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선비, 구곡에 노닐다
도서명:조선의 선비, 구곡에 노닐다
저자/출판사:김봉규/학이사
쪽수:312쪽
출판일:2024-09-05
ISBN:9791158545253
목차
■ 구곡과 구곡문화
구곡문화의 유래 / 구곡문화의 전개
■ 구곡문화 탄생지 무이구곡武夷九曲
무이산 / 주자와 무이구곡 / 칸트에 비유되는 주자
■ 주자의 무이구곡가
무이구곡을 노래한 무이도가 / 조선 성리학자들의 무이도가 해석 / 중국 문인들의 무이도가 해석
■ 무이구곡도
조선 선비들이 애장한 무이구곡도 / 민화로 확산된 무이구곡도
■ 안동 도산구곡
이황과 도산구곡 / 이황의 무이도가 차운시/ 언제 누가 설정했는지 불명확한 도산구곡 / 이야순 도산구곡가
■ 해주 고산구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 송시열 주도로 제작하기 시작한 고산구곡도 / 민화로도 그려진 고산구곡도 / 송시열 등 10명이 지은 고산구곡시
■ 괴산 화양구곡
송시열 유적 중심으로 설정된 화양구곡 / 구곡 굽이마다 전서로 이름 새겨 / 1844년에 지은 화양구곡기 / 주자의 무이도가를 차운한 송달수의 화양구곡시
■ 봉화 춘양구곡
선비들이 은거한 정자 중심으로 구곡 설정 / 이한응의 춘양구곡시 / 3곡은 풍대 홍석범이 학문 닦던 곳 / 5곡 창애정은 이중광이 은거하던 곳 / 권벌의 얼이 서린 8곡 한수정
■ 경주 옥산구곡
회재 이언적 은거지에 설정 / 설정자 이가순의 옥산구곡시 / 5곡 관어대에 자리한 계정(溪亭) / 7곡은 마음을 깨끗이 하는 징심대
■ 영천 횡계구곡
정만양 · 정규양 형제가 만든 구곡 / 3곡 태고와는 정규양이 1701년에 건립한 누각 / 구곡 중 중심 굽이인 5곡 와룡암 / 신선이 사는 곳에 비유한 채약동(採藥洞)
■ 안동 하회구곡
상류에서 1곡이 시작되는 하회구곡 / 류건춘의 하회구곡시
■ 안동 고산칠곡
이상정의 고산칠곡시
■ 계룡산 갑사구곡
윤덕영이 1927년에 설정한 구곡 / 구곡 중심은 윤덕영의 별장 간성장 주변
■ 계룡산 용산구곡
용을 주제로 설정한 용산구곡 / 용산구곡 중심은 5곡 황룡암
■ 문경 선유구곡
정태진이 1947년에 설정한 구곡 / 정태진의 선유구곡시 / 손재 남한조 기리며 정한 6곡 탁청대 / 9곡 옥석대는 신선이 신발 남긴 곳
■ 성주 무흘구곡
주자의 무이구곡을 동경한 정구 / 그림으로도 그려진 무흘구곡 / 정구의 구곡시 / 정각의 시로 보는 무흘구곡 / 한강 정구가 사랑한 2곡 한강대 / 7곡 만월담 아래 무흘정사 지어 은거
■ 영주 죽계구곡
두 개의 죽계구곡 / 순흥지 죽계구곡
■ 청도 운문구곡
무오사화 등을 겪으며 은거를 택한 박하담 / 박하담의 소요당일고 / 박하담의 운문구곡가 / 내원암 입구에 5곡
■ 화천 곡운구곡
김수증이 은둔지를 찾아 설정한 구곡 / 조세걸의 곡운구곡도는 진경산수화의 토대 / 곡운구곡의 중심 6곡에는 농수정사
■ 봉화 대명산구곡
강필효가 운곡천과 낙동강 20km에 설정한 구곡 / 할머니가 난을 피해 살던 곳인 1곡 마고 / 3곡은 산고월소(山高月小)의 조대(釣臺) / 5곡은 이황이 사랑한 청량산
■ 문경 석문구곡
채헌이 18세기에 금천과 대하천에 설정한 구곡 / 배 모양의 바위 주암이 2곡 / 채헌이 많은 시를 남긴 9곡 석문정
■ 괴산 갈은구곡
전덕호가 이상향 꿈꾸며 설정 / 굽이마다 명칭과 구곡시 새겨
■ 성주 포천구곡
이원조가 주자를 본받아 가야산 계곡에 설정한 포천구곡 / 이원조의 포천구곡시 / 베를 말리는 듯한 4곡 포천 / 9곡 홍개동에 만귀정 지어 은거
■ 괴산 선유구곡
1곡은 선유동문(仙遊洞門) / 거대한 바위들이 몰려 있는 7곡~9곡 / 정태진의 시 외선유구경(外仙遊九景)
■ 대구 운림구곡
우성규가 금호강에 설정한 구곡 / 1곡은 금호강 낙동강 합쳐지는 용산 / 6곡 연재는 강창교 부근 이락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