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도서명: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저자/출판사:우마 크리슈난 , 류도향 , 김지영 , 김미선 , 조/한국문화사
쪽수:354쪽
출판일:2024-02-23
ISBN:9791169191852
목차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을 발간하며
제1부 다성적 주체론
우마 크리슈난 : 다성적 주체의 목소리로 글로벌 연대 만들어내기 - 문화적 기억의 담론, 문해 서사, 사회적 실천을 통하여 -
류도향 : 관계적 주체와 ‘함께-말하기’의 조건
제2부 다성적 주체의 현장
김지영 : 17세기 인조(仁祖) 가족의 갈등 양상과 세 왕실 여성의 주체성
김미선 : 한국전쟁기 어머니의 사망과 기억의 젠더정치 - 민간인 학살 노근리사건을 중심으로 -
조상현 : ‘국제부인데이’의 기념과 망각
조호연 : 근세 북부 베트남 여성의 종교적 헌납 활동, 허우(Hậu, 后)에 관한 재검토
제3부 다성적 주체론의 재구성
정희원 : 이란 여성 작가의 한 계보 - 포루그 파로흐자드에서 쉬린 네샤트까지 -
아담 브런 : 좀비 아버지, 주권적 딸 - 심청 신화로 보는 한국 좀비 영화 -
한의숭 : 여성의 주체되기와 살아남기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한우리 : 우리의 ‘퀴어한’ 검둥이 - 여성-되기의 정치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