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도서명: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저자/출판사:박남수/주류성
쪽수:554쪽
출판일:2013-07-29
ISBN:9788962461084
목차
Ⅰ. 신라 상대 김씨왕권의 성장과 정치과정
신라 상고 김씨계의 기원과 등장
1. 머리말
2. 상고 김씨계의 기원에 관한 문제
3. 김씨 왕계(金氏王系)의 등장
4. 맺음말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신석(新釋)과 지증왕대 정치개혁
1. 머리말
2. 「포항 중성리신라비(浦項 中城里新羅碑)」의 판독
3. 「포항 중성리신라비」 석독에 대한 검토
1) ‘모참벌’ · ‘등’에 대한 존의
2) 모자와 쟁인
3) 지명과 인명의 구분
4.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문장구성과 해석
5. 신라 율령비의 서식과 지증왕 즉위 초의 정치 개혁
6. 맺음말
「포항 중성리신라비」에 나타난 신라 6부와 관등제
1. 머리말
2. 「포항 중성리신라비」에 나타난 신라 6부와 그 변화
3.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경외 관등제(官等制)의 정비
4. 신라 6부 성격론과 골품제(骨品制) 형성에 대한 단상
5. 맺음말
「울주 천전리서석명」에 나타난 진흥왕의 왕위계승과 입종갈문왕
1. 머리말
2. 천전리서석(川前里書石) 원명(原銘)· 추명(追銘)의 검토
1) 추명 기미년과 원명 · 추명 을사년 기사의 검토
2) 추명 팔사년 · 정사년 기사의 검토
3. 진흥왕의 왕위계승과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1) 진흥왕의 즉위와 법흥왕비의 섭정
2) 진흥왕 왕위계승의 배경과 입종갈문왕
4. 맺음말
통일 주도세력의 형성과 정치개혁
1. 통일 주도세력의 형성
1) 김춘수의 등장
2) 김유신 가문의 등장
3) 김춘수 일파의 비담 · 염종란 진압
2. 김춘수 일파의 정치개혁
1) 진덕왕대의 정치개혁
2) 무열왕의 즉위와 왕권의 전제화
Ⅱ. 신라 화백제도와 회의체의 운영
신라 화백의 관계기사의 검토
1. 머리말
2. 중국 사서 신라전에 나타난 화백회의
1) 『수서』 신라전
2) 『신당서』 신라전
3. 화백회의 기사의 성격
4. 맺음말
신라 화백회의의 기능과 성격
1. 머리말
2. 화백회의의 기능과 변화
1) 국왕 추대
2) 국가 중대사의 결정과 법령제정
3. 오지암회의의 개최시기와 몇 가지 문제
4. 화백회의의 구성원과 그 성격
5. 맺음말
신라 화백회의와 남당 · 갈문왕재 : 신라 화백회의에 관한 재검토
1. 머리말
2. 화백회의와 남당
3. 화백회의와 갈문왕
4. 중고기 왕권과 화백회의
5. 맺음말
신라 화백회의 연구현황과 중층적 회의 구조
1. 머리말
2. 화백회의 연구 현황
1) 화백(和白)의 어의(語義)와 의사(議事) · 의결규칙(議決規則)
2) 화백회의 발전단계론
3. 화백회의 발전단계론의 쟁점과 현****
1) 『삼국유사』 진덕왕조 오지함회의 기사와 대등회의
2) 영일 냉수리신라비와 등회의(等會議) · 제간회의(諸干會議)
3) 상대등(上大等) · 갈문왕(葛文王)의 성격과 중대 전제왕권론
4. 신라의 중층적 회의 구조와 그 운영
5. 맺음말
Ⅲ. 신라 화랑도의 제정과 운영
신라 진흥왕대 정치사회와 화랑도 제정
1. 머리말
2. 화랑도(花郞徒) 제정의 정치사회적 배경
3. 원화(源花) · 화랑(花郞)의 제정과 그 기원
4 맺음말
신라 중고기 화랑의 출신 가계와 화랑도 운명의 변화
1. 머리말
2. 화랑의 출신가계와 선출
1) 화랑의 출신가계
2) 화랑 선출방식의 변화
3. 진평왕대 화랑도 운영의 변화
1) 신라 군제의 변화와 화랑도
2) 직역과 군역, 6부 통치체제의 변화와 화랑도
4. 맺음말
신라 중고기 화랑도의 교육과 출사
1. 머리말
2. 화랑도의 교육이념과 세속오계에 대한 존의
3. 중고기 교육의 실상과 화랑도 교육
4. 화랑도의 출사와 그 성격
5. 맺음말
최치원의 낙랑비서와 화랑 관련 제명칭의 갈래
1. 머리말
2.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婢序)와 풍류도
3. 화랑 관련 제명칭의 갈래와 풍월도
4. 맺음말
〔부록〕
신발견 박창화의 『화랑세기』 잔본가 ‘향가’ 1수
1. 머리말
2. 남당 박창화위 행장
3. 새로 발견한 『화랑세기』 잔본의 내용 구성
1) 영랑공의 전기
2) 배장공의 미행과 전기 1
3) 배장공의 전기 2
4. 『화랑세기』 잔본과 기발견 『화랑세기』 두 본과의 관계
5. 박창화의 벽해상백파가와 파랑가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