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위대한 여정: 탄생·절정·현재

도서명:오페라의 위대한 여정: 탄생·절정·현재
저자/출판사:강지영 , 이용숙/모노폴리
쪽수:264쪽
출판일:2024-08-21
ISBN:9788991952850
목차
프롤로그
Ⅰ. 오페라의 탄생과 번성(1600-1800)
1. 이탈리아의 바로크 오페라
몬테베르디 〈오르페오〉(1607): 최초의 오페라, 신화를 노래하다
몬테베르디 〈포페아의 대관〉(1642): 최초의 사극 오페라, 역사를 무대에 올리다
페르골레시 〈마님이 된 하녀〉(1733): 최초의 희극 오페라가 된 막간극
2. 프랑스의 바로크 오페라
륄리 〈아르미드〉(1686): 프랑스 음악비극의 최고 걸작
라모 〈이폴리트와 아리시〉(1733): 프랑스 서정비극의 전통과 혁신
3. 영국의 바로크 오페라
퍼셀 〈디도와 에네아스〉(1689): 영국 바로크 오페라의 기념비적 작품
헨델 〈리날도〉(1711): 예술성과 대중성을 다 잡은 영국 오페라 최고의 흥행작
존 게이 〈거지 오페라〉(1728): 당대 사회와 음악계를 풍자하는 오페라
4. 18세기 모차르트 오페라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1786): 신분사회의 몰락을 예고하다
모차르트 〈돈 조반니〉(1787): 예술가의 독선과 오만을 투사하다
모차르트 〈마술피리〉(1791): 사람과 세상을 바꾸는 음악의 힘
Ⅱ. 오페라의 전성시대(1800 - 1900)
1. 관현악적 오페라와 벨칸토 시대
베토벤 〈피델리오〉(1805): 관현악적 오페라의 선구적 작품
로시니 〈세비야의 이발사〉(1816): 벨칸토 희극의 대표작
도니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1835): 벨칸토 비극의 대표작
2. 프랑스혁명과 산업화의 뒤****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1853): 19세기 파리의 코르티잔 문화
구노 〈파우스트〉(1859):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와 초기 자본주의의 명암
비제 〈카르멘〉(1875): 보헤미****라이프 스타일
3. 문학과 신화의 심리극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1865): ****스와 타나토스
차이콥스키 〈예브게니 오네긴〉(1879): 좌절된 혁명의 무력감
오펜바흐 〈호프만 이야기〉(1881): 로봇과의 사랑
4. 여성 캐릭터의 변화와 베리스모 오페라
마스네 〈마농〉(1884): 시대를 선취한 낭만주의적 사랑
마스카니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1890): 오페라 무대 위 피의 복수
푸치니 〈토스카〉(1900): 외침과 절규의 음악화
Ⅲ. 오페라의 현재와 미래(1900- 현재)
1. 낭만의 끝자락에서 혼돈의 시대로
드뷔시 〈펠레아스와 멜리장드〉(1902): 신비하고 모호한 음악으로 그려낸 사랑과 질투
R. 슈트라우스 〈살로메〉(1905): 세기말적 징후와 모던한 예술세계의 교차
푸치니 〈일 트리티코〉: 낭만주의와 사실주의의 결합
2. 20세기 초반: 오페라의 모더니즘, 모던 오페라의 탄생
베르크 〈보체크〉(1922/1925): 무조음악으로 표현된 현대인의 초상, 모던 오페라의 시작
바일 〈마하고니 시의 번영과 몰락〉(1930): 21세기 사회를 예견하는 서사극적 오페라
쇼스타코비치 〈므젠스크의 멕베스 부인〉(1934): 러시아 사회의 극적-음악적 반영
3. 20세기 후반: 오페라의 다양한 변주들
브리튼 〈한여름 밤의 꿈〉(1960): 조성과 다채로운 음색으로 표현되는 환상적 세계
침머만 〈군인들〉(1965): 새로운 형식으로 시도되는 현대 오페라
아담스 〈닉슨 인 차이나〉(1987): 역사적 사건을 무대로 가져온 포스트미니멀리즘 오페라
4. 21세기 초반: 오페라의 변화와 확장
사리아호 〈멀리서 온 사랑〉(2000): 사랑에 대한 21세기 현대오페라의 고찰
진은숙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07): 복잡한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자아 정체성 찾기
최우정 〈1945〉(2019): 한국 오페라의 새로운 지평을 연 걸작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