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와 풍경으로 본 옛 건축 정신
도서명:나무와 풍경으로 본 옛 건축 정신
저자/출판사:최종현/현실문화
쪽수:304쪽
출판일:2013-05-27
ISBN:9788965640738
목차
머리말 ㆍ 5
( 1강 )
옛사람들이 아끼고 사랑했던 나무들 ㆍ 23
신단수와 숭목사상 ㆍ 27 | 고대 기록에 나타난 나무 ㆍ 28
역사 기록에 나타난 나무 ㆍ 32 | 궁중 그림에 나타난 나무 ㆍ 34
유교와 관련된 나무와 그 기록 ㆍ 36 | 불교와 관련 깊은 나무 ㆍ 43
( 2강 )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나무들 ㆍ 49
고구려 고분의 특징 ㆍ 52 | 고구려 고분은 어떤 구조로 만들어졌나 ㆍ 56
고분벽화와 나무, 신목과 당목 ㆍ 59 | 고분벽화 속 나무, 생활과 종교 ㆍ 66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나무를 가꾸고 심는 법 ㆍ 70
차례
( 3강 )
우리 옛사람들은 어떤 나무를 어떻게 심었을까 ㆍ 79
나무를 가리키는 몇 가지 표현 ㆍ 82 | 나무를 심는 우리 전통 형식 ㆍ 86
삼국 시대에는 나무를 어떻게 심었나 ㆍ 88 | 고려 시대의 나무 심기 ㆍ 92
조선 시대 기록 속 나무 심기 ㆍ 95 | 나무, 우주의 중심 ㆍ 105
( 4강 )
도산서당의 원림과 나무 ㆍ 109
퇴계, 서당을 짓기 위해 노력하다 ㆍ 113 | 도산서당의 원림 요소 ㆍ 117
성리학과 도산서당의 원림 요소 ㆍ 122 | 도산의 시에 나오는 식물 ㆍ 126
( 5강 )
도산서당을 지은 생각들 ㆍ 133
퇴계가 도산으로 옮기기까지 ㆍ 136 | 도산서당은 어떻게 지어졌나 ㆍ 140
도산서당의 입지와 공간 ㆍ 146 | 그림 속에 나타난 도산서당 ㆍ 150
이념을 구현한 도산서당의 공간 ㆍ 159
( 6강 )
풍경의 발견과 관동 지방 ㆍ 167
안축의 관동 지방 ㆍ 169 | 풍경의 분류, 경물과 경색 ㆍ 175
관동을 다룬 글들 ㆍ 177 | 「관동별곡」과 관동 지역 ㆍ 179
지도와 회화 속에 나타난 관동 지역 ㆍ 188
( 7강 )
조선 이전의 누정과 그 이름들 ㆍ 195
신라 시대의 누정 ㆍ 199 | 백제 시대의 원림과 누정 ㆍ 201
삼국 시대의 불교 전래와 누정 ㆍ 202 | 고려 시대의 원림과 누정 ㆍ 204
기문 속에 나타난 누정의 명칭과 의미 ㆍ 210
( 8강 )
조선 성리학자들이 취락을 만들다 - 봉화 닭실의 경우 ㆍ 217
충재 권벌, 귀향하여 마을을 만들다 ㆍ 221
사대부들은 왜 귀향했는가 ㆍ 222 | 새로운 입지관의 등장 ㆍ 225
안동부 지역의 새로운 복거지 ㆍ 229 | 권벌과 유곡 ㆍ 231
유곡의 공간적 특징 ㆍ 235 | 유곡의 경치와 나무들 ㆍ 239
( 보론 )
역사문화도시와 경제중심도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ㆍ 243 | 도시를 만드는 자연과 인공 요소 ㆍ 247
도시와 역사 ㆍ 250 | 보존인가 개발인가 ㆍ 255 | 도시를 어떻게 재건해야 할까 ㆍ 260
역사도시로 가는 길, 그 어귀에 서서 ㆍ 264
미주 ㆍ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