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의 태양

도서명:위선의 태양
저자/출판사:존 K. 장/소명출판
쪽수:407쪽
출판일:2024-04-30
ISBN:9791159058288
목차
발간사
역자 서문
제1장 서문
김 A. 아파나시Afanasii A. Kim-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하다
한인 사례의 독특성
제2장 변경의 용광로 러시아 극동, 1863~1917
배출구의 개방
한인들의 러시아 극동 도착
범슬라브주의, 경제적 경쟁 그리고 ‘황화’
정치적 정체성과 러시아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으로 인한 추방
제3장 간섭, 1918~1922
간섭과 일본제국의 건설
전제정의 시각에 대한 투쟁과 도시 생활
한인의 충성심과 (영토적) 자치
‘국제주의자’로 등장한 한인 세 사람
미완의 ‘총력 제국’과 스파이에 관한 소문
외국인 혐오의 최초 씨앗들
제4장 한인들의 토착화와 이를 통한 사회주의 건설
중개기구와 대표성
경제 생활
소비에트 시민권
토지 조성
교육-소비에트화의 입구
실제적 평등 대 법적 평등
제5장 한인들이 소비에트 인민이 되어가다, 1923~1930
실현되지 못한 영토 자치의****속
한명세/한 A. 안드레이-4번째 한인 국제주의자
사회주의자로서 한인들의 형성 대 지정학
게이츠만과 아르세네프 동지-내부로부터의 토착화에 대한 공격
제6장 토착화보다 우선하는 안보적 고려, 1931~1937
토착화와 교육
구술사-1930년대 한인들의 삶
긴장의 확대-간첩행위와 극동의 지정학
아르세네프의 부활과 『프라브다』의 ‘황화론’
제7장 한인들의 추방과 중앙아시아에서의 삶, 1937~1940년대 초
대숙청
한인들의 추방
숙청 이면의 지정학
중앙아시아에서의 삶
추방을 피한 NKVD 통역관 지하일Ti Khair Ir의 사례
소비에트 민족 정책에 내재한 ‘전제정으로부터의 연속성’
제8장 현장의 목소리
기록되지 않는 이야기 하나
제9장 결론
새로운 시각-간섭전쟁과 가장 충성스러운 민족으로서 러시아인에 대한 신화
김건남의 사례
주석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