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에서 철학으로

도서명:점에서 철학으로
저자/출판사:정병석/동과서
쪽수:480쪽
출판일:2024-09-10
ISBN:9788965251651
목차
개정보급판에 붙여
제1장 서론
1. 책을 시작하며
2. 예비적 고찰
(1) 점과 철학의 모순적 통일체로서의 주역
(2) 연속적 역사 발전 과정으로서의 『주역』의 철학적 해석의 과정
(3) 『주역』의 상징적 부호체계와 통일적 사유모형
(4) 유가의 철학적 점서관(占筮觀)의 형성과 역학사
제2장 『주역』의 원류로서의 귀복(龜卜)
1. 점과 귀복의 출현
2. 귀복의 목적
3. 거북의 상징성과 우주의 모형
4. 귀복의 과정과 점법의 고정화
5. 조상(兆象)의 해석
제3장 『주역』 형성 이전의 점서역학(占筮易學)
1. 귀복(龜卜)에서 서점(筮占)으로
(1) 시조(視兆)의 행위와 신(神)과 인간의 중개(仲介)
(2) 귀복에 대한 문자적 해석의 부가(附加)와 점사
(3) 점법(占法)의 간이화(簡易化)와 서점(筮占)의 출현
2. 점서역학(占筮易學)의 구조
(1) 상(象)에서 수(數)로
(2) 상점(象占)과 역상(易象)의 의미/
(3) 대연서법(大衍筮法), 서의(筮義)와 서법(筮法)
(4) 점단(占斷)의 해석
3.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서례(筮例)에 보이는 『주역』의 초기형태
4. 점(占)에서 덕(德)으로: 점서역학과 인문정신(人文精神)의 출현
제4장 『역경』의 형성
1. 『역경』 텍스트의 형성(成書)과 성인작역(聖人作易)
(1) 괘효상(卦爻象)의 기원과 성인작역
(2) 출토자료를 통해본 성인작역에 대한 비판
(3) 역류(易類) 출토자료를 통해 본 『주역』 경전 텍스트의 형성 과정
2. 괘효사의 기원과 구조
3. 효제(爻題)의 출현과 음양을 통한 해석의 가능성
4. 점단사(占斷辭)에 보이는 인문주의적 요소
제5장 점서역학의 해체와 『역전(易傳)』의 형성
1. 『역경』에서 『역전』으로
2. 점서해석의 위기와 팔괘취상설(八卦取象說)
3. 점서역학의 해체와 8괘 모형의 상(象) 사유
4. 『역전』 형성의 몇 가지 해석 방식
(1) 괘상(卦象)을 통한 『주역』 해석
(2) 괘덕(卦德)을 통한 『주역』의 의리적 해석
(3) 괘위(卦位)를 통한 『주역』 해석
(4) 괘서(卦序)를 통한 『주역』 해석
제6장 『역전』의 철학적 해석과 『주역』의 유가화(儒家化)
1. 점(占)에서 도(道)로: 역전의 철학적 해석의 방향
2. 『역전』의 『역경』 해석의 주요 명제
(1)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
(2) “강유상추이생변화(剛柔相推而生變化)”
(3) 삼재지도(三才之道)
3. 공자와 『주역』/ 371
(1) 공자의 『주역』에 대한 언급과 ‘부점(不占)’
(2) 공자찬역(孔子贊易)
(3) 공자학역(孔子學易)
(4) 공자전역(孔子傳易)
(5) 공자해역(孔子解易)
4. 『주역』의 유가 경전화(經典化)
(1) 육경(六經)의 형성과 공자(孔子)
(2) 초기 유가 경전 체계 속에서 『주역』의 지위: 주역과 육경의 관계에 대한 논란
(3) 공자의 『주역』에 대한 관점 전이(轉移)를 통해 본 『주역』의 유학 경전화 문제
제7장 맺음말
저자 후기
참고문헌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