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음내 해를 품다
도서명:고음내 해를 품다
저자/출판사:남영식/해드림출판사
쪽수:400쪽
출판일:2024-09-09
ISBN:9791156345923
목차
추천사
강용명 8
임용식 11
임병식 13
prologue 21
별책부록 385
上
1. 고음내(古音川) 30
2. 입향조 월천(月川) 정계생(丁戒生) 선생 34
3.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설치 45
4.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부임 51
5. 국보(國寶, 난중일기, 임진장초, 서간첩) 58
6. 천기(天氣)의 예측(豫測) 날씨 65
7. 이순신(李舜臣)의 참스승 72
8. 신(臣)은 준비를 마치었나이다 75
9. 거북선(龜船) 진수(進水) 83
10. 철쇄설(鐵)의 진실(眞實) 86
11. 대첩을 예고하는 징후들 89
12. 옥포대첩(玉浦大捷) 91
1314. 일본(日本) 풍신수길(豐臣秀吉) 웃음소리 104
15. 명나라 황제(皇帝)의 칙령(勅令, 명령) 106
16. 한산대첩(閑山大捷) 109
17. 한산도(閑山島)로 진(陣)을 옮기다 113
18. 고음내(古音川) 함께한 식솔들 119
19.****무호남 시무국가(若無湖南 是無國家) 글월 122
20.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임명(任命) 128
21. 영의정 유성룡(柳成龍) 곤장을 맞을 뻔하다 131
22. 선조 임금 환궁 136
23. 일본(日本)을 도운 반역자(叛逆者)들 143
24. 금토패문(禁討牌文, 공문서) 145
25. 수사(水使)끼리 갈등(葛藤) 148
26. 왕릉(王陵)을 파헤친 왜적(倭賊)들 154
27. 종(奴婢) 춘세(春世)가 불을 내다 157
28. 통제사 이순신(李舜臣) 사경(死境)을 헤매다 160
29. 진중(陣中)에서 과거(過擧) 시험을 청하는 장계(狀啓) 165
30. 광양현감 어영담(魚泳潭) 병사(病死) 168
31. 한산도가(閑山島歌) 172
32. 점(占)을 치는 통제사 이순신(李舜臣) 176
下
1. 선조 임금의 양위(讓位) 186.
2. 관왕묘(關王廟) 건립 189
3. 어머니(天只)를 뵙기 위한 휴가 신청서 192
4. 사람이 가장 살기 좋은 터(吉地) 198
5. 이순신(李舜臣) 비서실장 정경달(丁景達) 201
6. 정탁의 신구차(伸救箚) 210
7. 임진왜란 세계용병의 집합장소(集合場所) 214
8. 조선(朝鮮)의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 220
9. 영웅(英雄)들의 사생활 229
10. 조선(朝鮮)의 길지(吉地) 고음내(古音川) 238
11. 어머니(天只) 변씨 부인 260
12. 이순신(李舜臣)의 파직(罷職)과 수감(收監) 268
13. 어머니(天只) 귀향(歸鄕) 274
14. 상중 삼도통제사 임명 교서(三道統制使 任命 敎書) 302
15. 노비(奴婢) 306
16. 전라좌수영의 의승수군(義僧水軍) 310
17. 정유재란과 칠천량(漆川梁) 패전(敗戰)의 전말(顚末) 321
18. 서산대사(西山大師)에 벼슬을 하사(下賜) 329
19. 전하! 신에게는 12척의 전선(戰船)이 있습니다 338
20. 명량대첩(鳴梁大捷) 341
21.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참상 345
22. 임진왜란의 결산서(決算書) 355
23. 여수의 타루비(墮淚碑) 360
24. 노량해전의 전말(顚末)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