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과 젠더 > 한국소설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극장과 젠더 > 한국소설

극장과 젠더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소명출판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소명출판
시중가격 38,000원
판매가격 38,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극장과 젠더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극장과 젠더

    9791159059537.jpg

    도서명:극장과 젠더
    저자/출판사:전지니/소명출판
    쪽수:493쪽
    출판일:2024-08-31
    ISBN:9791159059537

    목차
    머리말

    제1부/ 해방 이후 남북한연극과 젠더
    제1장/ 해방기 남북한희곡의 젠더정치
    1. 8·15해방과 딸들의 귀환
    2. 건설의 이상과 식민지의 기억, 혁신 노동자와 모리배의 아내
    3. 해방공간의 민족주의와 반민족주의, 선구자의 아내와 헬로걸
    4. 남성화된 민족공동체와 폭력의 상흔
    제2장/ 건국과 재건 사이, 남북한연극의 청년담론과 젠더(1945~1960)
    1. 해방 이후 프로파간다연극과 청년의 소환
    2. 귀환한 청년과 부차화되는 여성들
    3. 전쟁기연극이 여성을 이분화하는 방식
    4. 전후 복구와 세대론의 재소환
    5. 남북한 프로파간다연극과 젠더화된 청년담론
    제3장/ 월북 작가의 여성주의 연극인 박영호의 해방 이후
    1. 8·15해방부터 월북까지, 박영호의 ‘1년’
    2. ‘혁명적 리얼리즘’과 ‘살림으로서의 연극’의 접점
    3. 〈겨레〉(1946)를 읽는 두 가지 독법
    4. 또 다른 전쟁과 혁명적 리얼리즘의 종착점

    제2부/ 아메리카니즘의 체화와 남성적 민족국가의 상상
    제1장/ 체화 불/가능한 양풍과 불/건전한 자유연애-두 개의 전쟁과 코미디극
    1. 두 번의 종전(終戰)과 미국식 감각의 대중화
    2. 해방기와 1950년대 전후 코미디극의 현실인식
    3. 민족문화에 대한 양가적 반응, 건전한 자유연애의 허구성
    제2장/ ****과 제복의 남성 판타지, 해방기 ‘경찰영화’
    1. 건국 전후, ‘민주경찰’의 탄생과 ‘경찰영화’의 기획
    2. 경찰영화의 제작 배경과 새로운 모럴의 지향
    3. 경찰영화의 상(像)과 관습성의 문제
    4. 관변영화로서의 한계와 남성적 민족국가상의 문제점

    제3부/ 냉전기 극장의 여성들-붉은 여전사와 비련의 여간첩
    제1장/ 전사(戰士)형 여성상으로 본 1950년대 북한연극과 젠더
    1. 한국전쟁의 발발과 여성 영웅의 ‘발견’
    2. 연극 〈탄광사람들〉(1951)에 나타난 젠더정치
    3. 북한문단 내 자연주의 논란이 보여준 이중적 성의식
    4. 분단 체제 여성 총대전사의 섹슈얼리티
    제2장/ 사회주의영화 속 총을 든 붉은 여전사들-〈조야〉(1944)와 〈빨치산 처녀〉(1954)를 중심으로
    1. 스크린으로 간 붉은 여전사들
    2. 낭만화된 소녀의 성장 드라마, 〈조야〉(1944)
    3. 젠더화된 여전사와 인민의 연대기, 〈빨치산 처녀〉(1954)
    4. 동원된 여성 영웅과 젠더화된 빨치산 신화
    제3장/ 반공과 검열, 그리고 불온한 육체의 기묘한 동거-1970년대 영화 ‘특별수사본부’ 여간첩 시리즈에 대한 고찰
    1. 유신 이후의 영화정책과 국책영화의 방향
    2. 강화된 영화검열과 특별수사본부 시리즈의 흥행
    3. 특별수사본부 시리즈의 세 가지 문법
    4.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와의 접점, 반공영화로서의 과잉
    5. 영화 검열의 자의성과 경직된 도덕주의의 이면
    제4장/ 유신 이후의 반공영화와 오제도라는 ‘신화’
    1. 실록(實錄)과 비화(祕話) 사이, 사상검사 오제도의 글쓰기
    2. 유신 전후 반공물의 성행과 대중문화 속 히어로가 된 오제도
    3. 특별수사본부 시리즈를 통해 구축된 오제도의 형상
    4. 스크린 속 오제도의 퇴장과 반공 표상으로서의 불멸성

    제4부/ 두 개의 전쟁과 여성 영화인의 존재론
    제1장/ 스캔들메이커, ‘인민’과 ‘국민’ 사이의 배우 김소영
    1. ‘새로운 제네레슌’의 여배우들, 그리고 김소영
    2. 전시동원기, 타락의 이미지와 프로파간다의 주변화
    3. 해방기, ‘인민’에서 ‘국민’으로의 신원 증명
    4. 국가 전환기의 반(反) 현모양처상과 미완의 필모그래피
    제2장/ 해방-전쟁기 문예봉의 영화 활동과 인민 ‘여’배우의 정체성
    1. ‘삼천만의 연인’ 문예봉의 해방 이후
    2. 지원병의 연인에서 혁명군의 연인으로, 〈내 고향〉(1949)
    3. 현모양처 이미지의 뒤틀기, 〈용광로〉(1950)
    4. 여전사로 나아가는 여정, 〈소년 빨치산〉(1952)
    5. 인민 배우로의 여정에 나타난 반복과 변주
    제3장/ 최초의 여성 감독 박남옥이 형상화한 전후(戰後)
    1.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2. 영화 〈미망인〉에 나타난 여성 감독의 정체성
    3. 잡지 『씨네마팬』으로 이어간 영화 열정
    4. 여성 감독의 존재론

    제5부/ 남북한 체제 경쟁의 지정학과 젠더
    제1장/ 1970년대 북한영화 속 도시 재현과 냉전의 심상지리
    1. 데탕트 전후의 북한영화
    2. 〈금희와 은희의 운명〉을 통해 본 근대성의 구현 방식
    3. 〈금희와 은희의 운명〉이 대중성을 구축하는 방식
    4. 데탕트 이후와 북한 창작진이 상상한 남한
    제2장/ 재구성된 실화와 로컬화된 ****-1970년대 여성 포로수용소를 다룬 영화들
    1. 유신의 막바지, 반공영화의 자장 속 포로수용소영화
    2. 공모 제도를 통한 공증과 권위의 부여
    3. 실화 소재의 강박과 선택적 취택
    4. 로컬화된 ‘여감방’ 풍경과 소극적 섹슈얼리티
    5. 반공영화의 B급 상상력

    주석
    참고문헌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극장과 젠더
    극장과 젠더 38,000
  • 위대한 항해 3
    위대한 항해 3 9,000
  • 엄마, 나 왔어
    엄마, 나 왔어 12,000
  • 별일은 없고요
    별일은 없고요 15,000
  • 상위 0.001% 랭커의 귀환 6
    상위 0.001% 9,000
  • 한국인 3권
    한국인 3권 17,000
  • 이암산
    이암산 12,000
  • 막장 수다
    막장 수다 18,000
  • 내가 매일 기쁘게
    내가 매일 기쁘게 16,800
  • 너와 나의 여름이 닿을 때
    너와 나의 여름이 14,000
  • 꽃보다 아름답게 피어나는 그리움
    꽃보다 아름답게 피 12,000
  • 조선의 양심, 연암 박지원 소설집
    조선의 양심, 연암 24,000
  • EBS 강의노트 수능개념 박봄의 사회·문화 개념홀릭(2025)(2026 수능대비)
    EBS 강의노트 수 11,500
  • SKY로 가는 길, 확 바뀝니다
    SKY로 가는 길, 18,000
  • 슬픈 시의 침묵이 올 때까지
    슬픈 시의 침묵이 13,000
  • 한국인 2권
    한국인 2권 17,000
  • 두 개의 삶과 언어의 끝없을 항해
    두 개의 삶과 언어 14,000
  • 서푼의 시
    서푼의 시 12,000
  • 소설 Q: 도둑맞은 기록을 찾아서
    소설 Q: 도둑맞은 17,000
  • 창약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5
    창약 어떤 마술의 9,000
  • 여름의 트랙
    여름의 트랙 13,000
  • 숨은 로또 찾기
    숨은 로또 찾기 20,000
  •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사랑 후에 오는 것 17,000
  • 저녁에 고장 난 별이 노래처럼 번지고 나면
    저녁에 고장 난 별 15,000
  • 머구리에서 무거리로
    머구리에서 무거리로 14,000
  • 나의 그리움들은 안녕할까
    나의 그리움들은 안 13,000
  • 핵에는 책으로
    핵에는 책으로 12,000
  • 짐승의 길 12
    짐승의 길 12 5,500
  • 내 곁의 부처 1
    내 곁의 부처 1 16,000
  • 사자성어를 알면 문해력이 보인다
    사자성어를 알면 문 17,500
  • 에스라/느헤미야 에스더/욥기
    에스라/느헤미야 에 13,000
  • 인간 본성과 삶의 이해를 위한 상징과 이미지 사전
    인간 본성과 삶의 39,000
  • 보고 느낀 이야기
    보고 느낀 이야기 20,000
  • 나의 쓸모
    나의 쓸모 15,000
  • 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하는 작품들의 모음
    땅거미 질 때 샌디 14,000
  • 백성 4부 15: 사람 탈 짐승 탈
    백성 4부 15: 18,000
  • 거울과 그림자
    거울과 그림자 12,000
  • 고고의 구멍
    고고의 구멍 15,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