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이론과 실무 > 사회문제/복지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노동법 이론과 실무 > 사회문제/복지

노동법 이론과 실무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법률출판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법률출판사
시중가격 130,000원
판매가격 13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노동법 이론과 실무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노동법 이론과 실무

    9788958214311.jpg

    도서명:노동법 이론과 실무
    저자/출판사:박도하/법률출판사
    쪽수:2362쪽
    출판일:2024-04-25
    ISBN:9788958214311

    목차
    제1편 노동법 총론

    제1장 서 설 22
    제1절 노동법의 개념·이념 및 노동사건의 특수성 22
    제2절 노동사건의 유형 25
    제2장 노동법의 법원(法源) 27
    제1절 서 설 27
    제2절 법원의 종류 28
    제3절 법원의 경합 33
    제3장 근로자·사용자 - 노동법관계의 주체 - 39
    제1절 서 설 39
    제2절 근로자 41
    제3절 사용자 84
    제4장 노동분쟁의 해결절차 130
    제1절 서 설 130
    제2절 노동분쟁의 해결절차 132
    제3절 노동분쟁의 입증책임 144
    제2편 개별적 근로관계법
    제1장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148
    제1절 서 설 148
    제2절 적용범위 148
    제3절 적용 예외 153
    제2장 노동법상 평등의 원칙 156
    제1절 평등원칙의 의의 156
    제2절 근기법상 균등처우의 원칙 156
    제3절 고평법상의 차별금지 161
    제4절 공무원 남녀정년 차별 162
    제5절 근로내용과 무관한 다른 사정에 의한 차별 163
    제6절 근기법·고평법상 차별금지의무 위반의 효과 164
    제3장 취업규칙 166
    제1절 서 설 166
    제2절 범 위 171
    제3절 취업규칙의 불이익하지 않는 작성·변경 178
    제4절 불이익한 변경·신설 187
    제5절 취업규칙에 대한 감독 220
    제6절 취업규칙의 효력 범위 222
    제4장 근로계약(채용내정·시용·수습) 227
    제1절 서 설 227
    제2절 근로계약의 체결 230
    제3절 채용에 대한 법적 규제 239
    제4절 근로계약 당사자의 권리·의무 244
    제5절 채용내정 250
    제6절 시용과 수습 259
    제5장 임금 총론 274
    제1절 서 설 274
    제2절 임금의 본질·임금지급청구권 277
    제3절 임금성의 판단기준, 판단요소 281
    제4절 임금채권의 보호 303
    제5절 체불임금청구사건에서 유의할 사항 357
    제6장 평균임금 363
    제1절 서 설 363
    제2절 평균임금의 산정 366
    제3절 평균임금 조정 398
    제7장 통상임금 401
    제1절 서 설 401
    제2절 통상임금 판단기준 405
    제3절 판례상 구체적 사례 411
    제4절 통상임금에 관한 노사합의의 효력 430
    제5절 시간급 통상임금의 산정 434
    제8장 최저임금 444
    제1절 서 설 444
    제2절 우리나라 최저임금제의 개관 445
    제3절 적용범위 446
    제4절 최저임금액 448
    제5절 시간급 임금 환산 -최저임금 미달 여부 확인- 452
    제6절 비교대상임금 461
    제7절 최저임금의 효력 476
    제8절 최저임금 적용 제외 482
    제9장 휴업수당 484
    제1절 개 념 484
    제2절 지급 사유 484
    제3절 휴업수당의 산정 방법 488
    제4절 휴업수당지급의 예외 489
    제5절 휴업수당청구권과 임금전액청구권의 관계 489
    제10장 근로시간 491
    제1절 서 설 491
    제2절 실근로시간 판단 기준 493
    제3절 기준근로시간 504
    제4절 소정근로시간 509
    제5절 유연근로시간제도(규제의 유연화) 515
    제6절 감시·단속적 근로 526
    제7절 교대제 근로 532
    제11장 연장근로 548
    제1절 서 설 548
    제2절 연장(시간외)근로 시간수의 산정 550
    제3절 통상연장근로 553
    제4절 여타의 연장근로 566
    제5절 연장근로에 관한 합의사항 위반 시 법적 효과 567
    제12장 휴 일 569
    제1절 서 설 569
    제2절 주휴일 제도 572
    제3절 주휴일 이외의 법정휴일 583
    제4절 휴일의 대체 586
    제5절 관련 문제 589
    제6절 벌 칙 594
    제13장 가산임금(법정수당) 595
    제1절 서 설 595
    제2절 연장(시간외)근로수당 596
    제3절 야간근로수당 603
    제4절 휴일근로수당 607
    제5절 관련 문제 611
    제14장 포괄임금제 615
    제1절 서 설 615
    제2절 성립요건 617
    제3절 포괄임금에 포함되는 수당 등의 범위 625
    제4절 효 과 627
    제5절 관련 문제 629
    제6절 화해·조정의 활용 632
    제15장 연봉제 634
    제1절 서 설 634
    제2절 적용 대상 및 도입 방식 635
    제3절 관련 문제 636
    제16장 연차 유급휴가 643
    제1절 서 설 643
    제2절 연차 유급휴가의 성립요건 647
    제3절 효 과 668
    제4절 연차 유급휴가에 관한 그 밖의 문제 678
    제5절 연차 유급휴가 사용 촉진 683
    제6절 연차유급휴가 대체 691
    제7절 연차수당 693
    제17장 모성·여성 보호 706
    제1절 출산전후휴가 706
    제2절 유·사산휴가와 난임휴가 712
    제3절 배우자 출산휴가 715
    제4절 육아휴직 716
    제5절 임신기·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청구권 722
    제6절 가족돌봄휴직·휴가·근로시간 단축 727
    제7절 생리휴가 731
    제8절 야간근로, 시간외근로 제한 733
    제18장 직장 내 성희롱 734
    제1절 서 설 734
    제2절 행위자와 피해자 735
    제3절 성립요건 및 내용 735
    제4절 판단기준 737
    제5절 직장 내 성희롱 금지 및 예방을 위한 사업주 및 근로자의 의무와 조치 739
    제6절 실무 사례 744
    제19장 직장 내 괴롭힘 금지 747
    제1절 서 설 747
    제2절 법률의 주요 내용 747
    제3절 관련 법률의 정비 및 다른 법률과의 관계 752
    제20장 업무상재해보상제도 754
    제1절 서 설 754
    제2절 업무상재해보상보험 관계인 757
    제3절 업무상 재해 770
    제4절 보험급여 849
    제5절 보험급여 청구 및 불복절차 877
    제6절 보험급여 제한 및 부당이득의 징수 887
    제7절 장해등급결정 889
    제8절 산업재해로 인한 손해배상소송 895
    제9절 보상책임과 배상책임 간의 조정 및 구상 914
    제10절 수급권의 보호 947
    제11절 산재법 이외의 업무상 재해보상제도 950
    제21장 고용보험제도 955
    제1절 서 설 955
    제2절 적용대상 956
    제3절 피보험자의 관리 957
    제4절 고용보험사업의 종류 958
    제5절 관련 행정해석 966
    제22장 인사이동 969
    제1절 서 설 969
    제2절 구체적 고찰 972
    제3절 구제수단 1034
    제23장 징 계 1036
    제1절 서 설 1036
    제2절 징계의 종류 1038
    제3절 징계의 정당성 1045
    제24장 기업변동과 근로관계의 이전 1055
    제1절 서 론 1055
    제2절 구체적 고찰 1057
    제3절 근로관계 이전의 시기 및 효과 1082
    제25장 해 고 1094
    제1절 서 설 1094
    제2절 해고의 정당성 1103
    제3절 해고 여부가 문제되는 경우 1252
    제4절 부당해고 등의 구제절차 1290
    제5절 관련 문제 1346
    제6절 도산절차와 근로관계의 종료 1378
    제7절 교원에 대한 불이익처분 구제 1384
    제26장 정년제 1409
    제1절 서 설 1409
    제2절 유 형 1410
    제3절 법적 성질 1413
    제4절 정년연령의 계산 1415
    제5절 실정법상 정년제의 문제 1418
    제6절 관련 문제 1424
    제27장 퇴직급여제도 1434
    제1절 총 설 1434
    제2절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1437
    제3절 퇴직금제도 1444
    제4절 퇴직연금 제도 1498
    제5절 퇴직에 따른 금품청산 1508
    제6절 실무상 쟁점 1512
    제28장 비정규직 근로자 1515
    제1절 서 설 1515
    제2절 기간제근로자 1520
    제3절 단시간근로자 1571
    제4절 파견근로자 1582
    제5절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 시정 1649
    제29장 도산절차 1729
    제1절 도산절차의 유형 및 유형별 절차 개관 1729
    제2절 도산절차 ‘개시’단계에 있어서 노동법적 문제 1735
    제3절 도산절차 ‘진행’단계에 있어서 노동법적 문제 1740
    제3편 집단적 노사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의 개념 및 요건 1754
    제1절 개념 및 조직형태 1754
    제2절 설립요건 1761
    제2장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1785
    제1절 서 설 1785
    제2절 규**** 1786
    제3절 노동조합의 기관 1790
    제4절 노동조합의 구성원 1797
    제5절 노조의 통제권 1827
    제6절 조합재산 관계 1831
    제7절 도산절차에서의 노조의 지위 1831
    제8절 노조의 민주적 운영의 확보를 위한 제도 1833
    제3장 근로자의 조합활동 1834
    제1절 서 설 1834
    제2절 조합활동 해당성 1837
    제3절 정당성 요건 1839
    제4절 효 과 1857
    제4장 노동조합의 해산, 합병·분할, 조직형태의 변경 1859
    제1절 서 설 1859
    제2절 해 산 1859
    제3절 노동조합의 합병 1863
    제4절 노동조합의 분할 1866
    제5절 조직형태의 변경 1868
    제5장 단체교섭 1878
    제1절 서 설 1878
    제2절 단체교섭의 당사자(담당자) 1881
    제3절 단체교섭의 대상 1977
    제4절 단체교섭의무의 내용 1989
    제5절 단체교섭의 일반적인 진행 절차 1992
    제6절 단체교섭의무 위반에 대한 구제수단 1994
    제6장 단체협약 1998
    제1절 서 설 1998
    제2절 성 립 2000
    제3절 단체협약의 내용 및 효력 2007
    제4절 단체협약의 해석·위반에 대한 구제 2046
    제5절 단체협약의 확대적용 2050
    제6절 단체협약의 종료 2060
    제7장 노동쟁의 조정제도 2077
    제1절 서 설 2077
    제2절 노동쟁의조정의 대상 2081
    제3절 노동쟁의조정의 절차 및 효력 2086
    제4절 노동쟁의조정에 대한 구제수단 2098
    제8장 쟁의행위 2104
    제1절 서 설 2104
    제2절 쟁의행위에 대한 노동조합법상 보호 2107
    제3절 쟁의행위에 대한 제한(정당성 요건) 2108
    제4절 위법한 쟁의행위와 책임 2148
    제5절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2159
    제6절 사용자의 쟁의대항행위 2169
    제7절 필수유지업무에 대한 쟁의행위의 제한 2184
    제9장 부당노동행위 2195
    제1절 서 설 2195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및 상대방 2197
    제3절 노동조합법 제81조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행위 2201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절차 2270
    제10장 공무원·교원 노동조합 2300
    제1절 공무원의 노사관계 2300
    제2절 교원의 집단적 노사관계 2313
    제4편 기타 노동관계 부문
    제1장 노동위원회제도 2326
    제2장 노사협의제도 2330


    찾아보기 / 2344
    법 령 / 2353
    교 재 / 2354
    참고자료 / 2357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노동법 이론과 실무
    노동법 이론과 실무 130,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