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의 형성과 한국 현대시
도서명:정체성의 형성과 한국 현대시
저자/출판사:강호정/서정시학
쪽수:272쪽
출판일:2013-12-20
ISBN:9788998845384
목차
머리말 / 5
Ⅰ부. 해방기 시의 시적 주체 형성
Ⅰ. 서론 / 15
1. 연구의 목적과 문제제기 ……… 15
2. 연구사 검토 ……… 21
3. 연구 방법 및 논의의 전제 검토 ……… 28
Ⅱ. 국가어의 확립과 언어의식의 이중성 / 39
1. 국어순화정책과 외래어ㆍ한자어의 사용 ……… 46
1) 외래어: 비판과 선망의 이중성 ……… 46
2) 한자: 관념의 노출과 조형미의 가치 ……… 59
2. 우리말 도로 찾기와 방언ㆍ토속어의 사용 ……… 75
1) 방언: 근대 국가어의 쌍생아 ……… 75
2) 토속어: 조선적인 것의 표현 ……… 84
Ⅲ. 새로운 국가 주체의 시적 모색과 공동체의 지향 / 93
1. 국가의 주체로서 ‘인민’ㆍ‘민족’과 ‘시민’ㆍ‘겨레’ ……… 97
1) 사회적 모순의 해결 주체로서 ‘인민’과 ‘민족’ ……… 97
2) 민주주의 형성의 현실적 주체로서 ‘시민’과 ‘겨레’ ……… 108
2. 집단적 연대의식의 강화와 청유ㆍ명령의 언술 ……… 121
1) 민중의 확산과 연대의식의 강화 ……… 121
2) ‘우리’의 호명방식으로서 청유ㆍ명령의 언술 ……… 133
Ⅳ. 시적 주체의 정체성 회복과 자아의 확장 / 147
1. 자기비판의 양상과 내적 지향의 언어 ……… 153
1) 자기비판과 정체성의 확립 양상 ……… 153
2) 자아의 내적 지향과 독백의 언어 ……… 164
2. 정체성의 근원으로서 ‘가족’과 ‘고향’ ……… 175
1) 국가의 위기에 가려진 가족 ……… 175
2) 정체성 확인의 공간으로의 고향 ……… 186
Ⅴ. 결론 / 201Ⅱ부. 근대를 견디는 두 가지 방식
- 이상과 백석의 경우
1. 들어가며 ……… 209
2. ‘마을’과 ‘막다른 골목’의 공간성 ……… 213
3. 과거 시간과의 단절과 연속성 ……… 221
4. 육체와 그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가족 ……… 228
5. 나오며 ……… 235
Ⅲ부.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
1. 들어가며 ……… 239
2. 지도라는 은유와 바다의 새로운 해석 ……… 242
3. 근대/세계를 상상하는 도구로서의 지도 ……… 251
4. 나오며 ……… 260
▣ 참고문헌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