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도서명: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저자/출판사:우실하/지식산업사
쪽수:708쪽
출판일:2018-09-28
ISBN:9788942390519
목차
여는 글 ∥5
제1부
요하문명의 발견과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5
제1장 서론 ∥17
1. ‘○○유지(=유적)’, ‘○○문화’, ‘○○문명’ 개념 _17
2.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 설정 문제 _19
3. 요하문명에 대한 한·중·몽골의 시각 차이 _21
4. 요하문명 관련 국내에 잘못 알려진 것 _33
5. 요하문명 지역의 각종 고고학문화의 연대 측정에 대한 의구심에 대하여 _40
제2장 요하문명에 대한 개괄적 소개 ∥47
1.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충격 _47
2. 주요 신석기-청동기시대 고고학문화의 편년과 분포 범위 _49
3.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의 기본적인 성격 _55
4. 요하문명 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 분포 _58
제3장 ‘요하문명’의 발견과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63
1. 우하량유적의 발견 _63
2. 중원과는 독자적인 ‘원시문명’ 혹은 ‘요서 지역 고문명’ _64
3. 곽대순에 의해 ‘요하문명’으로 명명되다 _65
4.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1: 요하문명의 주도세력을 황제족(黃帝族)으로 _68
5. 중국학계의 발 빠른 대응 2: 국가주도의 각종 역사관련 공정(=프로젝트) _78
제4장 요하문명 지역의 자연-지리-기후적 조건 ∥97
1. 요하문명 지역 지형 _97
2. 요하문명 지역의 수계와 유적 분포 _99
3. 요하문명 지역의 사막 _120
4. 요하문명 지역의 과거 1만년 동****기후 조건의 변화 _133
5. 요하문명 지역의 화산 _153
제2부
요하문명의 주요 고고학문화와 한반도 ∥169
제5장 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 BC 7000?6500)와 한반도 ∥171
1. 소하서문화에 대한 개략적 소개 _171
2. 소하서문화의 발견과 명명 및 같은 유형의 유적지 발견 _175
3. 소하서문화의 특징 _181
4. 소하서문화와 흥륭와문화의 계승관계에 대하여 _193
5. 소하서문하 소하서유지-유수산유지-서량유지 답사 자료 _194
6. 적봉대학 박물관 소장 소하서문화 빗살무늬토기 자료 소개 _203
7. 한반도 빗살무늬토기와의 비교 _214
제6장 흥륭와문화(興隆?文化: BC 6200-5200)와 한반도 ∥221
1. 흥륭와문화 소개 _221
2. 세계 최초의 옥 귀걸이 옥결(玉?) _225
3. 세계 최초의 재배종 기장〔黍〕과 조〔粟〕 _240
4. 세계 최초의 치아 수술 흔적 _252
5. 동북아시아 최초의 환호취락(環濠聚落) _260
6. 동북아시아 최초의 적석총과 한반도 _272
7. 동북아시아 최초의 석인상(石人像) _290
제7장 부하문화(富河文化: BC 5200-5000)와 한반도 ∥303
1. 부하문화 소개 _303
2. 최초의 복골(卜骨) 발견 _305
3. 골복문화(骨卜文化)와 한반도 _314
제8장 조보구문화(趙寶溝文化: BC 5000-4400)와 한반도 ∥331
1. 조보구문화 소개 _331
2. 조보구문화 존형기(尊型器)의 놀라운 제작 기법 _332
3. 존형기(尊型器)의 제작 기법을 이은 최초의 번개무늬토기 _340
4. 조보구문화 토기와 한반도, 연해주 지역 토기 비교 _343
제9장 홍산문화(紅山文化: BC 4500-3000)와 한반도 ∥359
1. 홍산문화의 발견과 명명 과정 _359
2. 홍산문화 우하량유지의 발견과 발굴 _379
3. 홍산문화 개괄 _383
4. 홍산문화의 분포 범위에 대한 재검토 _386
5. 적봉시 홍산(紅山)과 홍산유지군(紅山遺址群) _410
6. ‘홍산문화의 꽃’ 우하량(牛河梁)유지 _425
7. 2012년에 발견된 홍산문화 도소남신상(陶塑男神像) _486
8. 홍산문화의 편두(偏頭) 관습 _494
9.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의 확립 가능성 _498
10. 홍산문화의 소멸 원인에 대하여 _504
제10장 홍산문화 옥기의 상징성과 홍산인의 사유체계 ∥515
1. 홍산문화 각종 옥벽(玉璧)의 상징적 의미와 샤먼의 위계 _515
2. 홍산문화 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 옥저룡(玉猪龍)과 무지개 _535
3. 홍산문화 각종 삼공기(三孔器)와 3개의 태양이 뜨는 ‘환일(幻日) 현상’ _547
4. 홍산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_555
제11장 청동기시대 하가점하층문화와 하가점상층문화 ∥565
1. 하가점하층문화와 ‘치(雉)를 갖춘 석성’ _565
2. 하가점상층문화와 비파형동검 _571
제3부
최근 중국 고고-역사학계의 동향과 고조선 ∥587
제12장 최근 중국 고고-역사학계의 동향 ∥589
1. 문명단계, 국가단계 진입 시기에 대한 중국학계의 논의 _589
2. ‘최초의 중국(中國)’ 논쟁 _596
3. 석묘(石?)유지의 발견과 황제족의 활동 영역 논쟁 _598
4. 능가탄(凌家灘)유지의 발견과 홍산문화 _603
5. 홍산문화의 주도권을 둘러싼 내몽고 적봉시와 요녕성 조양시의 경쟁 _607
제13장 요(堯)임금의 도성 평양(平陽)과 단군조선 ∥613
1. 중화문명탐원공정과 도사유지 _613
2. 산서성 임분시와 요도(堯都) 평양(平陽) _614
3. 도사유지의 발견과 요순시대(堯舜時代) _627
4. 도사유지, 요임금, 단군조선 그리고 요하문명 _664
제14장 한국학계의 과제와 동방 르네상스 ∥675
1. 요하문명과 한반도 _675
2. 한국학계의 과제 _678
3.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_688
참고문헌 ∥691
찾아보기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