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와 이데올로기

도서명:구약성서와 이데올로기
저자/출판사:김영호/대한기독교서회
쪽수:344쪽
출판일:2024-09-01
ISBN:9788951121562
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추천사 3
머리말
제1장 서론
제2장 포로기 유다공동체와 사제 집단의 부상
1. 바벨론 포로기 이전 유다 지역 및 주변 상황
2. 바벨론제국의 속지(屬地) 통치 정책과 페르시아제국의 속주(屬州) 통치 정책의 차이
3. 골라에서 포로민 사제 집단의 이데올로기 태동
4. 골라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생활지침서: ‘원십계명’을 찾아
5. 정체성 확립이 가진 함의
제3장 포로 귀환과 사제 중심의 성전국가 건설
1. 바벨론 포로 귀환 사제는 누구인가
2. 페르시아 왕 고레스로부터의 정통성 확보
3. 귀환 사제 집단의 ‘정통성’ 모습: ‘금의환향’, 모세 출애굽의 데자뷔
4. 다윗 왕조의 정통성 부정: 유다 왕에 대한 평가
5. 대안적 정통성: ‘성전과 율법’
6. 정통성의 난제: 귀환 직후의 유다 땅 소유 문제
7. 정통성에 대한 함의
제4장 두 성전과 권력 투쟁
1. 히브리 성서의 성전과 성벽의 완공 의미
2. 경쟁자 사마리아 성전(그리심산 성전)
3. 경쟁기 ‘순혈주의’가 가진 함의
제5장 성전세와 사제 이데올로기
1. 예루살렘 성전의 최종 권력 승자, 레위 제사장
2. 안정기: 성전세의 극대화
3. 제사장과 레위인의 몫
4. 권력을 획득한 후 이방인에 대한 포용적 자세로 전환
5. 성전 안정기 성전세에 대한 함의
제6장 결론
부록 구약성서의 사제에 대한 연구사
1. 오경의 사제 자료에 대한 연구
2. 사제 자료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흐름
3. 사제 편집
4. 히브리 성서 최종 편집자로서의 사제 집단
5. 결론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