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 정신 3-3 > 법학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법의 정신 3-3 > 법학

법의 정신 3-3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나남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나남
시중가격 29,000원
판매가격 29,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법의 정신 3-3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법의 정신 3-3

    9788930041409.jpg

    도서명:법의 정신 3-3
    저자/출판사:몽테스키외진인혜,번역/나남
    쪽수:440쪽
    출판일:2023-06-15
    ISBN:9788930041409

    목차
    제5부

    제24편 종교적 실천과 종교 그 자체에서 고찰된 각 나라의 종교에 관한 법
    제1장 종교 일반 19
    제2장 벨의 역설 20
    제3장 제한된 정체는 기독교에 더 적합하고, 전제정체는 이슬람교에 더 적합하다 22
    제4장 기독교의 특성과 이슬람교의 특성에서 생기는 결과 24
    제5장 가톨릭은 군주정체에 더 적합하고, 개신교는 공화정체에 더 어울린다 24
    제6장 벨의 또 다른 역설 25
    제7장 종교에서 완전함의 법 26
    제8장 도덕의 법과 종교의 법의 조화 27
    제9장 에세네파 27
    제10장 스토아학파 28
    제11장 명상 29
    제12장 고행 30
    제13장 속죄할 수 없는 죄 30
    제14장 종교의 힘이 어떻게 시민법의 힘에 적용되는가 31
    제15장 시민법은 때때로 어떻게 거짓 종교를 교정하는가 34
    제16장 종교의 법은 어떻게 정치적 구조의 결함을 교정하는가 34
    제17장 같은 주제 계속 35
    제18장 어떻게 종교의 법이 시민법의 효과를 갖는가 36
    제19장 시민 국가에서 교리가 사람들에게 유익한지 해로운지는 교리가 진실인지 거짓인지보다 교리를 활용하는지 남용하는지에 달렸다 37
    제20장 같은 주제 계속 39
    제21장 윤회 40
    제22장 종교가 하찮은 것에 대해 혐오를 불어넣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 40
    제23장 제전(祭典) 41
    제24장 지방 특유의 종교 법 42
    제25장 한 나라의 종교를 다른 나라로 옮기는 일의 불편함 44
    제26장 같은 주제 계속 45

    제25편 각 나라의 종교 수립과 그 외적 조직에 관한 법
    제1장 종교에 대한 감정 47
    제2장 여러 종교에 대한 애착의 동기 47
    제3장 사원 50
    제4장 성직자 53
    제5장 성직자의 부에 대하여 법이 가해야 하는 제한 55
    제6장 수도원 56
    제7장 미신의 사치 57
    제8장 최고위 성직자의 지위 58
    제9장 종교에 대한 관용 59
    제10장 같은 주제 계속 60
    제11장 종교의 변경 60
    제12장 형법 61
    제13장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종교재판관에게 보내는 매우 겸손한 질책 62
    제14장 왜 일본에서 기독교는 그토록 불쾌감을 주는가 66
    제15장 포교 67

    제26편 법이 판결하는 일의 분야와 법의 관계
    제1장 개요 69
    제2장 신의 법과 인간의 법 70
    제3장 자연법에 어긋나는 시민법 71
    제4장 같은 주제 계속 73
    제5장 자연법의 원리를 변경하여 시민법의 원리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 경우 74
    제6장 상속의 순서는 자연법의 원리가 아니라 정치법이나 시민법의 원리에 좌우된다 75
    제7장 자연법의 규범에 관한 사항을 종교의 규범에 따라 결정해서는 ****된다 78
    제8장 시민법의 원리에 따라 규정된 사항을 카논법의 원리로 규정해서는 ****된다 79
    제9장 시민법의 원리에 따라 규정되어야 하는 사항이 종교법의 원리에 따라 규정될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80
    제10장 어떤 경우에 금지하는 종교법이 아니라 허용하는 시민법을 따라야 하나 83
    제11장 내세에 관한 재판소의 규율로 인간의 재판소를 규정해서는 ****된다 83
    제12장 같은 주제 계속 84
    제13장 혼인에 관하여 어떤 경우에 종교법을 따르고 어떤 경우에 시민법을 따라야 하나 84
    제14장 친족 간 혼인에서 어떤 경우에 자연법을 따르고 어떤 경우에 시민법을 따라야 하나 86
    제15장 시민법의 원리에 의존하는 사항을 정치법의 원리로 규제해서는 ****된다 91
    제16장 정치법의 규칙으로 결정해야 할 때, 시민법의 규칙으로 결정해서는 ****된다 93
    제17장 같은 주제 계속 95
    제18장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법들이 같은 분야에 속하는 것인지 검토해야 한다 96
    제19장 가정법에 의해 결정해야 할 것을 시민법에 의해 결정해서는 ****된다 97
    제20장 만민법에 속하는 것을 시민법의 원리에 의해 결정해서는 ****된다 98
    제21장 만민법에 속하는 것을 정치법에 의해 결정해서는 ****된다 99
    제22장 잉카 황제 아타우알파의 불행한 운명 100
    제23장 어떤 사정으로 인해 정치법이 국가를 파괴하게 될 때, 국가를 보존하면서 때로는 만민법이 되는 정치법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100
    제24장 경찰 규칙은 다른 시민법과는 다른 분야에 속한다 102
    제25장 고유의 성질에서 도출된 특수한 규칙에 따라야 하는 사항에 대해 시민법의 일반적 규정을 따라서는 ****된다 103

    제6부

    제27편 상속에 관한 로마법의 기원과 변천
    단일 장 107
    제28편 프랑스인의 시민법 기원과 변천
    제1장 여러 게르만족 법의 상이한 특성 125
    제2장 야만족의 법은 모두 속인법(屬人法)이었다 129
    제3장 살리카법과 서고트족 및 부르군트족의 법의 주요한 차이 131
    제4장 로마법은 어떻게 프랑크족의 지배 지역에서는 사라지고, 고트족과 부르군트족의 지배 지역에서는 유지되었는가 133
    제5장 같은 주제 계속 138
    제6장 어떻게 로마법은 롬바르드족의 영토에서 보존되었나 139
    제7장 어떻게 로마법은 스페인에서 없어졌나 140
    제8장 가짜 법령 142
    제9장 야만족의 법전과 법령은 어떻게 없어졌나 142
    제10장 같은 주제 계속 145
    제11장 야만족의 법전과 로마법 및 법령들이 몰락한 그 밖의 원인 145
    제12장 지방의 관습 - 야만족의 법과 로마법의 변천 147
    제13장 살리카법 또는 살리 프랑크족의 법과 리푸아리 프랑크족의 법 및 다른 야만족의 법의 차이 150
    제14장 그 밖의 차이 151
    제15장 성찰 153
    제16장 살리카법에 의해 설정된 끓는 물에 의한 증명 153
    제17장 우리 선조들의 사고방식 154
    제18장 결투에 의한 증명은 어떻게 확대되었나 157
    제19장 살리카법, 로마법, 왕의 법령들이 잊힌 새로운 이유 164
    제20장 명예에 관한 일의 기원 166
    제21장 게르만족의 명예에 관한 일에 대한 새로운 고찰 168
    제22장 결투에 관련된 풍속 169
    제23장 결투재판의 법규 171
    제24장 결투재판에서 수립된 규칙 172
    제25장 결투재판의 관행에 가해진 제한 174
    제26장 당사자 한 명과 증인 한 명 사이의 결투재판 177
    제27장 한쪽 당사자와 영주의 중신 중 한 사람 사이의 결투재판, 오판에 대한 상소 179
    제28장 재판 불이행에 대한 상소 187
    제29장 성왕 루이의 통치 시대 193
    제30장 상소에 대한 고찰 197
    제31장 같은 주제 계속 197
    제32장 같은 주제 계속 198
    제33장 같은 주제 계속 200
    제34장 어떻게 해서 소송 절차는 비공개가 되었나 201
    제35장 소송비용 202
    제36장 검찰관 204
    제37장 성왕 루이의 《율령집》은 어떻게 잊혔나 208
    제38장 같은 주제 계속 210
    제39장 같은 주제 계속 213
    제40장 어떻게 교황령(敎皇令)의 재판 형식이 채택되었나 215
    제41장 교회 재판권과 세속 재판권의 성쇠 216
    제42장 로마법의 부흥과 그 결과. 재판소 안에서의 변화 218
    제43장 같은 주제 계속 222
    제44장 증인에 의한 증거 223
    제45장 프랑스의 관습법 224

    제29편 법 제정의 방식
    제1장 입법자의 정신 229
    제2장 같은 주제 계속 230
    제3장 입법자의 의도에서 멀어진 듯 보이는 법이 종종 그것에 부합한다 230
    제4장 입법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법 231
    제5장 같은 주제 계속 231
    제6장 같은 것처럼 보이는 법이 항상 같은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232
    제7장 같은 주제 계속, 법을 잘 만들 필요성 233
    제8장 같은 것처럼 보이는 법이 항상 같은 동기를 갖지는 않는다 234
    제9장 그리스법과 로마법은 자살을 벌했으나, 그 동기는 달랐다 235
    제10장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는 법이 때로는 같은 정신에서 유래한다 236
    제11장 어떤 방법으로 두 가지 다른 법이 비교될 수 있나 237
    제12장 같은 것으로 보이는 법이 실제로는 때때로 다르다 238
    제13장 법을 그 제정 목적에서 분리해서는 ****된다. 절도에 관한 로마법 239
    제14장 법을 그 법이 제정된 상황에서 분리해서는 ****된다 241
    제15장 때로는 법이 스스로 교정되는 것이 좋다 242
    제16장 법 제정 시 준수해야 할 사항 243
    제17장 법을 제정하는 나쁜 방법 249
    제18장 획일성의 관념 250
    제19장 입법자 251

    제30편 프랑크족의 봉건법 이론과 군주정체 확립의 관계
    제1장 봉건법 253
    제2장 봉건법의 근원 254
    제3장 봉신제의 기원 255
    제4장 같은 주제 계속 257
    제5장 프랑크족의 정복 258
    제6장 고트족, 부르군트족, 프랑크족 259
    제7장 토지를 분배하는 여러 방법 259
    제8장 같은 주제 계속 261
    제9장 토지 분배에 관한 부르군트족의 법과 서고트족의 법의 올바른 적용 262
    제10장 노예제 263
    제11장 같은 주제 계속 265
    제12장 야만족에게 분배된 토지는 조세를 내지 않았다 270
    제13장 프랑크족의 군주제에서 로마인과 갈리아인은 무엇을 부담했나 274
    제14장 ‘켄수스’(census)라는 것 277
    제15장 ‘켄수스’라고 불린 것은 농노에게만 부과되고 자유인에게는 부과되지 않았다 279
    제16장 근위무사 또는 봉신 284
    제17장 자유인의 ****무 286
    제18장 이중의 업무 290
    제19장 야만족의 합의금 294
    제20장 그 후에 영주의 재판권이라고 불린 것 300
    제21장 교회의 영지 재판권 305
    제22장 재판권은 제2왕조가 끝나기 전에 확립되었다 308
    제23장 뒤보 사제의 《갈리아에서의 프랑스 군주제 성립》의 개요 313
    제24장 같은 주제 계속, 체계의 내용에 관한 고찰 314
    제25장 프랑스 귀족 319

    제31편 프랑크족의 봉건법 이론과 군주정체 변천의 관계
    제1장 관직과 봉토의 변화 329
    제2장 시민 통치는 어떻게 개혁되었나 335
    제3장 궁재의 권위 339
    제4장 궁재에 대한 국민의 생각은 어땠나 343
    제5장 궁재는 어떻게 군대의 지휘권을 얻었나 344
    제6장 제1왕조 국왕 쇠퇴의 제2기 346
    제7장 궁재 밑의 주요 관직과 봉토 348
    제8장 자유 소유지가 어떻게 봉토로 바뀌었나 350
    제9장 교회의 재산이 어떻게 봉토로 바뀌었나 354
    제10장 성직자의 부(富) 356
    제11장 카롤루스 마르텔루스 시대 유럽의 상황 358
    제12장 십일조의 설정 362
    제13장 주교직과 수도원장직 선출권 367
    제14장 카롤루스 마르텔루스의 봉토 367
    제15장 같은 제목 계속 368
    제16장 왕권과 궁재권의 혼합, 제2왕조 369
    제17장 제2왕조 국왕 선출의 특수한 사정 371
    제18장 카롤루스 마그누스 374
    제19장 같은 주제 계속 376
    제20장 유순왕 루도비쿠스 377
    제21장 같은 주제 계속 380
    제22장 같은 주제 계속 381
    제23장 같은 주제 계속 383
    제24장 자유인이 봉토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387
    제25장 제2왕조 쇠퇴의 주요 원인, 자유 소유지의 변화 388
    제26장 봉토의 변화 392
    제27장 봉토에 일어난 또 다른 변화 394
    제28장 주요 관직과 봉토에 생긴 변화 396
    제29장 대머리왕 카롤루스 통치 이후의 봉토의 성질 398
    제30장 같은 주제 계속 399
    제31장 어떻게 제국은 카롤루스 마그누스 가문 밖으로 옮겨졌나 401
    제32장 어떻게 프랑스 왕위는 위그 카페 가문으로 옮겨졌나 402
    제33장 봉토의 영구성의 몇 가지 결과 404
    제34장 같은 주제 계속 410

    옮긴이 주 413
    찾아보기 431
    지은이·옮긴이 소개 437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법의 정신 3-3
    법의 정신 3-3 29,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