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표상의 지도
도서명:한국영화 표상의 지도
저자/출판사:박유희/책과함께
쪽수:584쪽
출판일:2019-10-27
ISBN:9791188990443
목차
책을 시작하며
1부 가족 : 한국영화 표상의 출발점, 가족
1장 어머니 - 〈마음의 고향〉(1949)에서 〈미쓰백〉(2018)까지
‘모성’이라는 이데올로기 | 해방 이후 근대적 모성의 구성 | 재건의 이념과 시험받는 모성 | 민족의 어머니, 근대 여성이 지닌 미덕의 총화 | 모성의 이중성과 본질주의적 모성성 | ****하는 엄마들과 ‘지뢰밭 모성’ | 모성성의 열림과 공적 영역으로의 확장
2장 아버지 - 〈심청전〉(1925)에서 〈화이〉(2013)까지
아버지의 이름만으로 | 전후 재건과 아버지의 귀환 | 가부장제와 근대적 가치의 충돌 | 산업화 속 무력한 아버지 | 살부의 윤리와 이분법의 균열 | ‘아비 살해’의 급진적 정치성
3장 오빠 - 〈아리랑〉(1926)에서 〈베를린 리포트〉(1991)까지
‘옵바’의 딜레마 | 근대 가부장으로서 장남 | 가족과 연인 사이의 파토스 | 장벽 붕괴와 오빠의 귀환
4장 누이 -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1939)에서 〈꽃잎〉(1996)까지
누이, 죽거나 팔리거나 | 한의 분출과 복수의 향방 | 집 나가는 누이, 추동하는 누이 | 피고 지고 다시 피는, 넋으로 떠도는 누이
2부 국가 : 냉전시대 ‘국가들’의 표상
1장 일본 - 〈현해탄은 알고 있다〉(1961)에서 〈허스토리〉(2018)까지
숙적이자 전략적 우방 | 한일관계에 대한 성찰적 인식 | 관습적 이분법의****화와 한일협정 이후의 경색 | 식민지시기 전쟁의 후경화와 액션 장르 | 활극의 상상과 흔들리는 적 | 일본이라는 아버지로부터 벗어날 때 | 민족의 이름으로 사랑을 방패로 삼다 | 학병 탈주 서사와 『청춘극장』 | 일본제국, ‘청춘대로망’의 운명적 배경 | ‘왜색’ 검열과 일본 재현 | 탈냉전시대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전면화 | 아무리 반복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반복해서는 ****되는 지점에 대해
2장 미국 - 〈불사조의 언덕〉(1955)에서 〈이태원 ****사건〉(2009)까지
미국의 양가성 | 기독교 해방군으로서 미군 | 여성, 한미동맹의 매개 | 기지촌, 타락이자 기회 그리고 근대적 충동의 공간 | 아메리칸 드림에서 반미영화로 | 미국이라는 숙주와 386세대 | ‘이태원 ****사건’이 남긴 것 | 386세대의 한계, 혹은 이분법의 맹점
3장 북한 - 〈피아골〉(1955)에서 〈웰컴 투 동막골〉(2005)까지
그들의 ‘흉터’ | ‘인격화’라는 금기 | ‘사람’으로서의 좌파, 피해자로서의 ‘우리’ | 장르 문법의 우위와 표상의 다양화 | 흉터, 객관화되지 못한 트라우마 | 경계의 붕괴, 그리고 웃음을 동반하는 적
3부 민주주의 : 3·1운동으로 건립되어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1장 3·1운동 - 〈유관순〉(1948)에서 〈항거: 유관순 이야기〉(2019)까지
3·1운동과 유관순 열사 | 유관순 열사 기념사업과 ‘순국처녀 유관순’ | 순결과 형극의 영웅 도식과 그 그늘 | 민주주의 이상을 품은 학생 유관순
2장 광주민주화운동 - 〈오! 꿈의 나라〉(1989)에서 〈택시운전사〉(2017)까지
‘푸른 눈의 목격자’와 무구한 ‘그들’ | ‘독일 비디오’에서 〈26년〉까지 | 영웅서사와 멜로드라마의 변주 | 노스탤지어로서의 여성과 훼손의 범인들 | 소시민의 각성과 광장의 윤리 | 망각의 알리바이와 ‘우리들’의 참회
3장 6월 민주항쟁 - 〈변호인〉(2013)에서 〈1987〉(2017)까지
‘6월 민주항쟁’ 이후 | 〈변호인〉의 징후 | ‘역사성과 대중성’이라는 해묵은 화두 | 혁명드라마, 그 이상의 서브플롯 | 실질적 주인공 ‘박 처장’과 폭력의 생리 | 변혁의 원동력, 청년 감성 | 역사적 장면 포개놓기와 부단한 균형 감각
4장 법치주의 - 〈검사와 여선생〉(1948)에서 〈소수의견〉(2015)까지
법의 표상으로서 ‘법정’ | 증거와 이성보다 인정의 윤리 | 법의 두 얼굴과 눈물의 봉합 | 법의 관용과 근대화 프로젝트 | 법보다 반공(反共), 추리의 불가능성 | 법정 멜로드라마에서 법정 추리물로 | 법보다 자본의 시대, 균형적 역학의 필요성 | 99퍼센트의 입장에서 권력의 책임을 묻다 | 법정영화의 후발(後發)과 한국 근대화의 특수성
4부 여성 : 여성, 관습 안에서 관습을 넘어서온 예외자들
1장 첫사랑 - 〈맨발의 청춘〉(1964)에서 〈건축학개론〉(2012)까지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첫사랑이었다 | 첫 번째 사랑이 평생의 사랑 | 불치병과 불가역의 청춘 | 훼손의 트라우마에서 경계 없는 사랑으로 | 현실 장애에 순응하며 웃어넘기다
2장 무당 - 〈고려장〉(1963)에서 〈태백산맥〉(1994)까지
붉은 무복에 빗갓을 쓴 여인이 작두를 타다 | 야만과 미몽, 근대적 가치의 대척점 | 운명에 대한 순응과 여성의 욕망 | 불가사의, 그러나 현실적 존재 |****해진 영험과 피억압자로서의 복수 | 공포와 연민의 섹슈얼리티
3장 여간첩 - 〈운명의 손〉(1954)에서 〈쉬리〉(1999)까지
간첩과 여간첩 | 여간첩의 원조, ‘마가렛’의 모호성 | 이중간첩, ‘김수임’의 파국 | ‘남남북녀’ 도식 속의 팜 파탈 | 표상의 다양화와 근본적 한계
4장 여성 법조인 -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에서 〈침묵〉(2017)까지
법의 젠더 이분법 | 대한민국 최초 여성 변호사와 여판사 | 숙녀복 입은 신사 | 가부장 질서에 저항하는 법조인의 등장 | 법정추리물의 젠더 보수성
5장 여성 노동자 - 〈청춘의 십자로〉(1934)에서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2015)까지
여성±노동자 | 근대 여성 노동자 영화****사 | 시민운동과 가족주의 | 여성 중심의 서사와 상업영화로서의 곤경 | 저예산 하이 콘셉트와 딜레마의 수사학 | 신자유주의 시대의 여성 노동자 재현
5부 예술 : 예술의 표상으로서 예술가 영화
1장 이광수: 반공과 소명 - 〈춘원 이광수〉(1969)에서 〈마담 뺑덕〉(2014)까지
천재성과 민족애 | 1960년대 말, 춘원 소환되다 | 친일, 천재적 민족계몽의 발로 | 반공주의로서의 민족주의 | 문인의 소명
2장 이상: 절망과 기교 - 〈이상의 날개〉(1968)에서 〈금홍아 금홍아〉(1995)까지
오감도(烏瞰圖), 오감도(五感圖) | 순수예술적 천재성의 발로, 절망과 기교 | 예술가의 특권, 편의적 여성 편력 | 순수 예술가의 맥락과 이면
3장 나운규: 민족애와 방탕 - 〈아리랑〉(1926)에서 〈나운규 일생〉(1966)까지
〈아리랑〉과 〈나운규 일생〉 | 식민지 예술가의 필수 조건, 사랑과 민족
4장 윤심덕: 자유와 허무 - 〈윤심덕〉(1969)에서 〈사의 찬미〉(1991)까지
현해탄 정사(情死) | 사랑과 죽음의 아이콘, 윤심덕 | 1960년대 ‘윤심덕’의 자리 | 윤심덕, 자유인으로 호명되다 | 민족보다 자유, 조국 앞의 허무 | 윤심덕과 〈겨울여자〉
5장 나혜석: 애욕과 동경 - 〈화조〉(1979)에서 〈성애의 침묵〉(1992)까지
한국 최초의 여성 화가 | 근대 남성 화가, 과부나 유부녀의 연인 | 남성 화가와 여성 모델의 구도 | 1960년대 말, 여성 미술가의 등장 | 1970년대 말 나혜석, 민족에 긴박된 자유주의자 | 예술과 파리 그리고 ****티시즘
책을 마치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판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