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경제는 왜 폭망했을까요

도서명:아르헨티나 경제는 왜 폭망했을까요
저자/출판사:유세종/글라이더
쪽수:192쪽
출판일:2024-06-25
ISBN:9791170411475
목차
프롤로그
1장. 세계 경제의 이해
포퓰리즘과 국가의 부_아르헨티나의 경제는 왜 폭망했을까요?
아르헨티나 경제는 왜 이렇게 망가졌을까요? | 3명 중 1명이 공무원? |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가장 많은 돈을 빌린 국가는? | 달콤한 페론주의자들의 복지 및 고립 정책, 그 결과는?
[똑똑이 아이템 1: 무엇이 국가의 부를 결정하는가?]
골디락스 경제와 다국적 기업_ 홍콩의 위기는 한국의 기회다!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줄거리 | 중국과 너무 가까워진 홍콩? | 홍콩을 변화시킨 것은? | “우리 이제 그만합시다” 떠나는 다국적 기업들… | 어떤 다국적 기업이 어디로 이전했을까? | 한국이 아닌 싱가포르를 선택한 이유는? | 한국은 경쟁력이 없나요?
[똑똑이 아이템 2: 글로벌 인재는 어떤 사람일까요?]
일물일가의 법칙과 희소성_ 미국에서 3달러 하는 트레이더 조스 에코백이 한국에서는 2만 원?
일물일가의 법칙! | 현실에서 일물일가의 법칙은 항상 지켜질까요? | 동일 국가 내에서 일물일가의 법칙은 항상 성립할까요? | 미국인은 물론이고 한국인까지 열광하는 트레이더 조스 | 트레이더 조스의 성공 비결 | 계속해서 변화하는 트레이더 조스의 판매 물품
2장. 자산의 이해
주식시장과 가치평가_ 주식시장과 미끄러운 경사면 이론
놀랍게도 두 퀴즈의 정답은 같은 사람이에요 | 20년 넘게 손실 없는 투자가 가능할까요? | 투자를 하지 않고 어떻게 투자 수익금을 마련하나요? |탐욕이 부른 비극, 제약회사 발리언트 | 주가는 왜 이렇게 변동성이 크죠? | 단기적으로 주가를 올리기 위한 무리수 | 발리언트의 3가지 전술은 지속 가능할까요? | 두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윤리적 이론은? | 미끄러운 경사면 이론
[똑똑이 아이템 3: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까요?]
[똑똑이 아이템 4: 주식시장은 미인대회?]
부동산과 한계효용체감의 법칙_ 말레이시아의 유령도시, 포레스트 시티
부동산의 의미는? | 지난 30년간 중국의 높은 경제 성장을 이끈 부동산 개발사업 | 과유불급, 모든 것은 지나치면 화가 됩니다 | 최고급 시설, 그러나 사람이 살지 않는 유령 도시? | 문제는 하나가 아니라는 것! | 하나, 둘 터지는 대형 부동산 개발회사들 | 부동산 개발회사들의 파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똑똑이 아이템 5: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생산성]
암호화폐와 실물경제_ 비트코인 등장과 실물경제
더 이상 은행을 못 믿겠다! | 거래의 중간자, 은행을 빼고 가자! | 탈중앙화된 화폐 결제 시스템, 비트코인 | 비트코인의 연도별 가치는? | 연쇄적으로 붕괴된 암호 화폐 산업 | 백마 탄 기사 FTX는 암호 화폐 산업을 살릴 수 있었을까요? | 암호 화폐 산업의 붕괴가 실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유? | 은행들이 암호 화폐 산업에 적극적으로 대출하지 않은 이유는? | 암호 화폐 산업 규제가 필요할까요? | 암호 화폐를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요?
[똑똑이 아이템 6: 혁신을 선도하는 비트코인]
3장. 중앙은행의 역할
인플레이션_ 중앙은행이 2%의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하는 이유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중앙은행이 취하는 조치는? |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가 왜 2%일까요? |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대중에게 발표한 이유는? | 골디락스와 2% 인플레이션 |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이 일으키는 문제! |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이 일으키는 문제! | 인플레이션 2%는 모두가 동의하는 목표인가요?
경기침체_ 누가 경기침체를 결정하는가?
경기침체를 결정하는 사람들 | 경기침체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 누가 기준금리를 결정하나요? | 기준금리는 아무 때나 변경할 수 있나요? | 기준금리는 어떤 절차를 거쳐서 결정되나요?
[똑똑이 아이템 7: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4장. 미래 사회와 경제
수요와 공급 곡선_ 수많은 대학교가 폐교하는 이유는?
편익-비용 분석으로 본 대학 폐교의 원인 | 수요-공급 곡선 분석을 통해 본 대학 폐교의 원인 | 학령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대학교는 전혀 책임이 없을까요? | 일류 대학으로의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는 미국의 대학교 | 대학이 고민해야 하는 문제
청년 실업률_ 중국 대학 졸업생이 '풀타임 어린이'가 되는 이유는?
중국에서 대학 졸업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은? | 대학 졸업자의 증가는 사회·경제적으로 좋은 일 아닌가요? | 중국 대학의 졸업생들은 왜 기쁜 날에 이상한 사진을 올릴까요? | 대학 졸업생이 ‘풀타임 어린이’라고요? | 중국의 청년 실업률만 유독 심각한 이유는? | 높은 청년 실업률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기술 발전_ 인공지능이 나의 일자리를 빼앗아 갈까요?
전문직이 ChatGPT를 두려워하는 이유는? | 기술의 발전에 대한 두려움 | ChatGPT는 어떻게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까요? | ChatGPT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 인공지능은 어떤 직업에 가장 큰 영향을 줄까요?
사회기반시설_ 가난한 지역을 부유한 지역으로 만드는 방법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는 이유는? | 지방 불평등 문제의 해결 방안은? | 사회기반시설 투자는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 건가요? | 편익-비용 분석이란? | 편익-비용 분석은 완벽한 의사결정 도구일까요? | 사회기반시설 투자 결정에 추가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똑똑이 아이템 8: 지역 불평등을 완화한 독일의 정책]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