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의 동과 서: 경계와 해체, 수용과 통합

도서명:유라시아의 동과 서: 경계와 해체, 수용과 통합
저자/출판사: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민속원
쪽수:294쪽
출판일:2023-12-30
ISBN:9788928519255
목차
총설
제1부 역사 속의 유라시아 :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그 역사적 담론과 경계1장 러시아 연방의 유라시아 담론과 그 의미_ 이정하1. 서론
2. 유라시아 담론의 주요 측면
3. 담론의 진화
4. 결론
2장 메르브의 역사 속 배타적 지역주의 연구_ 곽성웅ㆍ최배성1. 접경도시 메르브의 과거와 현재
2.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의 메르브
3. 메르브의 배타적 지역주의의 형성과 발전, 쇠퇴와 소멸
4. 접경도시 메르브의 과거와 현재, 미래
3장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점령과 통치,그리고 그 역사적 관계_ 정세진1. 서론
2.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정치적 지배의 함의
3. 제정러시아 시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관계
4. 소련 통치 시기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키워드
5. 소비에트 체제의 해체와 현대 중앙아시아의 자민족 인식
6. 결론
4장 이슬람 중심 중앙아시아 정주문명 전통도시의다종교-다문화구조_ 김상철 :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1. 서론
2. 중앙아시아에 대한 문명사적인 이해와 이슬람
3. 정주문명지대 도시의 다종교 및 다문화변화
4. 결론
제2부 유라시아의 동과 서 : 경계와 해체, 수용과 통합5장 ‘시네르게찌까(синергетика)’의 관점에서 고찰한 A. 타르코프스키의동ㆍ서양 통합 비전과 트랜스퍼스널심리학의 포에지_ 박영은1. 서론 : 트랜스퍼스널심리학과 시네르게찌까의 관점에서 본타르코프스키의 세계인식
2.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에 반영된 ‘과학’과 ‘영성’의 융화
3. 타르코프스키 영화에 반영된‘서양 신비주의’와 ‘동양 정신세계’의 통합비전
4.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에 반영된‘이상을 향한 예술’과 ‘인류 구원’의 문제
5. 결론
6장 고대 러시아의 문학에 나타난 동방과 아시아_ 서선정 : 11~15세기 여행 문학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고대 러시아인의 세계 지형도
3. 고대 러시아 여행 문학 속에 나타난 동과 아시아
4. 고대 러시아 문학 속에 나타난동방으로서의 인도와 아파나시 니키틴의 인도
5. 나가며
7장 1960년대 소비에트 실크로드 외교와 사마르칸트_ 신보람1. 서론
2. 사마르칸트 : 도시의 간추린 역사
3. 유네스코의 중앙아시아 문명연구 프로젝트와 국제도시 사마르칸트
4. 나가며
8장 스펙타클의 도시 바쿠_ 황기은 : 불의 땅과 카스피해의 두바이
1. 들어가는 말
2. 21세기 바쿠의 딜레마
3. 바쿠와 브랜드 : ‘불의 땅’과 ‘카스피해의 두바이’
4. 파사드로서의 스펙타클
5. 맺는말
찾아보기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