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공학일반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공학일반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좋은정보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좋은정보사
시중가격 340,000원
판매가격 306,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9788998586614.jpg

    도서명: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저자/출판사:좋은정보사/좋은정보사
    쪽수:373쪽
    출판일:2020-05-14
    ISBN:9788998586614

    목차
    Ⅰ. 에너지 신산업 산업현황 및 국내외 연구사업 추진현황 31

    1. 에너지 신산업 개요 31
    1) 개념 31
    (1) 정의 31
    1.1)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32
    1.2) 주요 변화 33
    1.3) 신기후체제 대응 에너지 신산업 33
    (2) 특징 35
    2.1) 기존 에너지산업과의 차별점 35
    2.2)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와 에너지 신산업 37
    2) 에너지 신산업 필요성 39
    (1) 전력산업에 도입 필요성 39
    1.1) 신기후 체제 출범 39
    1.2) ICT 신기술 출현 40
    1.3) 전력산업 41
    (2) IoT에 의한 가치창조 42
    2.1) 운영 최적화 43
    2.2) 리스크 관리 44
    2.3) 마케팅 전략 고도화 44
    2.4) 신규 사업 창출 44
    2. 에너지 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 46
    1) 국내 46
    (1) 시장 트렌드 46
    (2) 전력에너지 분야 공용 플랫폼 구현 49
    2.1) 에너지마켓 플레이스 구현 모델 49
    2.2) 사물인터넷 49
    2.3) 가상/증강현실 50
    2.4) 마이크로그리드 50
    2.5) 에너지 프로슈머 52
    2.6) 제로에너지 빌딩 52
    2.7) 전력분야 저탄소 발전 54
    2.7.1) 에너지저장장치 56
    2.8) 전기자동차 58
    2.8.1)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58
    2.8.2) 전기자동차 충전소 58
    2.9) 스마트그리드 59
    (3) 에너지신산업 시장의 새로운 지평 60
    3.1) 기존 사례분석을 통한 에너지신산업의 신시장 접근 61
    2) 국외 62
    (1) 시장 트렌드 62
    (2) 소규모‘전력 중개’시장 본격가동 64
    (3) 발전방향 66
    3.1) ICT 융합 가속화 66
    3.2) 분산형 전원의 확산 67
    3.3) 재생에너지의 안정화 67
    3.4) 전통적 에너지원의 청정화 69
    3.5) 제반시설을 활용한 ICT기술 연동 및 스마트 기반 에너지 절감 69
    3.5.1) ICT 기반 스마트 에너지팩토리 타운 조성 69
    3.6) 중소기업간 연계를 통한 기술개발 및 에너지 고효율 70
    3.7) 전기를 사고파는 에너지 프로슈머 시범 70
    (4)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71
    4.1)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 도입 71
    4.2)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 시장의 성장 72
    (5) 마이크로그리드 73
    (6) 제로에너지빌딩 76
    3) 에너지 신산업 분야별 시장전망 77
    (1) 국내외 기술별 LIB ESS 전망 77
    1.1) 국내 78
    1.1.1) 전력용 LIB ESS 78
    1.1.2) 전력용 ESS 시장 Business Scheme 79
    a) F/R용 ESS Business 79
    b) Peak cut용 ESS Business 79
    1.2) 국외 80
    1.2.1) 일본 80
    a) 전력용 ESS 80
    b) 전력용 LIB ESS 80
    c) 전력용 ESS Business Scheme 81
    d) 일본 상업용 LIB ESS 시장현황 및 전망 82
    1.2.2) 중국 82
    a) 전력용 LIB ESS 시장전망 82
    b) 전력용 ESS 시장 Business Scheme 82
    1.2.3) 호주 83
    a) 전력용 LIB ESS 시장전망 83
    1.2.4) 미국 83
    a) 전력용 LIB ESS 시장전망 83
    b) 전력용 ESS 시장 Business Scheme 84
    c) 미국 상업용 LIB ESS 시장현황 및 전망 85
    1.2.5) 유럽 86
    a) 전력용 LIB ESS 시장전망 86
    (2) 국내외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용 시장전망 87
    2.1) 국내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용 LIB ESS 시장전망 87
    2.1.1) UPS용 LIB ESS 시장현황 및 전망 88
    2.2) 국외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용 LIB ESS 시장전망 89
    2.2.1) 일본 UPS용 LIB ESS 시장현황 및 전망 89
    2.2.2) 전력불****국가의 UPS용 LIB ESS 시장현황 및 전망 89
    (3) 전기차 및 충전장치 전망 91
    (4) 신재생에너지 시장전망 95
    3. 에너지 신산업 국내외 연구사업 추진동향 97
    1) 국내 99
    (1) 사업 모델별 에너지 신산업 추진동향 99
    1.1) 에너지 공급 99
    1.1.1) 에너지 자립섬 99
    a) 죽도 - 에너지자립섬 99
    b) 제주 가파도 - 탄소없는 섬 100
    1.1.2) 친환경 에너지타운 101
    1.1.3) 분산전원 101
    a) 경기 그린에너지 102
    1.2) 산업공정 부문 103
    1.2.1) 스마트 팩토리 103
    a) 포스코 103
    b) 경성하이테크 103
    1.3) 농업 폐기물 부문 105
    1.3.1) 발전소 온수배열 활용 105
    1.4) 건물부문 105
    1.4.1) 제로에너지 빌딩 105
    a) 제로카본 그린홈 105
    b)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 106
    c) 빌딩에너지 관리시스템 106
    1.5) 에너지 프로슈머 107
    1.5.1) 마이크로그리드 108
    1.5.2) 친환경 에너지타운 109
    1.5.3) 저탄소 발전 110
    1.5.4)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111
    (2) 에너지 신산업 검토를 통한 고도화 추진 113
    2.1) 에너지 신사업 분석을 통한 ICT 기술과 연계방****추진 113
    2.2) 에너지 신산업 추진실적(2016년) 113
    2.3) 에너지 신산업 추진실적(2017년) 119
    2.4) 에너지 신산업 추진실적(2018년) 125
    (3) 정부 및 기관별 에너지 신산업 추진내역 130
    2) 국외 132
    (1) 사업 모델별 에너지 신산업 추진동향 132
    1.1) 수요자원 거래시장 132
    1.1.1) 미국 132
    1.1.2) 영국 132
    1.2) 에너지 자립섬 133
    1.2.1) 미국 133
    1.2.2) 일본 134
    1.3) 태양광 대여 135
    1.3.1) 미국 135
    1.3.2) 일본 136
    1.3.3) 영국 137
    1.4) 전기자동차 137
    1.4.1) 미국 137
    1.4.2) 일본 138
    1.4.3) 영국 139
    1.5)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139
    1.5.1) 일본 139
    1.5.2) 프랑스 140
    1.6) 친환경에너지 타운 141
    1.6.1) 독일 141
    1.6.2) 오스트리아 비엔나 141
    1.6.3) 스웨덴 142
    1.7) 제로에너지 빌딩 142
    1.7.1) 미국 142
    1.7.2) 프랑스 143
    1.7.3) 독일 144
    1.8) 송배전효율 145
    1.8.1) 중국 145
    1.8.2) 프랑스 146
    1.9) 스마트 그리드시티 146
    1.9.1) 미국 146
    1.9.2) 일본 147
    1.9.3) 프랑스 147
    1.9.4) 덴마크 148
    1.10) 스마트팩토리 149
    1.10.1) 일본 149
    1.11) 에너지 프로슈머 151
    1.11.1) E-Prosumer 전력거래 151
    1.12) 저탄소 발전 153
    1.12.1) 미국 153
    1.12.2) 캐나다 154
    1.12.3) 멕시코 154
    1.12.4) EU 154
    1.13) 에너지 저장장치 155
    1.13.1) 미국 155
    1.13.2) 일본 156
    1.13.3) 유럽 157
    3) 에너지 신산업 구성산업 생태계 158
    (1) 제주 그린빅뱅 158
    1.1) 풍력발전을 미래 청정에너지 자원으로 개발 159
    1.1.1) 최적 조건을 바탕으로 세계 전기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조성 159
    1.1.2)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로 육성 159
    1.1.3) 제주 그린빅뱅의 당면과제 160
    1.1.4) 태양광 발전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160
    1.1.5) 전기자동차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161
    1.2) 글로벌 에코플랫폼(Global Eco Platform) 사업 161
    (2) 코펜하겐 클린테크 클러스터 166
    2.1) 그린시티를 위한 코펜하겐 클린테크 클러스터 167
    2.2) 향후계획 169
    (3) 사업 확산을 위한 개선방****172
    (4) 에너지 신산업 확산 방****175
    4.1) 에너지 신산업 확산을 위한‘기본 Unit’설정 175
    4.2) 기본 Unit의 경제성 분석 175
    4.3) 기본 Unit에서의 프로슈머 참여 모델 175
    4.4) 4차 산업혁명을 지향하는 에너지신산업 확산 176
    4. 에너지 신산업 수출지원 현황 및 인력현황 178
    1) 에너지 신산업 제품/실적 및 사업화 지원방향 178
    (1) 주력제품 178
    (2) 실적 및 투자현황 179
    2.1) 매출액 179
    2.2) 수출액 182
    2.3) R&D 투자액 185
    2.3.1) 연구개발비 투자 186
    2.3.2) 설비 투자 187
    (3) 수출 사업화 지원현황 189
    3.1) 금융지원 189
    3.1.1) 지역별 해외진출 전략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 189
    3.1.2) ADB의 민간자금 협조금융 유치를 위한 PSOD 공략 189
    3.1.3) EDCF 지원 연계 방****191
    3.1.4) 해외프로젝트 개발펀드 조성/지원 191
    3.1.5) 소규모 무상원조 사업에서 신재생 발전분야 확대 191
    3.1.6) 해외사업에 대한 인센티브 체계 구축·시행 192
    3.2) 법 ㆍ 제도적 지원 192
    3.2.1) MDB 전담지원 기구 신설 및 'MDB 컨설턴트 Pool' 구축 192
    3.2.2) 개도국 프로젝트 프로그램 전문 지원기구 신설 193
    3.2.3) ODA 컨설팅 산업 육성 193
    3.2.4) 국가 R&D 지원사업에 에너지신산업 분야 상용화 과제 지원 194
    3.3) 정보제공 지원 194
    3.3.1) 해외 정보제공 통합 사이트 운용 194
    3.4) 기타 - 경쟁국과의 경쟁 및 차별화 방****195
    2) 인력 현황 196
    (1) 종업원 196
    1.1) R&D 인력 198
    (2) 인력부족 현황 200
    2.1) 고용구조 및 인력 과부족 현황 200
    2.1.1) 고용형태별 인력 및 인력부족 현황 200
    2.1.2) 연령별 인력 및 인력부족 현황 201
    2.2) 직종별 인력 및 인력부족 현황 202
    2.2.1) 연구개발직 202
    2.2.2) 전문기술직 204
    2.2.3) 생산기능직 205
    2.2.4) 사무관리직 206
    2.2.5) 영업판매직 207
    2.3) 인력규모의 적정성 및 부족이유 208
    2.3.1) 인력규모의 적정성 208
    2.3.2) 인력 부족 이유 209
    2.4) 인력의 업무역량 210
    (3) 고용환경 변화 212

    Ⅱ.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동향 및 서비스 사례 215

    1. 에너지 신산업 기술동향과 기술개발 현황 215
    1) 에너지 신산업 국내외 기술동향 215
    (1) 국내 215
    1.1) 에너지마켓 플레이스 구현 모델 215
    1.1.1) 사물인터넷(IoT) 기술 215
    1.1.2)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 216
    1.1.3) 마이크로드 기술 216
    1.2) Ess통합 서비스 217
    1.3) 에너지 자립섬 220
    1.3.1) 첨단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에너지 자립섬 준공 220
    1.4) 전기자동차 221
    1.4.1) 전기자동차 활성화를 위한 V2H 기술 221
    1.5)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222
    1.6) 친환경 에너지타운 223
    1.6.1)‘홍천’친환경 에너지타운 시범사업 223
    1.7) 제로에너지 빌딩 224
    1.7.1) 제로에너지 건물의 현 단계 기술수준 224
    1.7.2) 제로에너지 건물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역할과 기술현****225
    1.8) 블록체인 227
    (2) 국외 230
    2.1) 분산전원 기반기술 230
    2.2) 송배전효율화 230
    2.2.1) 영국/프랑스(ElecLink 프로젝트) 230
    2.3) 스마트팩토리 & 스마트홈 230
    2.3.1) 일본 230
    2.4) 사물 인터넷 231
    2.4.1) ICT산업 발전과 시장인식 변화가 사물인터넷
    출현배경으로 작용 232
    2)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현황 233
    (1) 에너지 신산업 기술력 확보방****234
    (2) 에너지 신산업 분야별 기술개발 236
    2.1) 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 236
    2.1.1) 기술의 융합에 의한 동시 처리가 가능한
    다기능 공정 개발추진 236
    2.1.2) 신기술 복합화에 의한 고효율 패키지 기술 선호 236
    2.2) 태양광 발전 시스템 237
    2.3)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237
    2.4) 소형풍력 발전기 238
    2.5) 소규모 분산자원 239
    (3)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중점 추진과제 240
    3.1) 시장선도 전략 240
    3.1.1) 추격형에서 선도형 R&D로의 전환 240
    a) 원천기술 및 개방형 240
    b) 융·복합 및 전략형 R&D 확대 240
    c)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R&D 환경조성 240
    3.1.2) Track Record 확보를 위한 실증 R&D 확대 241
    a) 실증연구 대규모 투자확대 241
    b) 수출사업화 지원을 위한 해외실증 활성화 241
    c) 실증연구 기반구축 241
    3.1.3) 시장 중심의 R&D 성과제고 241
    a) 에너지 시장 특성을 반영한 기획 강화 241
    b) 시장선도 수요기술 발굴 241
    c) 유망 잠재시장 대응전략 수립 242
    3.2) 핵심 기술개발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 242
    3.2.1) 미션이노베이션 이행확대 242
    a) 공공부문의 청정에너지 R&D 투자, 5년내 2배 확대 242
    b) 관계부처 및 에너지 공기업과의 협력 강화 242
    3.2.2) 청정에너지 공급을 위한 R&D 확대 242
    a)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온실가스 저감 촉진 242
    b) 발전시스템 성능향상 및 안전성 강화 →
    안정적 전력공급 243
    c) 자원순환 ㆍ 자원개발 기술개발 →
    안정적 자원확보 및 신산업 창출 243
    3.2.3) 수요관리기술 경쟁력 강화 및 수출전략화 243
    a) 에너지 다소비분야 효율화 및 응용기술 확보 →
    온실가스 저감 243
    b) ESS 기술경쟁력 강화 → 수출경쟁력 강화 243
    c) 스마트그리드 실증확대 → 신성장 수출동력화 243
    d) 선제적 안전기술 확보 → 안전한 에너지 사용환경 마련 244
    3.3) 협력적 기반구축 국내외 투자주체별 협력체계 강화 244
    3.3.1) 정부-공기업 간 역할분담 및 협력 244
    3.3.2) 해외 탐색기능 강화를 통한 국제협력 강화 244
    2. 에너지 신산업 국내외 서비스 사례 및 신규모델 시범사업 245
    1) 국내외 서비스 사례 245
    (1) 국내 사례 245
    1.1) 에너지 부문 245
    1.1.1) ESS 통합서비스 245
    a) 한국전력 주파수 조정용 ESS 245
    b) LG 화학 ESS 통합서비스 246
    1.2) 건물 부문 246
    1.2.1) 태양광 대여 246
    1.2.2) 스마트 홈 247
    a) 홈시큐리티 서비스 247
    b) 무인 택배시스템 248
    c) 에너지관리 서비스 249
    1.3) 수송 부문 250
    1.3.1) 전기자동차 250
    a) 전기자동차 및 충전소 250
    b)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250
    c) 전화부스 충전소 251
    (2) 국외 사례 252
    2.1) 미국 252
    2.2) 일본 253
    2.3) 독일 254
    2) 에너지 신산업 신규모델 서비스 시범사업 256
    (1) 한국에너지공단 시범사업 256
    (2) 주요 사업모델 256
    2.1) 수요자원 거래시장 256
    2.1.1) 대상사업자 256
    2.2) ESS통합 서비스 257
    2.2.1) 대상사업자 257
    2.2.2) 통합서비스 사업자 사업내용 257
    2.3) 에너지 자립성 257
    2.3.1) 대상사업자 257
    2.3.2) 사업구조 258
    2.4) 태양광 대여 258
    2.4.1) 대상사업자 258
    2.5) 전기자동차 259
    2.5.1) 대상사업자 259
    2.5.2) 충전사업 비즈니스 모델 259
    2.6)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260
    2.6.1) 대상사업자 260
    2.7) 친환경 에너지타운 261
    2.7.1) 시범사업 추진사례 262
    2.8) 제로 에너지 빌딩 264
    2.8.1) 고효율 저에너지 소비의 실현 264
    2.8.2) 건물에 자체적인 에너지 생산 설비 264
    2.8.3) 전력망과의 연계 265

    Ⅲ. 에너지 신산업 표준화 현황 및 정책동향 269

    1. 에너지 신산업 표준화 동향 269
    1) 국내외 표준화 현황 269
    (1) 국내 269
    1.1) 기술별 표준화 현황 269
    1.1.1) 전력에너지 분야 공용 플랫폼 구현 269
    1.1.2) 전력에너지 분야 사물인터넷(IoT) 270
    1.1.3) 전력에너지 분야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 271
    1.1.4) AMI/EMS 표준이슈 271
    a) AMI 271
    b) EMS 273
    1.2) 에너지 신산업 표준화 기술교류 273
    (2) 국외 275
    2.1) 기술별 표준화 현황 275
    2.1.1) 전력에너지 분야 공용 플랫폼 구현 275
    2.1.2) 전력에너지 분야 사물인터넷(IoT) 275
    2.1.3) 전력에너지 분야 가상/증강현실(VR/AR) 276
    2.1.4) 전기차 276
    2.2) 주요국 표준화 현황 277
    2.2.1) 중국 277
    2.2.2) EU 278
    2.2.3) 미국 279
    2) 시사점 280
    (1) 활성화를 위한 경제급전 중심의 전력거래 시스템 개선 282
    1.1) 글로벌 경쟁력 확보 282
    1.2) 친환경적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자생력 확보를 위한 환경조성 282
    1.3)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한 제도정비, 투자확대 282
    (2) 모델별 시사점 283
    2.1) AMI 283
    2.2) 에너지 플랫폼 283
    2.3) 빅데이터 284
    2.4) 스마트 그리드 시티 284
    2.5) 에너지저장 장치 286
    2.6) 전기자동차 286
    2.7) 신재생에너지 287
    2. 에너지 신산업 정책동향 289
    1) 에너지 신산업 국내외 정책동향 및 분야별 정책방****289
    (1) 국내 289
    1.1) 에너지신산업 기술 확산·기술개발·사업화 지원 289
    1.1.1) 에너지신산업 전담과 신설, 6대 기술육성 290
    1.1.2)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 기술 지원정책 291
    1.1.3) 사용 후 핵연료, 에너지 주요 정책 속도조절 291
    1.1.4) 실증연구 투입정책 292
    1.2) 전략 로드맵 293
    1.2.1) 핵심기술 30개 과제에 투자 293
    1.2.2) 민·관 협업 및 해외진출 지원 인프라 강화 294
    1.3) 페루 에너지신산업 국내기업 진출지원 295
    1.4) 정부의 2019 에너지 신산업 본격지원 296
    (2) 국외 299
    2.1) 일본 299
    2.2) 인도 300
    2.3) 베트남 300
    2.4) 인도네시아 300
    2.5) 브라질 300
    2.6) EU 301
    2.6.1) 독일 301
    2.6.2) 프랑스 301
    2.6.3) 영국 301
    2.7) 미국 302
    (3) 분야별 정책방****304
    3.1) ESS 분야 304
    3.1.1)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정책 수요 304
    3.1.2) 수출 산업화 지원을 위한 정책방****304
    3.1.3) R&D 지원 정책방****304
    3.1.4) 보급확대 지원 정책방****305
    3.1.5) 해외진출 지원 정책방****305
    3.2) 마이크로그리드 분야 305
    3.2.1)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정책 수요 305
    3.2.2) 수출 산업화 지원을 위한 정책방****306
    3.2.3) R&D 지원 정책방****306
    3.2.4) 보급확대 지원 정책방****306
    3.2.5) 해외진출 지원 정책방****307
    3.3) 신재생에너지 분야 307
    3.3.1)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정책 수요 307
    3.3.2) 수출 산업화 지원을 위한 정책방****307
    3.3.3) R&D 지원 정책방****308
    3.3.4) 보급확대 지원 정책방****308
    3.3.5) 해외진출 지원 정책방****308
    3.4) 수요자원 시장분야 309
    3.4.1)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정책 수요 309
    3.4.2) 수출 산업화 지원을 위한 정책방****309
    3.4.3) R&D 지원 정책방****309
    3.4.4) 보급확대 지원 정책방****310
    3.4.5) 해외진출 지원 정책방****310
    3.5) 스마트공장 분야 310
    3.5.1) 에너지신산업 기술개발 정책 수요 310
    3.5.2) 수출 산업화 지원을 위한 정책방****311
    3.5.3) R&D 지원 정책방****311
    3.5.4) 보급확대 지원 정책방****311
    3.5.5) 해외진출 지원 정책방****312
    (4)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313
    4.1)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 314
    4.2) 미래 지향적 에너지 관리 시스템 투자 315
    4.3) 지능화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에너지기업으로 전환 316
    4.4)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전문인력 공급 317
    4.5) 전력신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와 대****317
    4.5.1) 전력 신사업 우선 정책과제 317
    4.5.2) 전력신산업 우선 정책 과제별 대****319
    4.6) 온실가스 정책과제 322
    4.7) 에너지 신산업 정책 활성화를 위한 법적과제 323
    4.7.1) 활성화를 위한「전기사업법」상 개정 방향성 323
    4.7.2) 의무화를 위한「에너지이용합리화법」개정 방향성 325
    2) 문제점 329
    (1) 여러 요인의 문제점 329
    1.1) 핵심 기술에 대한 투자부족 329
    1.2) 분산형 전원 활성화 제약 330
    1.2.1) 낮은 지역별 전력자급률로 인한 송전선로 건설부담 가중 330
    1.2.2) 에너지 산업자체의 붕괴위기 330
    1.3) 경제급전 원칙으로 실제 발전믹스 변화 미미 331
    1.3.1) 발전원의 비중 확대로 인한 어려움 331
    1.3.2) 제도개선 시급 331
    (2) 에너지 시스템 문제 333
    2.1) 장애요인 333
    2.2) 규제 및 경쟁 333
    2.2.1) 시장과 가격가능 333
    2.2.2) 진출입 장벽 334
    2.2.3) 정책이행 방식 335

    Ⅳ. 부 록 339

    1. 국내 에너지 신산업 기업현황 339
    1) KT 339
    2) LG CNS 339
    3) LG 전자 340
    4) LS ELECTRIC 341
    5) SGI 서울보증 342
    6) SK D&D 342
    7) 대건소프트 343
    8) 누리텔레콤 343
    9) 데스틴파워 344
    10) 솔보텍 345
    11) ㈜신아시스템 346
    12) 에코메카 346
    13) 이젠파트너스 346
    14) 에코브레인 347
    15)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348
    16) 경일그린텍 348
    17) 솔라라이트코리아 349
    2. 국외 에너지 신산업 기업현황 350
    1) ABB Ltd 350
    2) AC Propulsion 350
    3) Chint Group 350
    4) Corinex 350
    5) Coritech 351
    6) Apparent Energy 351
    7) Austin Energy 351
    8) AutoGrid 351
    9) Awesense 352
    10) Chargemaster Plc 352
    11) ChargePoint 352
    12) AeroVironment 352
    13) Eaton Corporation Plc 353
    14) Ecobee 353
    15) Echelon Corporation 353
    16) Engie Insight 353
    17) Electron 354
    18) Elster Energy(Honeywell) 354
    19) Enbala 355
    20) Grid point 355
    21) GridX 355
    22) Honda 355
    23) Ieso 356
    24) IncSys 356
    3. 에너지 기술보급에 따른 사업모델 및 민간기업 사업체계 동향 사례 357
    1) ESS 대여사업 357
    (1) 가정용 ESS 대여사업 357
    2) 제3자의 ESS 설비를 이용한 유틸리티사의 ESS 사업 358
    (1) 피크전력에 대응하는 ESS 비즈니스 모델 추진 358
    (2) Con Edison과 GI Energy가 주관이 되어 수행 359
    3) 가정용 태양광발전 / ESS를 이용한 가상발전소(VPP) 사업 360
    (1) Ancillary 서비스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 추진 360
    4) 전기차 폐배터리를 이용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362
    (1) 주파수 조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 추진 362
    (2) 전기차 폐배터리를 유틸리티용 ESS에 적용 363
    5) 이동이 가능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364
    (1) ESS를 설치하여 피크전력 대응 및 비즈니스 모델 추진 364
    (2) Con Edison이 주관이 되어 수행 364
    4. 에너지 신산업 관련 비즈니스‘에너지프로슈머’ 366
    1) 에너지 프로슈머의 개념 366
    (1) 에너지프로슈머의 범위 366
    (2) 전력구입과 잉여전력의 판매 367
    2) 에너지 프로슈머의 역할 369
    (1) 분산형 자원의 활용 및 거래증가 369
    (2) 새로운 에너지 서비스의 활성화 370
    3) 에너지 프로슈머의 사업모델 371
    (1) 전력회사와의 상계거래 371
    (2) 동일 배전망 내 잉여전력의 판매 371
    (3) 인터넷을 통한 개인 간 전력거래 372
    (4) 분산자원 중개시장을 활용한 잉여전력 판매 372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산업동향과 사업 모델별 추진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에너지신산업 국내외 306,0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