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문명과 한민족의 형성
도서명:백두산문명과 한민족의 형성
저자/출판사:정경희/만권당
쪽수:744쪽
출판일:2020-09-01
ISBN:9791188992119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서론
1부 중국 요하문명론이 장백산문화론으로 확대되다
1장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
2장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한국사 말살
3장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허구성
4장 맺음말
2부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를 보다 1: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
1장 1990년대 후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과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발굴
2장 3층원단(모자합장묘)과 방대, 배달국 초 제천문화의 흔적
3장 모자합장묘 출토품에 나타난 배달국 초의 제천문화
4장 맺음말
3부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를 보다 2: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
1장 1기의 소도제천지 성격을 계승한 2기의 제천시설
2장 거북목(방대)에 자리한 주거지와 무덤의 의미
3장 3층원단 위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의 의미
4장 중국문명의 기원 문제와 백두산 서편 옛 제단군의 은폐
5장 맺음말
4부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이 요서·한반도에도 나타나다: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유적
1장 1990년대 전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과 백두산 서편 옛 제단군의 발굴
2장 백두산 서편 옛 제단군과 여명 옛 제단의 형태
3장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전파: 요서 우하량 유적 및 한반도 남부
4장 맺음말
5부 요동 백두산 서편 선도제천문화가 요서로 전파되다: 홍산문화 ‘3층-원·방-환호’형 적석 단총제의 등장 배경
1장 홍산문화기 적석 단총의 등장 배경: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단총’
2장 우하량 1기 하층유존: 수혈식토광묘 단계
3장 우하량 2기 하층적석총: 석권 단총의 계승, ‘부석-통형기권묘’ 단계
4장 우하량 3기 상층적석총: ‘3층-원·방-환호’ 단계
5장 구식(석권 단총)과 신식(3층-원·방-환호)의 결합: 5지점·호두구·동산취
6장 적석 단총제 형태 변화로 본 배달국시기 요동 백두산 맥족의 요서 이동과 지배세력 교체
7장 우하량 말기 중심 단총의 변화: 16·13지점
8장 맺음말
6부 요동~요서 제천유적에서 맥족(예맥족)의 이동 흐름을 읽다
1장 한국 상고문화 연구의 3계통론과 요서 예맥 중심의 연구 경향
2장 요동 백두산 서편의 강고한 적석 단총제 전통과 맥족의 원향
3장 요서 적석 단총제와 맥족의 이동
4장 맺음말
7부 동아시아 제천유적에 삼원오행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의미가 깃들다
1장 적석 단총의 상·수 상징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경향
2장 선도기학 삼원오행론의 상·수 상징과 그 의미
3장 적석 단총의 ‘원·방·팔각’ 상징에 나타난 삼원오행론
4장 적석 단총의 ‘3·7 및 5·9 계단수’ 상징에 나타난 삼원오행론
5장 맺음말
8부 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가 시작되고 한민족(예맥족·새밝족· 맥족)이 형성되다
1장 한국 민족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2장 배달국의 개창과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
3장 천평 권역의 도읍, 신주 비서갑과 통화 지역
4장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 선도제천문화의 수용과 천손족화
5장 맺음말
결론: 선도적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고유문화 계통론 정립의 필요성
[부록]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1장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의 편찬 및 발굴 경위
2장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에 나타난 분기별 변천상
3장 맺음말
자료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