴ. 교외 거주 유권자 ..... 19
Ⅵ. 라티노 유권자 ..... 22
Ⅶ. 무당파 유권자 ..... 27
Ⅷ. 결론 ..... 30
참고문헌 ..... 34
제2장 바이든과 민주당은 어떻게 선전했을까? (서정건)
I. 서론: 바이든 전반 2년과 중간선거 ..... 38
II. 2022년 미국 중간선거 분석: 유권자 차원 ..... 42
1. 미국 유권자들의 정치적 경각심 변화 가능성 ..... 42
2. 유권자들이 체감하는 경제 지표의 타이밍 문제 가능성 ..... 46
III. 2022년 미국 중간선거 분석: 선거 차원 ..... 48
1. 사전 투표 제도 확대와 정당별 유불리 가능성.........48
2. 양극화 시대와 압승(참패) 부재의 선거 경쟁 가능성 ..... 50
IV. 2022년 미국 중간선거 분석: 의회와 정당 차원 ..... 54
1. 인플레이션 감축법 ..... 54
2. 반도체 과학법 ..... 58
V. 소결: 미국 민주주의와 경제안보 전망 ..... 62
참고문헌 ..... 66
제3장 순위선택투표(ranked choice voting)의 양극화 완충 효과? (임성호)
Ⅰ. 서론: 순위선택투표제는 위기 극복의 실마리일까? ..... 70
Ⅱ. 이론: 순위선택투표제는 무엇이고, 도입의 취지는 무엇인가? ..... 72
Ⅲ. 분석: 2022년 알래스카 선거에서 순위선택 투표제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 80
Ⅳ. 평가: 순위선택투표제는 정치 양극화의 완충제일까? ..... 87
Ⅴ. 전망: 순위선택투표제는 전국적 적실성을 띠고 확산될 수 있을까? ..... 94
Ⅵ. 결론: 선거제도의 변화와 지속성 ..... 97
참고문헌 ..... 100
제4장 중간선거 경합지역 사례분석과 정치적 함의 (이종곤)
I. 서론 ..... 106
II. 사례 분석: 경합 주 상원의원, 주지사 선거 결과 비교 ..... 109
1. 애리조나 사례 분석 ..... 113
2. 조지아 사례 분석 ..... 118
3. 캔자스 사례 분석 ..... 121
4. 네바다 사례 분석 ..... 125
5. 위스콘신 사례 분석 ..... 128
III. 결론 ..... 131
참고문헌 ..... 134
제5장 선거구 재획정, 게리맨더링, 인종 대표성 (이병재)
I. 서론 ..... 140
II. 미국의 선거구 재획정 ..... 142
1. 선거구 재획정의 목적 ..... 142
2. 선거구 재획정의 절차 ..... 146
3. 선거구 재획정 기준 ..... 148
4. 선거구 재획정의 역사적 추이 ..... 151
III. 2020년 인구 센서스와 선거구 재획정 과정 ..... 154
1. 인구 센서스에서 선거구 재획정으로 ..... 154
2. 선거구 재획정의 주도권 양상 ..... 155
IV. 선거구 재획정이 2022년 중간선거 결과에 미친 영향 ..... 159
1. 선거구 재획정 주도권 유형별 선거 결과 ..... 159
2. 경합 선거구의 선거 결과에 미친 영향 ..... 163
3. 주별 선거 결과 분석 ..... 166
4. 소수인종 대표성에 미친 영향 ..... 168
V. 결론 ..... 171
참고문헌 ..... 174
제6장 **** 이슈와 2022년 미국 중간선거 (이소영)
I. 서론 ..... 184
II. 미국의 주요 **** 관련 판결과 로 대 웨이드 판결무력화 ..... 186
1. 미국의 주요 **** 판결 ..... 186
2. 로 대 웨이드 판결 무력화 ..... 188
III. **** 이슈와 미국 정치 ..... 191
1. **** 이슈와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 ..... 191
2. **** 이슈의 복합적 정체성 ..... 192
IV. 2022 중간선거와 **** 이슈 ..... 195
1. **** 이슈를 둘러싼 양당의 전략 ..... 195
2. **** 이슈가 투표 참여와 투표 선택에 미친 영향 ..... 196
3. **** 이슈가 경합 주 선거에 미친 영향 ..... 202
V. 결론 ..... 212
참고문헌 ..... 216
제7장 2022년 미국 중간선거 이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이수훈)
I. 서론 ..... 224
II. 2022년 중간선거 결과 ..... 225
III. 중간선거 결과 이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변화 ..... 230
IV. 한미동맹에 대한 영향 및 발전 방향 ..... 232
V. 결론 ..... 234
참고문헌 ..... 236
제8장 2022년 중간선거에서 나타난 Z세대의 특성 (이현우)
I. 왜 세대인가 ..... 240
II. 유권자 구성의 변화 ..... 241
III. 2020년 선거에서 젊은 유권자 태도 ..... 245
IV. 2022년 출구조사 결과 ..... 249
V. Z세대의 연속성과 차별성 ..... 252
1. 이념분포와 정당소속감 ..... 252
2. 관심 이슈와 정당평가 ..... 256
3. 민주주의와 세대 ..... 259
VI. 요약 ..... 261
참고문헌 ..... 264
찾아보기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