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언론통제
도서명:한국의 언론통제
저자/출판사:김주언/리북
쪽수:678쪽
출판일:2009-02-05
ISBN:9788987315911
목차
•개정판서문 이명박정부가 언론장악 기도를 포기하길 기원하며
•책머리에 진정한 ‘언론자유’를 꿈꾸며
제1부 언론통제의 이론적 고찰
제1장 파시즘체제의 언론통제
1. 한국의 군사정권 2. 나치 독일과 군국주의 일본
제2장 독재권력과 언론통제 유형
1. 국가흡수적 언론통제 2. 국가개입에 의한 ‘관제언론’
제3장 언론통제의 이론적 배경
1. 뢰플러의 언론관 2. 권위주의 이론 3. 언론도구화 정책
제4장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언론
1. 대중매체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2. 이데올로기의 주요 기능 3. 이데올로기적 담론의 특성
제2부 언론통제의 구조
제1장 언론통제의 역사와 구조
1. 나치 독일의 언론통제
1) 괴벨스의 언론통제 2) 신문 폐간과 방송사 접수 3) 기자 자격제한과 보도지침 하달
2. 군국주의 일본의 언론통제
1) 언론통제 기관 2) 신문사 통폐합 3) 뉴스 검열기준 4) 전시하의 보도통제
3.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본 언론통제 구조
제2장 커뮤니케이터 통제
1. 언론인 강제해직
1) 박정희정권(1961년~1962년) 2) 전두환정권(1980년)
2. 동아일보 기자 대량 해직(1974년~1975년)
1) 자유언론실천운동 2) 동아일보 기자 무더기 해고
3) 중정과 동아 경영진이 협의해 해고 4) 해고무효 소송 패소
3. 조선일보 기자 해직(1974년)
1) 자유언론실천운동이 불씨 2) 해고기자 복직요구 농성 3) 훗날 조선일보 노조의 진상규명
4. 동아,조선투위 활동 방해
1) 보도되지 않은 ‘민권일지’ 사건 2) 청우회 사건 등 중앙정보부 연행 3) 매스컴 관련 재취업 방해
5. 언론인 탄압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0년~1987년)
6. 언론인 회유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0년~1987년) 3) 경제적 특혜(1974년~1987년)
제3장 미디어 통제
1. 언론사 통폐합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0년)
2. 언론사 폐간 및 강탈(1961년~1966년)
1) 민족일보 폐간(1961년) 2) 문화방송 강탈(1961년) 3) 경향신문 강제 매각(1966년)
3. 조선|동아 광고탄압(1973년~1975년)
1) 조선일보 광고탄압(1973년) 2) 동아일보 광고탄압(1974년~1975년)
4. 언론사에 대한 특혜
1) 박정희정권(1962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제4장 메시지 통제
1. 법적 규제
1) 박정희정권(1961년~1979년) 2) 언론기본법(1980년)
2. 계엄하 사전검열
1) 박정희정권(1961년) 2) 전두환정권(1979년~1980년)
3. 보도지침 하달
1) 박정희정권(1972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4. 대형사건 여론조작
1)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2) 대학가 이념 조작(1984년~1985년) .
3) 금강산댐 조작(1986년) 4) 관계기관 여론 조작(1985년~1987년)
5) 방송 프로그램 통제(1973년~1987년)
5. 외신에 대한 통제
1) 박정희정권(1963년~1979년) 2) 전두환정권(1981년~1987년)
6. 신동아|월간조선 제작방해(1987년)
1) 사건 경과 2) 위법성 논란
제3부 ‘언론탄압의 완결판’ 보도지침
제1장 보도지침 사건
1. 보도지침 폭로(1986년)
1)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기관지
<말>
2) 보도지침 자료 전달 3)
<말>
특집호 제작
4) 보도지침 폭로 이유 5) 보도지침 공개 기자회견 6) 국내외 인권단체의 석방촉구
2. 재판과정의 의혹(1987년)
1) 국가보안법 등 위반 혐의 2) 인권변호사 총출동 3) ‘증인 취소는 외압’ . 4) ‘갈등 끝의 타협’
3. 대법원서 무죄 확정(1995년)
1) 변호인 3명 타계 2) 9년 여 만에 재판 끝나
제2장 보도지침의 하달 및 이행
1. 보도지침의 산실
1) 홍보조정실 설치 2) 언론통제에 베테랑 기자 출신 포진 3) 안기부|보안사와 협의
4) 국회 언론청문회
2. 언론사의 보도지침 처리
1) 보도지침 이행률 2) 보도지침에 얽힌 이야기 3) 보도지침 처리 유형
3. 보도지침 위반 시 보복
1) 편집국장 경질 2) 안기부 연행 고문 .
제3장 보도통제 지시방향
1. 박정희정권(1975년~1979년)
1) 전면통제와 부분통제 2) 사전통제와 사후통제 3) 내용이 불분명한 통제 4) 방송통제의 강화
2. 전두환정권 시절(1985년~1986년)
1) 치밀하고 구체적인 지시 2) 내용 통제 3) 형식 통제 4) 언어 통제
제4장 보도지침과 군사정권의 성격
1. 박정희정권(1975년~1979년)
1) 보도지침의 통제내용 분석 2) 보도지침을 통해 본 정권의 특성
2. 전두환정권(1985년~1986년)
1) 보도지침의 통제대상 2) 보도지침을 통해 본 정권의 성격
제4부 군사정권 이후의 정부와 언론
제1장 언론권력의 등장
1. 언론의 대통령 만들기
1) 편파, 왜곡 보도로 특정후보 편들기 2) 지역감정|색깔론 조장
3) 기자 80% “2002년 대선보도는 편파적”
2. 자본통제의 심화
제2장 역대 정부와 언론의 관계
1. 언론과 국가, 자본
1) 노태우정부 2) 김영삼정부 3) 김대중정부 4) 노무현정부
2. 역대 정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1) 조선, 부정적 보도 ‘전두환 0.8%, 노무현 50%’
2) 조선|동아, 노대통령 부정적 사설 압도적
3. 해직언론인 원상회복 노력
1) 해직 언론인 복직 촉구 2) 언론인 해직 진상 규명 3) 행정심판|국가배상 기각
제3장 노태우정권의 언론통제(1987년~1992년)
1. 언론노조의 결성
2. 언론인 개별접촉 보고서
1) 은밀하게 언론인 접촉 2) 기사 삭제, 뉴스순서 조정 요구 3) 안기부 등과 언론통제 협의
3. 권언유착의 지속
제4장 김영삼정부와 언론(1992년~1997년)
1. 언론개혁 정책 추진
1) 신문시장 불공정거래 조사 2) 언론사 세무조사
2. 언론권력의 ‘대통령 만들기’
1) 언론의 권력 행사 2) 노골적인 ‘권력 만들기’
3. 언론권력의 ‘정권 죽이기’
제5장 김대중정부와 언론(1997년~2002년)
1. 통합방송법의 제정
1) 방송의 독립성 2) 방송위원회의 위상
2. 언론개혁 정책 추진
1) 언론사 세무조사 2) 신문고시의 부활
3. 언론권력의 파상 공격
제6장 노무현정부의 언론정책(2002년~2007년)
1. 보수언론 끈질긴 공세
2.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관
1) 언론관의 핵심 2) 보수언론의 비판
3. 대통령과 보수언론의 대립각
1) 대통령의 보수언론 공격 2) 보수언론의 반박
4. 새로운 언론정책 시행
1) ‘거버넌스 시대에 맞는 언론’ 2) 언론 관련법 제정과 위헌소송 3) 언론정책에 대한 반발
제7장 이명박정부의 언론장악 시도
1. 7대 언론악법 추진과 반발
1) 한나라당 언론악법 추진 2) 야권과 언론노조 등의 통과 저지
3) 국민 62.4% 대기업 방송소유 반대
2. 전방위적 언론장악 기도
1) 커뮤니케이터 통제 2) 미디어 통제 3) 메시지 통제
부록 보도지침
부록 1. 박정희정권 시절 동양방송(TBC)에 내린 보도지침
부록 2. 정두환정권 시절 보도지침
•참고문헌
말>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