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과 전통 사이, 서울 패션 이야기

도서명:유행과 전통 사이, 서울 패션 이야기
저자/출판사:임은혁 , 예민희 , 허민 , 이지은 , 고윤정 , /시대의창
쪽수:240쪽
출판일:2024-09-03
ISBN:9788959408504
목차
미리 보는 용어
프롤로그
1 종로 조선의 중심에서 한복을 외치다
실 바늘부터 유행의 창****지, 한복 디스트릭트
한복 생산과 유통의 중심지
조선 멋쟁이들의 집결지
종로 주단점의 호황과 스타 디자이너의 탄생
종로를 무대 삼은 솜씨 좋은 장인들
왕실 공예품을 제작하는 장인
옷을 짓는 여성 장인과 남성 장인
전통 한복을 제대로 보고 즐기는 박물관과 행사
한복 체험이 만든 ‘인생 사진’ 맛집
고궁을 핫 플레이스로 저장하게 하는 한복 체험
체험 한복이 뭐길래
체험 한복에 대한 다양한 견해
‘한복 스냅’, 체험 한복이 만든 새로운 문화
2 동대문 세계적 규모와 전통의 패션 클러스터
한국 패션의 요람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가먼트 디스트릭트로
소외된 계층이 만들어 낸 뉴욕과 서울의 가먼트 디스트릭트
위기를 기회로
24시간도 모자란 유기적 패션 클러스터
동대문표 패션, 새벽 시장과 함께 전성기를 맞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가는 동대문 시장의 생태계
동전의 양면, 평화 시장 노동자들의 애환
스웨트숍, 평화 시장 그리고 전태일
상점과 공장의 분리 그리고 동대문 패션 클러스터의 확장
3 명동 패션의 흐름을 엿보다
외래 문물의 도입과 패션 리더의 등장
‘딸라 골목’에서 흘러나온 패션 잡지
고급 맞춤 양장점과 마카오신사 양복점
명동을 드나드는 패션 리더들
패션은 거리로부터
명동 뒷골목을 배회하는 다방의 보헤미안
장발에 청바지를 입고 통기타를 둘러맨 거리의 청년들
그때 그 시절, 명동 바닥을 휩쓴 나팔바지
쇼핑 투어리즘
타자의 공간으로 탄생한 근대적 쇼핑의 장소
젠더화된 쇼핑의 장소
쇼핑 투어리즘
4 이태원 패션을 통해 다양성의 장소로
아메리칸 스타일의 통로, 클러버 패션
‘고고 클럽’의 유행을 타고 디스코 열풍으로
문 나이트 클럽의 힙합 스타일
고립된 이방인의 공간에서 패션 관광 디스트릭트로
이태원 의류 상권이 가져온 장소성의 변화
이태원 의류 상권, 서울 패션 투어리즘의 중심이 되다
지구촌 축제가 벌어지는 다양성의 공간
다양성의 장소가 되기까지
드래그의 공간, 이태원
다양성을 포용하는 장소, 이태원
5 성수동 공업 지역에서 탄생한 패션 플레이스
소통하는 구두 장인, 메이드 인 성수동 수제화
근대화의 상징에서 패션 ‘힙 플레이스’의 원동력이 된 제화 산업
제조업 집적 지역의 살아있는 역사, 성수동
오래된 건물? 오히려 좋아. 레트로 감성 찾아 모이는 사람들
서울의 브루클린, 성수동
트렌디한 사람들이 모이는 성수동
힙스터의 성지, 힙스터의 역설
성수동의 과제, 젠트리피케이션
양날의 검, 젠트리피케이션
성수동, 어디로 가야 하는가?
에필로그
용어 해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