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사. 1
도서명:신세계사. 1
저자/출판사:쑨룽지/흐름출판
쪽수:632쪽
출판일:2020-01-20
ISBN:9788965963578
목차
통섭역사학으로서의 『신세계사』 _최재천(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변혁의 시대, 새로운 세계를 여는 역사를 읽다 _강인욱(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문: 『신세계사』의 새로움
한국어판 서문: 공동으로 직면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제1장 지구의 역사와 선사시대의 인류
대지의 형성 | 생물권의 대변천사 | 사람과에서 인류의 위치 | 인류의 시초에 대해 명확히 말할 수 있을까 | 구석기시대에도 많은 논쟁거리가 존재한다
제2장 ‘4대 문명 고국’이라는 기존의 틀을 깨다
낡은 개념 | 돌파 · 혁신 · 발명으로 문명의 기원을 정의하다 | 환메소포타미아 유역의 산측 지대 | 구석기시대 말기에서 신석기시대로의 돌파 | 신석기 문화의 무토기 시기와 유토기 시기 | 요르단 이스라엘 고지와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상류의 접합지 | 오늘날 터키 선사시대 유적지와 환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관련성 | 환메소포타미아 유역 산측 지대의 동쪽 날개 |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유역 문명의 서광 | 고대 서남아시아의 문명 기원 모델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지니는가 | 농경 문명과 방목 문명인 이집트 | 환아라비아 유목-방목 복합 지대 | 2차 생산물 혁명 | 환아라비아 유목-방목 복합 지대의 2차 생산물 혁명 | 2차 생산물 혁명이 중국에서는 어떤 형태를 취했나 | 문명 고국 인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서반구에는 적용되지 않는 ‘대하 유역 문명’이라는 개념
제3장 재차 기초를 다진 고대 인도 문명
인더스강 유역 문명의 지리적 · 시간적 계통 | 산측에서 충적평야로 | 인더스강 유역의 도시혁명 | 인더스강 유역 고대 문명과 영향을 주고받았던 주변 지역 | 인더스강 유역 문명의 특징 | 인더스강 유역의 고대 문명은 누가 세운 것일까 | 인도가 아리아인의 본향이라는 설 | 아리아인 전입의 미스터리 | 아리아인의 도래보다 더 근본적인 변혁 | 인도의 지리적 · 역사적 판도 | 인도 문명의 토대가 동쪽으로 이동하다 | 물과 불이 동시에 용납되다 | 추가적인 관찰
제4장 중국 문명의 기원에 관한 몇 가지 문제
4대 우상에 가려진 중국 문명의 기원 탐색 | 의고파의 공헌과 함정 | 황토 지대의 신화 | 다중심론인가, 뭇별이 달을 에워싼 것인가 | 양사오는 중국 신석기 전성기의 중앙 표준시간대 | 룽산은 중국 후기 신석기시대의 중앙 표준시간대 | 떠나지 않는 대중앙주의의 망령 | 중국의 삼대와 서양의 삼대 | 중국 문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정설이 없다 | 중국 문명 기원론에 대한 도전
제5장 중남아메리카의 고대 문명
인류는 언제 서반구로 진입했을까 | 서반구에서 이루어진 인간 · 시간 · 공간의 상호작용의 제약과 특징 | 지구가 빙하기에서 벗어나고 인류가 구석기시대에서 벗어나다 | 신대륙에서의 농목업을 향한 과도기 | 중앙아메리카의 선사시대에서 문명으로의 과도기 | 올멕은 중앙아메리카 문명의 어머니인가 | 중앙아메리카의 고전기 | 중앙아메리카의 후고전기 | 안데스 문명 스케치
제6장 오세아니아의 문명
대양을 따라 꽃망울을 터뜨린 남도어족 | 타이완이 남도어족의 본향인가 | 남양 해역을 우선 지나가다 | 태평양 진입의 발판이었던 뉴기니 | 태평양 심장에 자리한 폴리네시아 | 홀시된 미크로네시아
제7장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유역 고대 문명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수메르인이 최초로 기초를 닦은 이들일까 | 설형문자와 『수메르 왕명표』 | 초기 왕조 스케치 | 수메르의 전국 시대와 아카드의 통일 | 수메르의 부흥기, 우르 제3왕조 | 아모리인과 셈어족 | 아모리 왕국들과 바빌론제국 이전 | 수메르-아카드-바빌론의 신 | 『길가메시』 서사시 | 메소포타미아 고대 문명의 숫자 체계, 천문, 역법
제8장 고대 이집트: 명계를 동경한 태양의 나라
하늘의 태양, 땅의 강, 인간 세상의 왕은 각각 하나뿐 | 나일강, 시리우스, 시나이반도 | 아시아 · 아프리카 두 대륙과 관계 있는 고대 이집트어 | 선사시대에서 초기 왕조 시대로 | 고왕국과 대피라미드 시대 | 전해지는 사료와 연대기의 문제 | 고대 이집트의 신들 | 고왕국 구조의 와해 | 중왕국 시대: 표면 아래의 지속적인 변혁 | 힉소스인의 침입 | 하늘로 올라가기와 저승으로 내려가기
제9장 청동기시대 중후기의 고대 근동
고대 근동의 무대에 등장한 인도유럽인 | 아시아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이집트 신왕국 | 이집트사의 아마르나 시대 | 카데시 전투 | 히타이트의 서쪽 지역과 에게해의 관계 | 말석에 자리한 바빌론 | 청동기시대의 총붕괴
제10장 에게해의 고대 문명
트로이 전쟁 | 미노스의 미궁 | 그리스인이 도래하기 이전 | 에게해의 헬레니즘화 | 고전 그리스를 향한 과도기
제11장 고대 근동이 철기시대로 진입하다
청동에서 철로: 신 · 구 질서의 교체 | 신제국 이전의 아시리아 | 철기시대에 이르러 실력을 떨치기 시작한 아시리아 | 바빌론에 대해서는 뜻대로 할 수 없었던 아시리아 | 동쪽과 북쪽에서 비롯된 근심 | 아시리아 시대에 대한 평가 | 가나안, 페니키아와 이스라엘 | 철기시대로 진입한 이집트
제12장 페르시아제국과 페르시아 전쟁
이란의 첫 번째 문명: 엘람 | 이란인은 언제 이란고원으로 진입했을까 | 페르시아제국의 탄생 | 페르시아인이 근동의 통치자가 되다 | 다리우스의 왕위 찬탈 | 이란과 근동은 ‘국경 밖’과 ‘중앙’의 관계였을까 | 세계사에서 조용히 사라진 바빌론 | 페르시아 전쟁의 범위와 원인 | 이오니아 반란 | 페르시아인이 그리스 본토를 침범하다 | 페르시아에 반격을 가한 델로스 동맹 | 그리스의 내부 불화와 페르시아 총독
제13장 ‘고전기의 그리스’를 새롭게 정의하다
그리스 세계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그리스 정체성: 기초 텍스트와 공동 기념일 | 아테네 중심의 고전관을 수정할 수 있을까 | 스파르타는 어떻게 군사국가가 되었나 | 아테네의 직접민주제 | 아테네의 황금시대인 아테네제국 | 그리스의 외침과 내분
제14장 인류사의 ‘축의 시대’
조로아스터교의 정신적 유산 | 고대 인도의 베다 시대 | 고대 인도의 종교 쇄신 | 마우리아 왕조와 불교 | 중국에서의 축의 시대 | 이스라엘 백성의 얘언 운동: 역사 일원론의 선민관 | 히브리 『구약성경』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 고대 그리스 철학 여행: 신화 → 물활론 → 개별자와 보편자
제15장 알렉산더와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의 굴기 | 알렉산더가 세계를 정복하다 | 후계자들의 각축 | 헬레니즘 세계의 만화경 | 헬레니즘의 확장과 심화 | 고전 그리스 문명의 점진적 변화
제16장 로마의 성장
이탈리아의 지리 형세와 종족 분포 | 로마 건국자는 호걸인가, 악당인가 | 왕정 시대의 수수께끼 | 로마가 라틴 평원의 맹주가 되다 | 공화국 초기의 계급투쟁 | 로마가 이탈리아를 통일하다 | 공화국 중기: 평민은 진정으로 귀족과 동등한 권리를 갖게 되었는가 | 로마가 서지중해를 차지하다 | 로마가 지중해의 맹주가 되다 | 제국의 확장이 시민권의 확장이었을까 | 새로운 시대가 구체제를 부식시키다 | 공화제에서 제정으로의 탈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