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 정신 3-1 > 법학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법의 정신 3-1 > 법학

법의 정신 3-1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나남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나남
시중가격 28,000원
판매가격 28,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법의 정신 3-1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법의 정신 3-1

    9788930041386.jpg

    도서명:법의 정신 3-1
    저자/출판사:몽테스키외진인혜,번역/나남
    쪽수:424쪽
    출판일:2023-06-15
    ISBN:9788930041386

    목차
    옮긴이 머리말 7
    저자의 일러두기 13
    저자 머리말 15


    제1부

    제1편 법 일반
    제1장 다양한 존재와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의 법 35
    제2장 자연법 39
    제3장 실정법 41

    제2편 정체의 본질에서 직접 유래하는 법
    제1장 세 가지 정체의 본질 45
    제2장 공화정체 및 민주정체에 관한 법 46
    제3장 귀족정체의 본질에 관한 법 53
    제4장 군주정체의 본질에 관한 법 56
    제5장 전제국가의 본질에 관한 법 59

    제3편 세 가지 정체의 원리
    제1장 정체의 본질과 원리의 차이 63
    제2장 다양한 정체의 원리 64
    제3장 민주정체의 원리 64
    제4장 귀족정체의 원리 68
    제5장 덕성은 군주정체의 원리가 아니다 69
    제6장 군주정체에서 덕성의 부족은 어떻게 보완되는가 71
    제7장 군주정체의 원리 72
    제8장 명예는 전제국가의 원리가 아니다 73
    제9장 전제정체의 원리 74
    제10장 제한된 정체와 전제정체에서 복종의 차이 75
    제11장 전체적인 고찰 77

    제4편 교육에 관한 법은 정체의 원리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제1장 교육에 관한 법 79
    제2장 군주정체에서의 교육 80
    제3장 전제정체에서의 교육 84
    제4장 고대인과 우리에게 있어서 교육 효과의 차이 86
    제5장 공화정체에서의 교육 86
    제6장 그리스인의 몇 가지 제도 87
    제7장 이 특이한 제도는 어떤 경우에 좋은가 91
    제8장 풍습에 관한 고대인의 역설에 대한 설명 92
    제5편 입법자가 제정하는 법은 정체의 원리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제1장 개요 97
    제2장 정치적 국가에서의 덕성 98
    제3장 민주정체에서의 공화국에 대한 사랑 98
    제4장 평등과 검소함에 대한 사랑을 어떻게 고취시키나 100
    제5장 민주정체에서 법은 어떻게 평등을 확립하는가 101
    제6장 민주정체에서 법은 어떻게 검소함을 유지해야 하나 105
    제7장 민주정체의 원리를 옹호하는 또 다른 방법들 107
    제8장 귀족정체에서 법은 정체의 원리와 어떻게 관계되어야 하는가 111
    제9장 군주정체에서 법은 그 원리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117
    제10장 군주정체에서 집행의 신속성 119
    제11장 군주정체의 우수성 120
    제12장 같은 주제 계속 122
    제13장 전제정체의 관념 122
    제14장 법은 전제정체의 원리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123
    제15장 같은 주제 계속 130
    제16장 권력의 전달 132
    제17장 선물 134
    제18장 최고 주권자의 포상 135
    제19장 세 가지 정체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귀결 136

    제6편 시민법과 형법의 단순성, 재판 절차, 형벌의 결정에 관한 여러 정체의 원리에서 나오는 결과
    제1장 여러 정체에서 시민법의 단순성 143
    제2장 여러 정체에서 형법의 단순성 146
    제3장 어떤 정체에서, 어떤 경우에 정확히 법조문에 따라 재판해야 하나 148
    제4장 판결을 내리는 방법 149
    제5장 어떤 정체에서 주권자가 재판관이 될 수 있나 151
    제6장 군주정체에서 대신은 재판하면 ****된다 155
    제7장 단독사법관 156
    제8장 다양한 정체에서의 고발 157
    제9장 다양한 정체에서 형벌의 가혹함 158
    제10장 프랑스의 옛 법 160
    제11장 인민에게 덕이 있을 때는 형벌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160
    제12장 형벌의 힘 161
    제13장 일본법의 무력함 164
    제14장 로마 원로원의 정신 167
    제15장 형벌에 관한 로마인의 법 168
    제16장 죄와 형벌의 올바른 균형 171
    제17장 죄인에 대한 고문 또는 고신 173
    제18장 금전형과 체형 174
    제19장 탈리온 법 175
    제20장 자식의 범죄에 대한 아버지의 처벌 176
    제21장 군주의 관용 176

    제7편 사치 단속법, 사치, 여자의 지위에 관한 세 정체의 상이한 원리의 귀결
    제1장 사치 179
    제2장 민주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2
    제3장 귀족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3
    제4장 군주정체에서의 사치 단속법 184
    제5장 어떤 경우에 군주정체에서 사치 단속법이 유익한가 186
    제6장 중국에서의 사치 188
    제7장 중국에서 사치의 치명적 결과 190
    제8장 대중의 정숙함 191
    제9장 여러 정체에서 여자의 지위 191
    제10장 로마의 가정 법정 193
    제11장 로마에서는 어떻게 제도가 정체와 함께 변화했나 194
    제12장 로마에서 여자에 대한 후견 196
    제13장 여자의 방탕에 대해 황제들이 정한 형벌 196
    제14장 로마인의 사치 단속법 199
    제15장 여러 정체에서 혼인의 이점과 지참 재산 200
    제16장 삼니움족의 훌륭한 관습 201
    제17장 여자들의 행정부 202

    제8편 세 정체의 원리의 부패
    제1장 개요 203
    제2장 민주정체의 원리의 부패 203
    제3장 극도의 평등 정신 207
    제4장 인민이 부패하는 특별한 원인 207
    제5장 귀족정체의 원리의 부패 208
    제6장 군주정체의 원리의 부패 210
    제7장 같은 주제 계속 211
    제8장 군주정체의 원리 부패의 위험 212
    제9장 귀족은 왕권을 지키려는 경향이 얼마나 있나 213
    제10장 전제정체 원리의 부패 213
    제11장 원리의 양호함과 부패에서 생기는 자연적 결과 214
    제12장 같은 주제 계속 217
    제13장 덕성스러운 인민에게 선서의 효과 218
    제14장 국가 구조의 사소한 변화가 어떻게 원리의 붕괴를 초래하는가 219
    제15장 세 가지 원리의 보존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 220
    제16장 공화정체의 특성 220
    제17장 군주정체의 특성 222
    제18장 특수한 경우인 스페인 군주정체 223
    제19장 전제정체의 특성 224
    제20장 앞선 장들의 결론 224
    제21장 중국 제국 224
    제2부

    제9편 법과 방어력의 관계
    제1장 공화국은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1
    제2장 연방의 구조는 동질의 국가들, 특히 공화국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233
    제3장 그 밖에 연방 공화정체에 필요한 것들 234
    제4장 전제국가는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5
    제5장 군주국가는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비하는가 236
    제6장 국가의 방어력 일반 236
    제7장 성찰 238
    제8장 한 나라의 방어력이 공격력보다 떨어지는 경우 239
    제9장 국가의 상대적인 힘 240
    제10장 이웃 나라의 쇠약 240

    제10편 법과 공격력의 관계
    제1장 공격력 241
    제2장 전쟁 241
    제3장 정복의 권리 243
    제4장 피정복 민족의 몇 가지 이점 246
    제5장 시라쿠사의 왕 겔론 247
    제6장 정복하는 공화국 248
    제7장 같은 주제 계속 250
    제8장 같은 주제 계속 250
    제9장 주변을 정복하는 군주국 251
    제10장 다른 군주국을 정복하는 군주국 252
    제11장 피정복 민족의 풍속 253
    제12장 키루스 법 253
    제13장 카를 12세 254
    제14장 알렉산드로스 256
    제15장 정복을 보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261
    제16장 정복하는 전제국가 262
    제17장 같은 주제 계속 263

    제11편 국가 구조와의 관계에서 정치적 자유를 구성하는 법
    제1장 개요 265
    제2장 자유라는 말에 주어진 여러 가지 의미 265
    제3장 자유란 무엇인가 267
    제4장 같은 주제 계속 267
    제5장 여러 국가의 목적 268
    제6장 영국의 국가 구조 269
    제7장 우리가 아는 군주정체 284
    제8장 왜 고대인은 군주정체에 관해 명확한 관념을 갖지 못했나 284
    제9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사고방식 286
    제10장 다른 정치가들의 사고방식 287
    제11장 그리스 영웅적 시대의 왕들 287
    제12장 로마 왕정과 삼권 분배의 방식 289
    제13장 국왕 추방 후의 로마의 상태에 관한 일반적 고찰 292
    제14장 국왕 추방 후 삼권의 분배가 어떻게 변하기 시작했나 294
    제15장 어떻게 로마는 공화정체가 번영하는 상태에서 갑자기 자유를 잃었나 297
    제16장 로마 공화정의 입법권 298
    제17장 로마 공화정의 집행권 300
    제18장 로마 정체의 재판권 302
    제19장 로마 주들의 정체 311
    제20장 맺는말 314

    제12편 시민과의 관계에서 정치적 자유를 구성하는 법
    제1장 개요 315
    제2장 시민의 자유 316
    제3장 같은 주제 계속 317
    제4장 자유는 형벌의 성질과 비례에 의해 촉진된다 318
    제5장 특히 절제와 신중이 필요한 몇몇 고발 322
    제6장 자연에 반하는 죄 324
    제7장 불경죄 325
    제8장 신성모독죄와 불경죄라는 명칭의 잘못된 적용 326
    제9장 같은 주제 계속 328
    제10장 같은 주제 계속 330
    제11장 생각 330
    제12장 경솔한 말 331
    제13장 글 333
    제14장 범죄 처벌에서 수치심의 침해 335
    제15장 주인을 고발하기 위한 노예해방 336
    제16장 불경죄에서의 비방 337
    제17장 ****의 폭로 337
    제18장 공화정체에서 불경죄를 지나치게 벌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 338
    제19장 공화정체에서 자유의 행사는 어떻게 정지되는가 340
    제20장 공화정체에서 시민의 자유에 유리한 법 342
    제21장 공화정체에서 채무자에 대한 법의 가혹함 342
    제22장 군주정체에서 자유를 해치는 것 345
    제23장 군주정체에서의 밀정 346
    제24장 익명의 편지 347
    제25장 군주정체에서 통치하는 방법 348
    제26장 군주정체에서 군주는 접근하기 쉬운 존재여야 한다 349
    제27장 군주의 품행 349
    제28장 신민에 대해 군주가 가져야 할 존중 350
    제29장 전제정체에서****간의 자유를 부여하기에 적합한 시민법 351
    제30장 같은 주제 계속 352

    제13편 조세 징수와 공공 수입의 규모가 자유에 대해 갖는 관계
    제1장 국가의 수입 355
    제2장 조세가 많아야 좋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356
    제3장 인민의 일부가 농노인 나라의 조세 357
    제4장 같은 경우의 공화정체 357
    제5장 같은 경우의 군주정체 358
    제6장 같은 경우의 전제국가 358
    제7장 농노제가 확립되지 않은 나라의 조세 359
    제8장 어떻게 착각을 유지하는가 362
    제9장 나쁜 종류의 세금 363
    제10장 조세의 규모는 정체의 본질에 달려 있다 363
    제11장 세무 관련 형벌 364
    제12장 조세의 규모와 자유의 관계 365
    제13장 어떤 정체에서 조세가 증가할 수 있나 366
    제14장 조세의 성질은 정체와 관련된다 367
    제15장 자유의 남용 368
    제16장 이슬람교도의 정복 369
    제17장 군대의 증강 370
    제18장 조세의 감면 371
    제19장 징세 ****제와 직접 징세 중 어느 것이 군주와 인민에게 더 적당한가? 372
    제20장 징세 ****인 374


    옮긴이 해제: 자유를 위한 초석, 몽테스키외와 《법의 정신》 375
    옮긴이 주 391
    찾아보기 417
    지은이 · 옮긴이 소개 421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법의 정신 3-1
    법의 정신 3-1 28,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경기책방 주소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미꽃길 157-161
사업자 등록번호 682960126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경기파주-1335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오주봉

Copyright © 2001-2013 경기책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