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국경연구
도서명:백두산 국경연구
저자/출판사:서길수/여유당
쪽수:480쪽
출판일:2009-05-25
ISBN:9788992351119
목차
책머리에 • 12
첫째 마당 백두산과 역사적 국경
Ⅰ. 옛 조선‧삼국시대의 백두산과 국경 • 23
1. 옛 조선(朝鮮)의 단군과 태백산 • 27
2. 한나라 점령기의 이름, 백두산=불함산(不咸山) • 27
3. 고구려의 시조 추모(鄒牟)와 대백산(大白山)‧태백산(太白山) • 28
4. 고구려 때 삼국지와 위서(魏書)의 기록, 백두산=개마대산(蓋馬大山)‧도태산(徒太山) • 31
1) 삼국지와 후한서의 기록, 백두산=개마대산(蓋馬大山)
2) 위서와 수서의 기록, 백두산=도태산(徒太山)‧백산(白山)
5. 신라에도 대(태)백산이 있었다 • 34
6. '백두산'이란 낱말을 가장 먼저 기록한 책 '『삼국유사』' • 35
Ⅱ. 고려시대의 백두산 • 39
1. 고려-요 시대의 백두산 • 39
1) 고려시대 최초의 '백두산' 기록 -991년 성종 10년
2) 최초의 '장백산(長白山)' -『요사(遼史)』
3) 윤관의 선춘령(先春嶺) 국경비
2. 고려-금 시대의 백두산 • 50
3. 고려-원 시대의 백두산 • 56
Ⅲ. 조선-명나라 시기의 백두산과 국경 • 59
1. 조선-명나라 시기의 백두산 명칭 : 백산, 백두산, 장백산 • 60
2. 조선 왕조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 • 67
3. 조선 초 백두산과 명나라와 관계 기록 • 74
1) 태종 때 명나라가 백두산 북쪽에 사사(寺社)를 수축하였다.
2) 세종 때 명나라 관군이 백두산 동쪽에서 조선에 식량 지원을 요청하였다.
3) 명나라 매 사냥 사신에게 곡식 수송
4) 조선-명나라의 백두산
4. 조선 초 이후 여진과 백두산 • 81
1) 조선 초 여진에 대한 명나라와의 외교전
2) 4군 6진의 개척
3) 4군 6진 이후의 조선-여진 관계와 백두산
Ⅳ. 조선-청나라 시기의 백두산과 국경 • 90
1. 청나라와 백두산•90
2. 백두산 정계비의 설립 배경 • 93
3. 목극등과 접반사 일행의 15일 일정 • 95
4. 압록강 근원과 목극등 • 104
5. 정계비 설치와 토문강 문제 • 110
1) 경계비 설치의 전말
2) 명나라 『요동지(遼東志)』- 토문은 송화강이다.
3) 목극등의 행로 검토를 통해서 본 토문강
4) 한‧청 간 국경회담과 토문강
Ⅴ.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1908)과 청‧일 간도협약(1909) • 135
1. 1908년(광서 34년) 청나라의 백두산 전면 조사 동기와 진행 과정 • 137
1) 전면 조사의 동기
2) 조사 진행 과정과 결과물
2. 1908년 청나라가 날조한 한‧청 국경 • 145
1) 백두산정계비(穆石)와 십자정계비(十字界碑) 날조
2) 흙무지‧돌무지는 각라오목눌(覺羅吳木訥)이 쌓았다는 날조
3) 차령산맥 주변 산과 강의 작명과 역사 왜곡
4) 청나라가 날조한 압록강 쪽 국경
5) 청나라가 날조한 두만강 상류 국경
6) 한‧청 국경회담에서 대립된 '홍토수가 청의 발상지(發祥地)'라는 날조
3.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와 역사 왜곡의 계승 • 179
4. 1909년 간도협약 체결 과정과 내용 • 184
1) 간도협약 채결 과정
2) 간도협약 내용
5. '간도 문제'의 발생과 간도협약에 관한 국제법적 논의 • 188
1) '간도 문제'의 발생
2) 간도협약의 국제법적 논의
둘째 마당 1960년대 조‧중 국경조약에 대한 분석 연구
Ⅰ. 조‧중 국경조약의 체결 배경과 과정 • 135
1. 조‧중 국경조약 체결 배경 • 195
2. 조‧중 국경조약 체결 과정 • 197
1) 조‧중 국경 문제에 대한 회담기요(會談紀要)
2) 조‧중 국경조약
3) 조‧중 국경에 관한 의정서
Ⅱ. 조‧중 국경조약 분석(1) - 백두산 국경 • 203
1. 백두산 국경지도 제작 • 207
1) 정확한 좌표 값 산출
2) GPS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지도에 표시
3) 오차 수정 및 지도 작성
2. 천지를 양분하는 국경 분석 • 211
3. 천지에서 압록강까지의 국경 분석 • 213
1) 1호 국경 푯말
2) 2호 국경 푯말
3) 3호 국경 푯말
4) 4호 국경 푯말
5) 5호 국경 푯말까지의 국경
4. 천지에서 두만강까지의 국경 분석 • 222
1) 7호 국경 푯말
2) 8호 국경 푯말
3) 9호 국경 푯말
4) 10~13호 국경 푯말
5) 14호 국경 푯말
6) 15~18호 국경 푯말
7) 19~20호 국경 푯말
8) 21호 국경 푯말
Ⅲ. 조‧중 국경조약 분석(2) - 압록강과 두만강의 국경 • 237
1.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 안에 있는 섬과 모래섬의 귀속 • 237
1) 국경 강 기슭에 있는 섬과 모래섬에 대한 「국경조약」과 「의정서」의 규정
2) 압록강과 두만강의 섬과 모래섬에 대한 계량 분석
2. 압록강‧바다 국경선 • 245
3. 서해의 해상 분계선과 자유항행구역 • 250
4. 압록강과 두만강의 공유와 공동 관리 • 253
5. 국경의 유지 보호와 관리에 관한 협정 • 256
1) 덧붙인 지도에 대한 규정
2) 국경 경계 푯말의 관리에 관한 규정
3) 백두산 동쪽 산림지역에 관한 특별 시설
4) 「의정서」17조 : 강에 길을 고치거나 설치를 할 때의 조치
5) 「의정서」18조 : 연합검사에 관한 규정
Ⅳ. 1964년 「의정서」이후(1964~2003) 체결된 국경업무 조약 분석 • 261
1. 두만강 국경수역 경계선 획정 협정 • 261
1) 조‧중‧러 간 두만강 국경수역 경계선 획정 협정
2) 조‧중‧러 간 두만강 국경 교차지점에 관한 의정서
2. 상호 왕래 및 보안에 관한 협정 • 266
1) 조‧중 간 국경철도에 관한 협정(1976 체결, 1977년 발효)
2) 조‧중 간 국경 통과지점 및 그 관리제도에 관한 협정
3. 압록강과 두만강의 공동 이용에 관한 협정 • 270
1) 수력발전소 - 조‧중 압록강 수풍 수력발전공사(中朝鴨綠江水豊水電公司)
2) 양어사업 - 조‧중 간 수풍호 어족자원 공동 보호증식 및 이용에 관한 의정서
3) 뗏목을 통한 목재 운송
4. 두만강 경제개발 • 275
Ⅴ. 국경조약에 대한 논의와 역사적 의미 • 276
1. 한국의 '6‧25 참전 대가, 백두산 천지 할양설' 발생과 전개 과정 • 276
1) 교과서에 나온 백두산의 국경
2) 1980년대 백두산 문제의 대두
3) 1983년 한국 국회의 백두산 영유권에 관한 결의****제출과 백두산 할양설의 일반화
4) 학계의 백두산 천지 할양설
5) '6‧25 참전 대가, 백두산 천지 할양설'의 현황
2. 한국에서의 조‧중 국경조약 연구와 인식 • 289
1) 간접자료(다른 나라 지도와 현장 답사)를 통해서 알려진 조‧중 국경조약
2) 조‧중 국경조약의 발굴과 직접자료를 통한 새로운 연구의 시작
3. 조‧중 국경조약에 대한 평가 • 304
1) 1712년 청나라의 정계비와 조‧중 국경조약의 영토 득실
2) 1909년 간도협약과 조‧중 국경조약의 영토 득실
3) 조‧중 국경조약에 관한 학계의 평가
셋째 마당 새로운 국경사의 전개
- 중국의 다민족 통일국가론과 역사상 강역이론
Ⅰ. 1980년대 이전 중국의 강역이론과 주은래의 중국-조선 관계론 • 320
1. 현재 중국의 영토를 중심으로 한 강역이론 • 320
2. 주은래의 중국-조선 관계론 • 321
Ⅱ. 1980년 이후 중국의 새로운 역사 만들기와 국경 문제 • 325
1. 다민족 통일국가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장 • 325
2. 1980년대 국경 연구기관 및 티베트 연구기관 설립 • 327
1983년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 설립
1986년 티베트 전문 연구기관, 중국장학연구중심(中國藏學硏究中心) 설립
3. 1990년 이후 동북 국경의 귀속에 대한 본격적인 작업 • 330
1990년대 북부 국경(몽골)의 귀속에 대한 본격적인 작업
중국 동북지역 국경 문제의 본격적 연구
동북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 실시(2002~2007)
4.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중국 상고사 만들기 장기계획 • 331
하‧상‧주 단대공정(夏‧商‧周 斷代工程) (1996~2000)
중국고대문명탐원공정(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2000~2005)
2차 중화문명탐원공정과 요하문명론(遼河文明論) (2006~2010)
5. 2000년대 서북 국경 귀속을 위한 신강항목(新疆項目) (2005~현재) • 333
Ⅲ. 중국의 한‧중 국경사 연구의 새로운 잣대(paradigm) - 역사상 강역 • 335
1. 다민족 통일국가와 역사적 강역 • 335
2. 양소전(楊昭全)‧손옥매(孫玉梅)의 『중조 국경사(中朝邊界史)』와 역사적 강역 • 340
1) 『중조 국경사(中朝邊界史)』의 연구 과정과 내용
2) 원고(遠古)시대 중국 동북과 조선반도의 관계
3) 전국~남북조 시기의 중‧조 국경
4) 수~금 시기의 중‧조 국경
5) 원~청 초기 중‧조 국경
3. 한‧중 국경사의 새 잣대 - 역사적 강역 • 354
Ⅳ. 한국 학계의 역사적 영토이론 정립을 통한 대응논리 개발 시급 • 356
1. 고려시대 역사적 강역에 대한 논의 • 357
2. 조선시대 역사적 강역에 대한 논의 • 359
3. 한국의 국경 문제 의식과 대응전략 • 362
넷째 마당 부 록
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조약(번역문/원문) • 373
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단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단의 조‧중 국경 문제에 관한 회담기록(번역문/원문) • 385
Ⅲ.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조‧중 국경에
관한 의정서(번역문/원문) • 394
Ⅳ. 섬(島嶼)과 모래섬(沙洲) 귀속(歸屬) 일람표 • 439
Ⅴ. 주은래 총리의 조선-중국 관계 담화(번역문/원문) •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