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2
도서명: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2
저자/출판사:김윤식/그린비
쪽수:324쪽
출판일:2016-08-30
ISBN:9788976824356
목차
머리말5
1장 _ 식민지 경성의 빈약한 현실과 이미 배워 버린 모더니즘: 구보 박태원과 이상 김해경
종로 청계천변****종상 장남의 월북 | 동인지 『시와 소설』의 구도 | 편집자 이상의 대칭점 만들기 | 「방란장 주인」의 현란한 문체의 신기루 | 무대가 도쿄인 까닭 | 군중 없는 거리의 산책자: 특정한 벗들과의 봉별기 | ‘유민’과 ‘환각의 인’: 박태원과 이상 | 대칭점과 비대칭점의 시각 | 한 소설의 탄생: 문학사적 의의
2장 _ 『문장강화』에서 『산문』까지의 거리 재기: 이태준과 정지용
『상허문학독본』이 놓인 자리 | 『문장』지와 『문장강화』 | 『문장강화』와 정지용 | 정지용 『문학독본』의 자리 | 방법으로서의 ‘유리창’(안경) | 『소련기행』과 『산문』 | 바위가 모지라지고 바셔지기까지 걸린 시간 | 보론 _ 『문장강화』를 가운데 둔 언문일치론의 시대적 의의
3장 _ 종교와 문학의 동시적 초월: 김동리와 조연현
한국 근대문학의 성립 조건 | 근대문학 비판의 무기로서의 ‘구경적 생의 형식’ | 해방공간에서의 김동리의 자기 모순성 | 종교와 문학의 분리 문제: 조연현의 비판 | 기적적 완벽성의 정체: 「산유화」 | 또 하나의 기적: 평론의 형상화
4장 _ 학병세대의 원심력과 구심력: 선우휘의 「외면」과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
「불꽃」과 어떤 학보병 세대 | 입영 이전부터 글쓰기를 목표로 한 경우 | 간접체험: 「불꽃 1」과 「불꽃 2」로서의 「외면」 | 『콰이강의 다리』와 조선인 BC급 전범의 심문 과정 | ‘절대적 가치’로서의 「외면」| 수사학의 세계화: 『소설 알렉산드리아』와 『지리산』 | 다음 단계의 원심점과 구심점
5장 _ 이태의 『남부군』과 이병주의 『지리산』
표절 여부의 문제 | 『남부군』의 전모 | 『남부군』의 기록 방식 | 『관부연락선』과 『남부군』의 관련성 | 『지리산』과 『남부군』의 이동점
6장 _ 『지리산』의 박태영과 이규
이규의 성장기 | ‘실록소설’로서의 『지리산』: 하준수와 하준규| 근대의 두 얼굴: 이규와 박태영 | 이데올로기의 두 얼굴: 권창혁과 이현상 | 허망한 정열 | 산천의 울림과 지리산의 울림: 박경리의 『토지』와 이병주의 『지리산』
7장 _ 황용주의 학병세대: 이병주≠황용주
학병 이병주와 와세다대학 | 『관부연락선』은 황용주의 것인가 | 『소설 알렉산드리아』의 주인공, 황용주 | 『국제신문』 편집국장, 주필, 논설위원 | 『관부연락선』 속의 방법론 | 이병주≠황용주
8장 _ 소설에서 희곡으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가 던진 충격
『회색의 의자』 뒤에 나온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 DNA의 문제에 육박하기 | 희곡으로 변신한 곡절 |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에 대한 작가의 간섭 |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의 위상 | 오페라
<심청>
의 위상
발문 _ 한국 문학사의 라이벌론 3부작(안경환)
찾아보기
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