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12~14권

도서명: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12~14권
저자/출판사:김경식/보민출판사
쪽수:608쪽
출판일:2023-08-14
ISBN:9791169570640
목차
12권. 첫 프로테스탄트 청교도들인 카라이파 유대인들의 중세 최성기, 900-1100 (In a Short History of Karaism: A History of Medieval Karaism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12th century)
1. 저술 동기: 경주 신라밀레니엄파크에서 화청지보다 콘스탄티노플과 바그다드에 관심을 가지다가 그만..
1) 원형 도시 바그다드의 간략 서술: 알-만수르의 전성기에서 몽골의 점령으로 멸망하기까지
2. 당시 예루살렘 종교사 및 비잔티움과 이슬람권 역사 간략 개괄
1) 중세 아랍 무슬림 아래 자치정부 시대: 이슬람 종교 세계에서 유대인들
2) 아바시드 제2대 칼리프 오마르, 예루살렘에 이슬람교 사원(황금 사원)을 설립하다!
3) 당시 이슬람 종교 세계 3대 대도시: 바그다드 · 코르도바 · 카이로
4) 중세기 로마제국의 황제 요안네스 치미스케스의 철수: 1054년 동서 교회 분열에 앞서, 976년에 팔레스타인 탈환 시도가 끝나다
5) 스코틀랜드인과 콘스탄티노플과의 관계: 1204년 스코틀랜드 수호성인 안드레의 유물들이 라틴족에게****탈됨과 1453년 그랜트의 지휘 아래 콘스탄티노플을 투르크족에게서 방어함
(1) 1204년: 스코틀랜드 수호성인 안드레 (St. Andrew, Patron Saint of Scotland)
(2) 1453년: 기술자 요한네스 그랜트 (Johannes Grant)
3. 카라이파 유대인들: 사두개파 후손으로 최초의 프로테스탄트교도들이자 최초의 청교도들
〈猶太칼빈주의敎 비상(非常) 사역자 14만4천의 12가지 특징으로 유대人種 · 남성 · 12지파가 1시기당 1명 · 독신〉
4. 예루살렘의 카라이파 유대인들 옛 영화(榮華), 900-1100: 예루살렘의 카라이파 학자들 중심으로
1) 아부 수리 잘 벤 마질라 하 코헨 (Abu Suri Sahl ben Mazliah ha Kohen, 910-990)
2) 살몬 벤 여로함 (Salmon ben Jeroham, 10세기)
3) 다윗 벤 보아스 (David ben Boaz, 920-1016)
4) 야벳 벤 알리 하-레위 (Japheth ben Ali ha-Levi, 10세기 중반)
5) 아부 사이드 레위 벤 야벳 (Abu Sa’id Levi ben Japheth, 11세기 전반)
6) 요셉 벤 노아 (Joseph ben Noah, 1000년이 끝날 무렵)
7) 아부 알-파라지 하룬 (Abu al-Faraj Harun, 11세기 전반)
8) 예수아 벤 유다 (Jeshua ben Judah, 1050년경 살았는데 1065년에도 여전히 생존한)
9) 예루살렘 이외의 곳들에서 최성기 학자들
(1) 아부 유수프 야곱 알-키르키사니 (Abu Yusuf Ya’qub al-Kirkisani, 10세기 전반)
(2) 야쿱 유수프 알 바시르, 또는 요셉 벤 아브라함 하-코헨 하-로에 (Yaakub Yusuf al Basir, or Joseph ben Abraham ha-Kohen ha-Ro’eh, 11세기 전반)
(3) 닛시 벤 노아 (Nissi ben Noah,**** 1200년경)
(4) 다윗 벤 아브라함 알파시 (David ben Abraham Alfasi, 10세기 후반)
(5) 모세스 벤 아셀과 아론 벤 아셀? (Moses Ben Asher and his son Aaron?, 8-10세기)
5. 1099년, 제1차 프랑코 전쟁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됨
6. 뿔뿔이 흩어지는 카라이파 유대인들: 11-15세기 비잔티움의 카라이파를 중심으로
7. 중세 예루살렘의 옛 영화(榮華) 이후: 유럽에서 존 듀리와 카라이파 유대인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8. 왜 이슬람교를 들여다보아야 하는가: 람사 성서와 관련하여
9. 메시아를 위한 길의 도로 포장 인부로서 이슬람교
10. 중세 유대인의 과학 및 철학
11. 누가 유대인인가? Who is a Jew?: 유대(敎)人? 유대人(種)?
12. 세계 6대 종교 중 유럽중동종교에 대한 기독교인의 종교학적 접근은 ‘유럽사보다 중동사!’: 로마敎보다야 이슬람교가 낫고, 이슬람보다는 유대교가 나은데, 기독교는 이것들과 비교 자체 불가!
13. 미래천년설 종말론 관점에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위치한 반도의 역사 시대를 천 년 단위별로 봄: 10세기, 신라인의 천명론(天命論) → 20세기, 대한제국의 왕실과 국가의 분리에 이은 대한민국의 근대적 정교분리 시기의 시작 ⇢ 30세기경, 前 ㆍ 後천년설에서 21C末 ㆍ 24C初 예수 오심 이후 유대인-장로교회 시대에서 유다 시기의 시작과 끝 문제 (34세기경, 후천년설에서 예수 영적 오심 이후에 유대인-장로교회 시대가 가고 유대인 교회와 이방인 교회의 큰 배교에 장로회주의의 시대는 끝나고 뒤이어 이후 있을 예수 실제 오심?)
1) 10세기: 신라의 천명론(天命論)으로 본 神道 · 景敎 · 붓다이즘(미륵불 철학) 6백 년 종언
(1) 4세기 신라 내물왕 후손: 잃어버린 이스라엘 열 지파 중 하나로, 猶太칼뱅이즘에서 십사만사천의 요셉에 해당되니, 에브라임의 아들인 수델라의 자손들로 에란 종족 사람
(2) 한국史에서 2023은 ‘극단적 반일’과 ‘극단적 친일’: “모르던 고려.. 모르던 신라..”
(3) 2023 ‘반일 민족주의’의 종료: 신라에 박씨 왕은 없었다
(4) 해방 前 한국사에서 舊불가타 골로새서로 유대인(종) 찾는 법
① 스불론을 뺀 14만4천의 北이스라엘 9지파 유대인이 한국에도?
② 왜란 발발 전에 현존譜 낸 조선 초 사대부 양반가를 추려낸다 → 요셉(東에브라임)으로, 舊안동金氏 군사공파 · 제학공파
(5) 신라의 신궁(新羅の神宮)으로 본 한반도 외래종교 도입
(6) 대(大)신라의 강역은 한때 북경 근처까지였었다?
(7) 흉노 김일제에서부터 신라 실성왕에 이르기까지의 계보 문제
(8) 신라 왕릉들 중 오릉(五陵)의 실체에 대하여
(9) 토착세력 · 흉노 · 인도의 가야系인들, 신라 중대(中代)에 빛나다!
(10) 3-5세기 신라상고사: 6姓(the six tribal group system)과 6部(the six political division system)
(11) 일나 동조론(日羅 同祖論)에 관하여: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 1864-1946)의 신라와 고대 일본 차자표기 연구
(12) 신라인의 천명론(天命論)
(13) 신라에서의 불교 미륵신앙과 유대-기독교 천년왕국 신앙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 고찰
① 불교적인 천년왕국 신앙과 이란적인 종말론과의 관계
2) 20세기: 근대적인 정교분리 국가로 대한민국의 서곡을 알린 대한제국의 황실과 국가의 분리에서 2023년 韓에녹 종말론에 대한 이해의 모델을 찾다
3) 30세기경: 前 ㆍ 後천년설에서, 21C末 ㆍ 24C初 예수 그리스도 오심 이후 유대인-장로교회 시대에서 유다 시기의 시작과 끝 문제
(1) ‘1세기 → 11세기 → 21세기 → 31세기’의 전천년설이 아닌 ‘4세기 → 14세기 → 24세기 → 34세기’의 후천년설에서 34세기: 유대人種 장로교회의 천년왕국 시대 이후 나타난 유대인 교회와 이방인 교회의 큰 배교에 장로회주의는 이미 상실되었는데.. 예수 실제 오심은 이때쯤?
14. 참고문헌
13권. 터키-칼빈주의자(Turco-Calvinist) 알리 우프키(Ali Ufkî, 1610-1675)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중근동 자본주의(Middle Eastern Capitalism)의 미래
1. 시작하며: 터키-칼빈주의(Turco-Calvinism)가 중근동 자본주의 시대의 시작점이 된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보다!
2. 터키-칼빈주의란 무엇인가? (What is the Turco-Calvinism?)
3. 17세기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궁정에서 정성 들여 만들어낸 알리 우프키 베이(Ali Ufkî Bey, 1610-1675)의 ‘터키 시편 집’(Turkish Psalter)
1) 보이치에흐 바보스키 즉 알리 우프키 (Wojciech Bobowski or Ali Ufki, 1610-1675)
2) 칼빈주의와 이슬람교 사이에서: 모방, 교배 그리고 알리 우프키의 오스만 투르크 시편
3) 스위스 제네바에서 터키 이스탄불과 저 너머에까지: 알리 우프키의 시편 여행
4) 알라(Allah): 히브리의 야훼(Yahweh) 하나님을 위해 고용된 이름
5) 터키-칼빈주의? 터키-베자주의(Turco-Bezaism)라 해야 맞지 않을까? 알리 베이(Wojciech Bobowski is Ali Bey’s original name)의 ‘터키 신약’을 논쟁하다!!
4. 끝내며: 장로회주의의 후천년왕국 사상으로 본 중근동 자본주의의 미래
1) 중근동 자본주의의****사(A short history of Middle Eastern Capitalism): 아랍 무역 제국(The Arab trade empire)을 중심으로
2) 이슬람敎 자본주의의 등장(the Rise of Islamic Capitalism)
3) 이슬람敎 금융 모델(the Islamic Financial model)
(1) 영국의 이슬람敎 금융 교육 사례
① 런던이 국제적인 이슬람敎 금융의 중심지로 발돋움을 하게 된 계기의 몇 가지 주요 이유
(2) 이슬람敎 금융의 위험요인
4) 대한민국 박정희 대통령과 이슬람교와의 관계: 서울 용산구 한남동 중앙성원 부지 하사
5) 라헬期(특징:국뽕)의 마지막 월드컵 대회: 2022년 카타르
6) 터키-베자주의자들(Turco-Bezaists)과 2026년 북중미 월드컵
7) 한국계 한국인들(기준: 위진남북조 以前 한반도 居住者 후손): 셈의 자손들임은 분명하나 욕단의 후손들이라기보다는 앗수르의 후손들
8) 유대인 중심 중근동 자본주의의 미래를 장로회주의 후천년왕국 사상으로 생각해보다: 중동阿拉깔뱅敎(2076)의 일부일처제에서 猶太모라비안家(2120)의 일처이부제로 그리고 猶太깔뱅敎(2240 등)의 일부다처제로의 흐름으로 봐본 미래 히브리 장로회 제국으로의 길
(1) 모라비안의 유대人種선교(Judenmission): 블레이크 부인은 왜 울었나(Why Mrs. Blake Cried)
(2) 대한민국 東佛西基: ‘2023 서울 가톨릭 ⇢ 2026 대구 미륵(彌勒)불교-메시아닉-트럼프-루터란-엣워즈(死後? 保障 못함! 돼봐야-) ⇢ 2120 광주 모라비안’
(3) 2300 猶太칼빈주의敎에서 천년왕국期는 어떻게 문을 닫을까?
5. 참고자료
14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2): 1722년, 세계사에는 어떤 역사적 사건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근대 자본주의가 시작된 것일까요?
1. 시작하며: 1722년에서 산업 혁명 이후 자본주의의 문자적 천년期 개막을 찾아보다!
2. 정치사
1) 유럽 및 아메리카
(1) 영국
① 1722년 총선: 토리당 패배, 휘그당 승리
② 1722년 잉글랜드 의회의 역사
③ 수상 윈스턴 처칠(1874-1965)의 조상인 말버러 공작 1세 존 처칠(1650-1722) 사망
④ 월폴 내각(1721/22-1742) 시작
⑤ 1722년 캘리코 법과 보호무역
⑥ 1722년 작업장 법
(2) 미국: 사무엘 애덤스(Samuel Adams, 1722-1803) 출생
(3) 프랑스
① 렝스(Reims) 대성당에서 루이 15세(Louis XV)의 대관식
② 아미오(P. Amiot) 신부가 ‘손자’를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서방세계에 소개함
(4) 러시아: 표트르 1세의 14등급 관료제 제정
2) 동아시아
(1) 한국
① 경종을 시해하려는 ****로, 남인 목호룡(睦虎龍)의 고변과 임인옥사(壬寅獄事)
② 최수만 사건!
③ 상전의 사약을...
④ 백여 년간에 걸쳐 실시되었던 임영족회: 강릉 崔, 金, 朴, 咸, 郭씨
⑤ 신평(新平) 이씨 구보(舊譜) 편찬
⑥ 수성(隋城) 최씨 임인보(壬寅譜)로 본 개성 왕씨 탄생과 경순왕릉 비문 및 김은열 묘지문 작성
(2) 중국: 청나라에서 강희제(康熙帝, 1654-1722) 사망과 옹정제(雍正帝, 1678-1735) 즉위
(3) 일본: 교호(享保) 7년, 도쿠가와 막부 8대 쇼군인 요시무네(吉宗)가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를 다시 쇼군의 정치자문으로 삼음
3) 서아시아
(1) 이란: 이란 이슬람교 최초의 시아파 국가인 사파비 왕조 멸망과 아프샤르 왕조 수립
3. 종교사
1) 프로테스탄트敎
(1) 미국
① 1722년 8월, 회중파 목사 조나단 에드워즈가 뉴욕의 장로교회 목사로 사역을 시작함
② 1722년 9월 13일, 뉴헤이븐 지역에 있었던 “대(大) 배교”
③ 1722년 랍비 쥬다 모니스(Judah Monis, 1683-1764)의 개심
(2) 독일
① 진젠도르프 백작(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1700-1760)의 헤른후트(Herrnhut) 창설
② 박물학자 엥겔베르트 켐퍼(Eㆍケンペル, 1651-1716), 일본지(日本誌, 1727)로 일유동조론(日ユ同祖論)에 문을 열다!
(3) 영국
① 종말에 대한 내용을 담은 비밀문서를 완성한 아이작 뉴턴(Issac Newton, 1643-1727)
② 영국에서의 마지막 마녀 처형 희생자인 스코틀랜드 여자 도노크
③ 이신론 철학자 존 톨랜드(John Toland, 1670-1722) 사망
④ 은퇴 목사인 윌리엄 울러스턴(William Wollaston, 1659-1724)이 묘사된 자연 종교(The Religion of Nature Delineated)를 출간함으로 이신론자로 알려짐
2) 유대교: 프라하의 랍비 장(長)인 오펜하임(David Oppenheim, 1664-1736)이 신성로마 제국 카를 6세로부터 관할권을 받아 프라하에서 유대 연구 독점권을 얻음
3) 로마敎
(1) 독일 계몽주의 철학자 크리스티****볼프(Christian Wolff, 1679-1754)의 연설문이 볼프를 지지하던 예수회에 의해 로마에서 출판됨
(2) 조선 최초 서학 비판서 돈와서학변(遯窩西學辨)을 쓴 신후담(愼後聃, 1702-1761), 그는 영언여작(靈言蠡勺)을 언제 읽었을까?
4) 유교: 경북 안동의 예안향교(禮安鄕校) 교안(校案)
4. 교육사
1) 프랑스: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제네바를 떠나 니옹으로 이사
2) 미국: 하버드에 처음으로 ‘교수’가 나타남
5. 문학사
1) 영국: 다니엘 디포우(Daniel Defoe, 1660-1731), “몰 플랜더스”(Moll Flanders) 책 발간
2) 한국: 조선 최고 여류시인 김호연재(金浩然齋, 1681-1722) 사망
6. 음악사
1) 이탈리아: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 1655-1732)가 1722년에 제작한 피아노
7. 의학사
1) 독일: 쿨무스(Johann Adam Kulmus, 1689-1745)가 일본에 번역된 최초의 서양 해부학 서적인 ‘해체신서’(1774)의 기본서 Anatomische Tabellen을 펴냄
8. 건축사
1) 프랑스: 부르봉 궁전(Palais Bourbon) 건립
9. 과학사
1) 네덜란드: 항해사 야코프 로헤베인(Jacob Roggeveen, 1659-1729)의 이스터 섬과 마누이 제도 발견
2) 영국: 발명가 조지 그레이엄(George Graham, 1673-1751)이 수은이 든 유리병이 진자의 추로 달린 수은 진자를 고안함
3) 독일: 유럽 대륙 최초의 뉴커먼기관이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모습을 드러냄
4) 미국: 코튼 매더 목사, 1721-1722년 유행한 천연두의 예방접종 확산을 위해 캠페인 진행
5) 한국: 북경에서 서양 천문학을 탐문한 이기지(李器之, 1690-1722)의 옥사
10. 마치며: 2722년, 문자적으로 천년 기간인 근대 자본주의 천년期의 끝은 어떤 모습일까?
1) 전조
① 1722년부터 건강이 나빠져 1727년에 사망한 잉글랜드 과학자 아이작 뉴턴
② 스코틀랜드 은행가 존 로(John Law, 1671-1729)의 파산
2) 미래: 2722년, 산업 혁명 이후 자본주의의 문자적 천년期 끝은 어떤 모습일까? 답은..
11.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