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중국고대어법
도서명:핵심 중국고대어법
저자/출판사:쉬웨이한/어문학사
쪽수:432쪽
출판일:2013-10-22
ISBN:9788961843102
목차
서론
一. 고대한어에서의 두 가지 흐름
(一) 문언문(文言文)과 고백화(古白話)
(二) 문언문(文言文)의 읽기와 분석
(三) 문학요소 분석과 언어요소 분석의 상호결합
(四) 언어의 여러 요소 분석과의 호응
二. 학습의 방향과 방법
(一) 규칙을 이해하고, 간단한 것으로 번잡한 것을 다룬다.
(二) 일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구별에 중점을 둔다.
(三) 역사주의 관점이 있어야 한다.
(四) 정확한 학문분야의 방법론이 있어야 한다.
제1강 문장성분
一. 주어, 술어와 빈어
(一) 동사, 형용사가 주어가 되는 경우
(二) 동사, 형용사가 빈어가 되는 경우
(三) 수사가 주어와 빈어가 되는 경우
(四) 부사가 술어가 되는 경우
二. 부사어와 보어
(一) 보통명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二) 시간명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三) 동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四) 형용사가 부사어인 경우
(五) 수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六) 대사가 부사어가 되는 경우
(七) 문두부사어
(八) 개사구조가 보어가 되는 경우
(九) 명사(명사를 중심으로 하는 句도 포함)가 보어가 되는 경우
三. 구(句)가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
(一) 주술구가 주어, 술어, 빈어, 한정어와 부사어인 경우
(二) 동빈구가 주어, 빈어, 부사어인 경우
四. 문장구조의 소략함에서 치밀해짐
제2강 어순(語順)
一. 빈어(賓語)의 전치(前置)
(一) 부정문(否定文)에서 대사빈어(代詞賓語)의 전치(前置)
(二) 의문문(疑問文)에서 대사빈어(代詞賓語)의 전치(前置)
二. 개사빈어(介詞賓語)의 전치(前置)
三. 빈어(賓語)의 도치(倒置)
四. 술어 도치(倒置)
五. 한정어의 위치
六. 문장에서 수량사의 위치
七. 문장에서 개사구조의 위치
八. 고전시사(古典詩詞)에서 단어 순서(詞序)의 변환
제3강 생략
一. 주어의 생략
(一) 주어가 앞을 이어받아 생략(主語承前省略)
(二) 주어가 뒤를 이어받아 생략(主語蒙後省略)
(三) 대화체에서의 주어 생략(主語當前省略)
二. 술어의 생략
(一) 술어가 앞을 이어받아 생략(謂語承前省略)
(二) 술어가 뒤를 이어받아 생략(謂語蒙後省略)
(三) 대화체에서의 술어 생략(謂語當前省略)
三. 빈어의 생략
四. 개사와 개사빈어의 생략
五. 한정어 수식의 중심사(中心詞) 생략
六. 기타 생략
제4강 실사의 활용
一. 명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一) 명사가 조동사(능원동사), 부사의 수식으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명사가 문장에서 빈어나 보어를 동반하여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명사가 조사 ‘所(소)’자 뒤에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앞뒤에서 ‘而(이)’로 연접하여(‘而〔이〕’는 일반적으로 명사를 잇지 못 한다), 바로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수사, 대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형용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동사, 형용사와 수사가 사역동사(使役動詞)로 쓰이는 경우
五. 명사, 형용사가 의동사(意動詞)로 쓰이는 경우
제5강 수량(數量)의 표시
一. 수(數)의 표현법
(一) 기수(基數)
(二) 서수(序數)
(三)****수(約數)
(四) 허수(虛數)
二. 양(量)의 표현법
三. 수사(數詞)와 양사(量詞) 결합의 표현 방식
(一) 수사가 명사와 직접 결합하고, 양사를 붙이지 않는 경우
(二) 수사가 명사와 결합하고, 양사를 쓰는 경우
(三) 수사와 동사의 결합에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四) 수(數)를 묻는 표현법
(五) 분수(分數)의 주요 표현법
(六) 배수(倍數)의 특정 표현법
제6강 대사의 운용
一. 인칭대사
(一) 제1인칭대사
(二) 제2인칭대사
(三) 제3인칭대사
(四) 복칭대사
(五) 인칭대사의 복수
二. 지시대사
(一) 是(시), 此(차), 斯(사), 玆(자)
(二) 之(지), 其(기)
(三) 彼(피), 他(타), 夫(부; fu?)
(四) 若(약), 爾(이)
(五) 或(혹), 莫(막)[無(무), 毋(무), 靡(미)]
三. 의문대사(疑問代詞)
(一) 誰(수), 孰(숙)
(二) 何(하), 曷(갈), 胡(호), 奚(해), 台(이)
(三) 安(안), 惡(오), 焉(언)
제7강 여러 가지 허사(虛詞)
一. 허자(虛字)에 대한 종합 서술
二. 허자(虛字)의 요점 설명
[1획]: 一
[2획]: 乃, ?(幾)
[3획]: ?(與), 也, 已, 凡, 亡, 之, 于(於)
[4획]: ?(爲), 无(無), 勿, 夫, 方, 及, ?(從), 比, 少, 止, 曰, 云, 兮, ?(烏),
?(見)
[5획]: 乎, 以, 且, 弗, 未, 由, 用, 令, 可, ?(寧), 正, 只[지; 祗(지), ?(지), ? (저)], 他, ?(爾)
[6획]: 伊, 此, 如, 而, 已, 自, 至, 因, ?(會), 有, 幷(?, 竝), 則, ?(許), ?(設), 亦, 耳, 行, 安, ?(豈)
[7획]: 何, ?(況), 矣, 每, 更, 抑, ?(猶), 但, 足, 否(不), ?(縱), ?(歟), ?(渠, 巨), 卽
[8획]: 其, 彼, 所, 初, 非, 宜, 定, ?(審), 固, 果, 尙, 使, 或, 苟, 奈, ?(彌), 若, 者, ?(誠)
[9획]: 旣(旣), 信, 殆, 相, ?(獨), 某, 适(適), 爰, 垂, ?(復), 皆, 甚, 是, 哉, 耶 (邪), 故, ?(雖), ?(將), ?, ?(嘗), 胡, 曷
[10획]: ?(請), 奚, ?, 匪, ?(?), 徒, 特, 借(藉), 益, 差, 殊, 容, 致, ?(顧), ? (惡), 莫, ?(諸)
[11획]: 率, 旋, 脫, 唯, 盖(蓋), ?(輒), 孰, 第, 焉, 庸, 庶, 假, 得
[12획]: 斯, 曾, 厥, ?(屬), ?(輩), 然, 滋, 遂
[13획 이상]: 微, 蔑, 靡
맺음말. 고대한어 어법학습, 교학과 연구방향
一. 고대한어 문언문과 고백화 두 가지 지류 및 그 특징에 대한 고려
二. 문언문과 고백화의 역사적 지위 및 연구의 전체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三. 어법의 공시적(共時的) 연구와 통시적(通時的) 연구의 상호 결합
四. 어법연구와 어휘(語彙), 어음(語音)과 문자(文字)연구의 상호 협력
五. 언어자료에 대한 작업 강화와 학과(學料)방법론 통제
六. 고대한어 어법체계 임시 추측 가능성 확보
부록. 고대한어 어법연구의 세 가지 논점
一. 어법연구의 네 개의 평면
(一) 어법형태 현상에 대하여
(二) 조어법(?詞法) 현상에 관해
(三) 경성 현상에 관하여
(四) 허사 현상에 관하여
二. 어법연구의 어휘연구와의 상호 협력
(一) 사의(詞義)와 어법성분의 동시 발전 현황
(二) 조어규칙의 증가와 소실
(三) 실사 활용 현상
三. 고대한어 어법학의 이론 설정
(一) 술어의 진술과 정의 문제
(二) 역사관점의 확립 문제
(三) 전문 분야 방법론의 활용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