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도서명: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저자/출판사:임재해/지식산업사
쪽수:799쪽
출판일:2018-09-17
ISBN:9788942390496
목차
책머리에: 공든 탑을 무너뜨리다 ∥5
머리글: 고조선문화의 뿌리 신시문화를 읽는 눈 ∥13
제1장 서론: 고조선문명을 이해하는 다중적 시각 ∥27
1. 사가와 사학자로서 역사인식의 혁신 _27
2. 사가는 역사 서술의 주체이자 객체 _29
3. 사료를 해석하는 두 사관의 문제의식 _33
4. 사실의 역사 검증과 의식의 역사 해석 _36
5. 문헌사학 극복을 위한 생활사료의 개척 _39
6. 과거사와 미래사를 통섭하는 생활사료 _44
7. 고조선문명의 구심점 신시문화의 정체 _48
제2장 민족사 해석의 상대주의와 주권사학의 길 ∥57
1. 전파론적 유목문화 전래설의 비판적 인식 _57
2. 농경문화 기원설 수립을 위한 예비적 작업 _61
3. 전파주의 극복의 신비교주의와 문화생태학 _68
4. 학문주권과 함께 가는 역사주권의식의 확립 _73
5. 탈근대사학의 상상력과 민족주권주의 모색 _77
6. 서구중심의 민족주의 비판과 역사주권주의 _82
7. 문화주권과 학문주권에 따른 생태사학 인식 _86
8. 역사주권을 위한 주권사학과 역사상대주의 _91
제3장 사료의 갈래 확장과 고조선시대 다시 읽기 ∥95
1. 사료학으로서 역사학과 사료의 가치 _95
2. 고조선시대 사료와 사료의 갈래 인식 _98
3. 문헌사료의 한계와 역사해석의 오류 _100
4. 물질사료와 구술사료의 역사 증언 기능 _106
5. 사료의 갈래 확장과 생활사료의 설정 _109
6. 기존사료의 한계와 생활사료의 기능 _115
7. 역사 부정의 사료해석과 살아 있는 역사 _120
8. 본풀이사관으로 읽는 고조선시대 역사 _123
제4장 고조선시대 역사의 부정과 사료 해석 비판 ∥131
1. ‘고조선’조의 인용문헌과 사료로서 근거 _131
2. 《위서》와 《고기》 사료와 부당전제의 오류 _133
3. 전거입증의 논리적 함정과 실전사료의 가치 _139
4. 신화로 간주된 《고기》 부정에 대한 비판 _144
5. 신화사료의 비역사성과 역사 전승의 기능 _147
6. 역사적 사실과 사료의 비동질성 문제인식 _151
제5장 생활사료로 읽는 고조선문화의 지속과 전통 ∥157
1. 《고기》의 사료적 의의와 교차검증의 필요성 _157
2. 고조선 사료의 존재양식과 구술사료 인식 _161
3. 구술사료보다 더 생생한 생활사료의 역사 _166
4. 생활사료에 의한 고조선시대 역사의 입증 _172
5. 《고기》의 불가사의와 생활사료로서 재해석 _182
6. 곰과 범의 역사적 실체와 토템문화의 전통 _193
7. 구비역사로서 고조선본풀이의 역사 기능 _198
제6장 민족사의 시작 신시고국의 정체와 역사인식 ∥203
1. 고조선본풀이의 서사성과 역사적 기능 _203
2. 환웅본풀이의 형상물과 신앙생활의 전통 _208
3. 환웅본풀이를 구성하는 세 종족과 토템동물 _224
4. 환웅족의 새토템과 고구려의 신시고국 계승 _229
5. ‘환웅천조상’의 태양조 토템과 늑대족 정체 _237
6. 신시고국의 삼족오와 신단수의 문화적 전통 _247
7. 환웅족 신시고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지속성 _255
제7장 환웅신시의 태양숭배사상 성립과 본풀이 사료 ∥259
1. 도구 중심 시대구분에 대한 비판적 인식 _259
2. 빙하기를 겪은 신석기인의 태양숭배 인식 _265
3. 동굴생활에서 창출된 신석기와 예술적 사유 _273
4. 건국시조본풀이 서술체계의 구조적 일관성 _280
5. 건국시조본풀이 서사구조의 동질성과 지속성 _296
6. 환웅신시의 역사를 입증하는 후대의 본풀이 _306
7. 건국시조 환웅과 태양시조사상의 지속 양상 _309
8. 태양족의 성씨 형성과 건국시조의 ‘해’ 상징 _320
9. 난생신화가 아닌 태양신화로서 건국본풀이 _327
10. 국호에 나타난 해 상징과 역법의 해 인식 _336
11. 건국본풀이의 역사 해석과 민족사의 정체 _352
제8장 태양숭배 문화의 역사적 형성과 문화창출 기능 ∥359
1. 태양숭배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재인식 _359
2. 신시인의 태양숭배 문화형성과 빙하기체험 _362
3. 신시인이 되기 위한 통과의례로서 동굴체험 _369
4. 동굴생활의 신화적 추체험 공간으로서 고인돌 _376
5. 태양숭배 문화의 전통과 고인돌의 천제 기능 _384
6. 고인돌의 태양숭배 문화와 방형적석묘의 기능 _395
7. 세계관적 구조물로서 고인돌과 방형적석묘 양식 _403
8. 고인돌과 방형적석묘 문화의 통시적 선후관계 _408
9. 고인돌문화의 유무와 고조선문명의 발전 층위 _413
10. 태양숭배 문화의 공유와 유물의 제의적 해석 _418
제9장 태양상징의 환웅천왕과 태양시조사상의 지속 ∥427
1. 한국사 시대구분 논리와 상고사의 증발 _427
2. 환웅시대의 설정과 신시고국의 역사인식 _429
3. 환웅천왕의 존재 위상으로 본 하늘인식 _434
4. 신시고국 시조 환웅천왕과 태양상징 국호 _440
5. 국호 신시의 의미 재해석과 태양시조사상 _445
6. 태양상징의 건국영웅과 태양시조의 지속 _449
7. 건국본풀이의 지속과 변화를 읽는 통찰력 _459
제10장 홍익인간 이념의 역사적 지속과 민속문화의 전통 ∥463
1. 홍익인간 이념의 주체와 민족사 인식 _463
2. 홍익인간 이념과 신시의 역사적 정체성 _468
3. 홍익인간 이념의 역사적 상징과 지속성 _476
4. 홍익인간 이념의 생활사와 문화적 지속 _481
5. 두레 전통에 갈무리된 일자리 공유문화 _489
6. 놀이의 인간해방 정신과 공동선의 지향 _492
7. 만신을 섬기는 공생굿과 풀이의 화해굿 _495
8. 일생의례의 잔치판과 이바지의 축제성 _498
9. 민속문화에 갈무리된 홍익인간의 실현 _503
제11장 홍산문화 유산과 고대 국중대회의 제천의식 ∥507
1. 신시고국 문화와 제천의식의 전통 읽기 _507
2. 신시고국의 홍산문화 유산과 천제단 유적 _509
3. 옥기문화의 제천의식 기능과 홍익인간 사상 _520
4. 원구형의 대형 천제단과 국중대회의 전통 _529
5. 국중대회 양식과 제천의식의 농경문화 전통 _536
6. 홍익인간 이념과 제천의식의 생태학적 인식 _541
제12장 신시고국의 농경문화유산과 홍산문화 재해석 ∥545
1. 생태사학의 관점과 농경ㆍ유목문화 비교모형 _545
2. 문헌사료로 본 신시의 농경문화와 정착생활 _550
3. 중국사료에 기록된 동이족의 농경문화 전통 _556
4. 고고학 유물에서 확인되는 농경문화의 역사 _563
5. 홍산문화 지역의 발굴유물과 농경문화 유산 _574
6. 중국사의 정통에서 벗어난 홍산고국의 발명 _582
7. 신시고국의 문화유산으로서 홍산문화의 포착 _591
8. 홍산문화 옥기 재질의 기능과 형상의 상징성 _599
9. 홍산문화 옥기의 상징과 신시고국의 세계관 _605
10. 농경문화의 전통과 유목문화의 교류 가능성 _613
11. 농경문화의 유목지역 전파와 생태학적 적응 _621
제13장 신시문화의 전통과 역사적 지속의 두 갈래 ∥631
1. 역사유전자로서 사료 확장과 통섭의 역사학 _631
2. 생활사료의 역사적 지속성과 현재진행의 역사 _636
3. 신시를 세운 환웅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산림국가 _640
4. 환웅족의 정착생활과 농경문화 체제의 국가 확립 _647
5. 곰족과 범족의 인간화 동경과 쑥과 마늘의 식문화 _652
6. 채식문화의 전통과 산채를 먹는 식문화의 유전자 _657
7. 두 갈래의 빙하기 체험과 문화 적응의 두 양상 _662
8. 단군을 낳은 단수신의 원형과 인류시조 목도령 _668
9. 환웅신시 역사를 서술한 고구려벽화의 신수도 _672
10. 환웅신시와 단군조선의 역사적 지속성 변별 _679
제14장 태양국가 신시고국의 정체와 천부인 상징 ∥685
1. 고조선 국호론과 단군시조론의 문제의식 _685
2. 신화사료의 실증주의 해석과 식민사학 문제 _690
3. 인문학문으로서 역사학과 사료의 ‘기의’ 해석 _693
4. 고대 문헌사료 해석의 두 가지 논리와 통찰력 _696
5. 신시국 건국시조 환웅천왕의 홍익인간 세계상 _702
6. 태양국가의 이상으로 형성된 신시국의 정체성 _708
7. 태양국가의 문화적 상징으로서 천부인 유물 _714
제15장 결론: 신시문화의 정체와 고조선문명의 미래 ∥723
1. 건국본풀이의 형성과 역사서술의 인식 _723
2. 태양시조사상과 홍익인간 이념의 합일 _729
3. 신시문화의 바탕을 이룬 신석기인의 생활 _735
4. 재세이화의 통치체제와 이상적인 공동체 _740
5. 민족문화 유전자의 역사적 지속과 변화 _746
6. 현재진행의 신시문화 정체성과 역사인식 _752
7. 신시문화에 입각한 현실인식과 미래 전망 _756
8. 고조선문명의 역사철학과 미래문화 구상 _759
참고문헌 ∥764
찾아보기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