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의 디지털 자산

도서명:한 권의 디지털 자산
저자/출판사:장세형 , 성필규 , 이진석/프리렉
쪽수:472쪽
출판일:2024-11-20
ISBN:9788965404002
목차
서문
추천사
[PART Ⅰ디지털자산 개념과 본질]CHAPTER 01 _ 증서와 토큰
1.1 증서(證書)의 발견
____1.1.1 점유를 통한 소유권 보장의 불편함
____1.1.2 소유권 보장책으로서의 증서
____1.1.3 증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2 증서의 개념
____1.2.1 표상(表象)의 이해
____1.2.2 증서의 이해
1.3 증서의 특징
____1.3.1 금세공업자 사례
____1.3.2 증서의 일반적인 특징
1.4 증서의 활용과 발전
____1.4.1 증서의 활용
____1.4.2 증서의 발전
____1.4.3 증서와 중앙 장부
CHAPTER 02 _ 토큰과 자산의 올바른 이해
2.1 토큰이란?
2.2 자산이란?
____2.2.1 실물자산 관점에서 본 증서와 토큰
____2.2.2 자산의 범위
2.3 자산의 디지털화
____2.3.1 증서·토큰의 디지털화
____2.3.2 실물자산의 디지털화
CHAPTER 03 _ 디지털 자산이란?
3.1 가상자산과 디지털 자산 차이
____3.1.1 가상자산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용어 사례
____3.1.2 가상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개념적 차이
____3.1.3 암호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개념적 차이
3.2 디지털 자산의 개념
3.3 디지털 자산의 범위
3.4 디지털 자산의 가치
[PART Ⅱ┃블록체인의 등장과 모든 가치의 토큰화]CHAPTER 04 _ 비트코인이란?
4.1 비트코인 백서로 보는 정의
4.2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를 구현한 방안
4.3 비트코인 가치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가?
4.4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____4.4.1 비트코인 구현 방안
____4.4.2 블록체인이란?
____4.4.3 장부의 신뢰성이란?
CHAPTER 05 _ 이더리움의 등장과 토큰의 재발견
5.1 범용 블록체인, 이더리움의 출현
____5.1.1 이더리움이란?
____5.1.2 이더리움과 이더(Ether)
5.2 이더리움의 활용: 토큰 시스템
____5.2.1 이더리움과 토큰
____5.2.2 블록체인/이더리움 기반 토큰 시스템
5.3 토큰의 이해
____5.3.1 코인과 토큰의 관계
____5.3.2 블록체인과 토큰의 관계
____5.3.3 토큰의 유형
5.4 대체 불가능 토큰: NFT
____5.4.1 NFT의 개념과 실체
CHAPTER 06 _ 디지털화폐
6.1 디지털화폐의 유형
____6.1.1 스테이블코인
____6.1.2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6.2 디지털화폐의 가능성과 현실: Diem과 비트코인
____6.2.1 디지털화폐의 가치
____6.2.2 민간 영역 화폐 발행의 한계
____6.2.3 디엠(Diem)과 비트코인의 시사점
CHAPTER 07 _ 모든 가치의 토큰화(자산의 유동화)
7.1 자산의 토큰화(Tokenization)
7.2 자산의 유동화와 소액투자
____7.2.1 RWA(Real World Asset)
____7.2.2 유동화와 조각투자
7.3 투자 대상의 확대와 제도권 편입
____7.3.1 비트코인 간접 투자
____7.3.2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출범
[PART Ⅲ┃디지털 자산의 증권성]CHAPTER 08 _ 증권성의 이해
8.1 증권이란
____8.1.1 증권의 역사
____8.1.2 금융과 증서
8.2 금융상품과 금융투자상품
____8.2.1 금융상품이란?
____8.2.2 투자성과 금융투자상품
____8.2.3 금융투자상품(증권)의 올바른 이해
8.3 디지털 자산과 증권성의 판단 기준
____8.3.1 디지털 자산의 증권성
____8.3.2 ICO로 보는 디지털 자산의 증권성
____8.3.3 DeFi와 디지털 자산의 증권성
____8.3.4 코인과 토큰은 모두 증권인가?
CHAPTER 09 _ 자본시장과 자본시장법
9.1 자본시장이란?
____9.1.1 왜 자본시장과 자본시장법을 알아야 하는가?
____9.1.2 자본시장의 정의
9.2 자본시장법 개요
____9.2.1 목적 및 적용대상
____9.2.2 제정 배경
____9.2.3 기본 방향
____9.2.4 자본시장법 구성 세부 내용
9.3 자본시장법의 규제
____9.3.1 규제의 유형
____9.3.2 자본시장 참여자별 주요 규제 유형
____9.3.3 유사수신행위 : 투자성이 없는 자금 조달의 규제 여부
CHAPTER 10 _ 증권의 유형과 특성
10.1 채무증권
10.2 지분증권
10.3 수익증권
____10.3.1 신탁업(信託業)
____10.3.2 집합투자업자
10.4 투자계약증권
____10.4.1 미국 증권법의 투자계약(Investment Contract)
____10.4.2 투자계약증권의 적용 사례: 뮤직카우
____10.4.3 투자계약증권의 정확한 개념
____10.4.4 투자계약증권 사례
10.5 증권의 디지털화
____10.5.1 전자증권의 등장
____10.5.2 전자등록이란?
____10.5.3 전자증권이란?
[PART Ⅳ┃전자증권과 토큰증권]CHAPTER 11 _ 전자증권법
11.1 전자증권법 개요
____11.1.1 주요 구성 및 내용
____11.1.2 전자등록 대상 증권
____11.1.3 제도운영기관
11.2 계좌관리체계와 전자등록의 안전성
____11.2.1 전자증권제도 계좌체계
____11.2.2 전자등록의 안전성 확보
11.3 자본시장법과 전자증권법 차이점
____11.3.1 제정 목적
CHAPTER 12 _ 토큰증권의 출현과 제도 정비
12.1 토큰증권의 개요
____12.1.1 ‘토큰’ 용어의 등장
____12.1.2 토큰증권 개념과 정의
12.2 토큰증권의 올바른 이해
____12.2.1 증권 관점에서 본 토큰증권의 특징
____12.2.2 토큰 관점: 블록체인
____12.2.3 금융위원회 관점
12.3 토큰증권 허용과 토큰증권제도 정비
____12.3.1 토큰증권 허용(도입) 배경
____12.3.2 “왜 분산원장을 사용해야 하는가?
____12.3.3 토큰증권제도 정비 방향
12.4 토큰증권의 가치 및 시사점
____12.4.1 토큰증권의 가치
____12.4.2 토큰증권의 시사점
12.5 마무리하며
CHAPTER 13 _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
13.1 토큰증권 개념
13.2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기본방향
____13.2.1 증권 여부 판단원칙 제시
____13.2.2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13.3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기본방향 세부 내용
____13.3.1 증권 여부 판단원칙 제시
____13.3.2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
13.4 향후 계획 및 요건
____13.4.1 향후 계획
____13.4.2 기타 요건
13.5 토큰증권 구현 방안
[PART Ⅴ┃디지털 자산 분석과 전망]CHAPTER 14 _ 디지털 자산의 올바른 이해
14.1 디지털 자산의 개요
____14.1.1 디지털 자산의 실체
____14.1.2 디지털 자산의 구조와 유형
14.2 디지털 자산의 속성
14.3 디지털 자산 사례 분석
____14.3.1 디지털화폐
____14.3.2 자산의 토큰화
14.4 디지털 자산의 위험성 분석
14.5 디지털 자산 법·제도 환경 이해
____14.5.1 해외의 디지털 자산 법·제도 동향
____14.5.2 국내의 디지털 자산 법·제도 환경
CHAPTER 15 _ 디지털 자산 전망
15.1 디지털화(Digitalization)
____15.1.1 디지털 표현
____15.1.2 디지털 구현
____15.1.3 디지털 프로세스
15.2 자산의 디지털화
____15.2.1 실물자산의 디지털화
____15.2.2 디지털 자산 창조
____15.2.3 자산의 디지털 프로세스
15.3 메타버스 세상과 디지털 경제
____15.3.1 메타버스 세상의 디지털 경제 요소
____15.3.2 메타버스 세상에서의 디지털 경제 구현
마무리하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