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진보 전집 > 철학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고문진보 전집 > 철학

고문진보 전집 요약정보 및 구매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을유문화사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을유문화사
시중가격 35,000원
판매가격 31,5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선택된 옵션

  • 고문진보 전집
    +0원
위시리스트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정보
  • 사용후기 0
  • 상품문의 0
  • 배송정보
  • 교환정보
  • 상품정보

    상품 기본설명

    기본설명

    상품 상세설명

    고문진보 전집

    9788932452685.jpg

    도서명:고문진보 전집
    저자/출판사:황견/을유문화사
    쪽수:887쪽
    출판일:2020-09-30
    ISBN:9788932452685

    목차
    3판을 내면서
    개정판을 내면서
    해제: 참된 보물이 담긴 책, 『고문진보』

    권학문(勸學文)
    1.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진종황제
    2.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인종황제
    3. 학문을 권하는 노래(勸學歌) · 사마광
    4.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유영
    5.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왕안석
    6.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백거이
    7.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 · 주희
    8. 아들 부가 장안성 남쪽에서 독서함에 부침(符讀書城南) · 한유

    오언고풍 단편(五言古風短篇)
    9. 맑은 밤에 읊음(淸夜吟) · 소옹
    10. 사계절(四時) · 도잠
    11. 강에는 눈만 내리고(江雪) · 유종원
    12. 도사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訪道者不遇) · 가도
    13. 누에 치는 아낙(蠶婦) · 작자 미상
    14. 농부를 애틋해함(憫農) · 이신
    15. 이사의 전기를 읽고(讀李斯傳) · 이업
    16. 왕소군(王昭君) · 이백
    17. 검객(劍客) · 가도
    18. 일곱 걸음에 지은 시(七步詩) · 조식
    19. 경 자와 병 자를 각운자로 지은 시(競病韻) · 조경종
    20. 탐천(貪泉) · 오은지
    21. 상산의 길을 가며 느낌(商山路有感) · 백거이
    22. 금곡원(金谷園) · 작자 미상
    23. 봄 계수나무의 문답(春桂問答) · 왕유
    24.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遊子吟) · 맹교
    25. 자야의 오나라 노래(子夜吳歌) · 이백
    26. 벗을 만나 함께 묵다(友人會宿) · 이백
    27. 운곡에서 이것저것 읊음(雲谷雜詠) · 주희
    28. 농가를 애달파함(傷田家) · 섭이중
    29. 세월을 보고 느낌(時興) · 양분
    30. 이별(離別) · 육구몽
    31. 고시(古詩) · 작자 미상
    32.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園田居) · 도잠
    33. 심부름 온 이에게 묻다(問來使) · 도잠
    34. 왕우군(王右軍) · 이백
    35~36. 술을 마시며 하지장을 그리워함 두 수(對酒憶賀監二首) · 이백
    37. 강동으로 가는 장사인을 전송하며(送張舍人之江東) · 이백
    38. 장난삼아 정율양에게 드림(?贈鄭?陽) · 이백
    39. 술 마시려 하지 않는 왕역양을 조롱하며(嘲王歷陽不肯飮酒) · 이백
    40. 자류마(紫?馬) · 이백
    41. 술 사오기를 지루하게 기다리며(待酒不至) · 이백
    42. 용문의 봉선사에서 노닐며(遊龍門奉先寺) · 두보
    43. 장난삼아 정광문에게 편지를 올리고 아울러 소사업에게도 드리다(戱簡鄭廣文兼呈蘇司業) · 두보
    44. 전초산의 도사에게 보냄(寄全椒山中道士) · 위응물
    45. 위소주 시의 운에 맞추어 등도사에게 부치다(和韋蘇州詩寄鄧道士) · 소식
    46. 유공권의 연구를 채움(足柳公權聯句) · 소식
    47. 자첨이 해남으로 귀양 감에 부쳐(子瞻謫海南) · 황정견
    48. 젊은이(少年子) · 이백
    49. 금릉의 신정(金陵新亭) · 작자 미상
    50. 장가행(長歌行) · 심약
    51.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52.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53. 고시를 본받아(擬古) · 도잠
    54. 고취곡(鼓吹曲) · 사조
    55. 서도조의 시에 화답하여(和徐都曹) · 사조
    56. 동원에서 노닐며(遊東園) · 사조
    57. 원망의 노래(怨歌行) · 반첩여
    58. 「원망의 노래」를 본받아(擬怨歌行) · 강엄
    59. 고시(古詩) · 작자 미상
    60. 고시(古詩) · 작자 미상
    61. 녹균헌(綠筠軒) · 소식
    62. 달 아래에서 홀로 술 마시며(月下獨酌) · 이백
    63. 봄날 취한 후 일어나 뜻을 말하다(春日醉起言志) · 이백
    64. 소무(蘇武) · 이백
    65. 이것저것 읊음(雜詩) · 도잠
    66.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田園居) · 도잠
    67. 쥐의 수염으로 만든 붓(鼠鬚筆) · 소과
    68∼69. 첩의 운명이 기박하여 두 수(妾薄命二首) · 진사도
    70. 파릇파릇한 물속의 부들(靑靑水中蒲) · 한유
    71. 그윽한 정회(幽懷) · 한유
    72. 공자의 연회(公?) · 조식
    73. 홀로 술 마시며(獨酌) · 이백
    74. 전원으로 돌아와(歸田園) · 강엄
    75. 도연명의 옛날 작품을 모방해서 지은 시의 각운자에 맞추어(和陶淵明擬古) · 소식
    76. 자식을 꾸짖다(責子) · 도잠
    77. 농가(田家) · 유종원

    오언고풍 장편(五言古風長篇)
    78. 중서성에서 숙직하며(直中書省) · 사령운
    79. 고시(古詩) · 작자 미상
    80. 고시를 본받아(擬古) · 도잠
    81.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 도잠
    82~83. 꿈에서 이백을 보고 두 수(夢李白二首) · 두보
    84~85. 소동파에게 드림(贈東坡) · 황정견
    86. 효성스런 까마귀가 밤에 울다(慈烏夜啼) · 백거이
    87. 농가(田家) · 유종원
    88. 악부 상(樂府 上) · 작자 미상
    89. 칠월 밤에 강릉으로 가는 도중에 지음(七月夜行江陵途中作) · 도잠
    90. 술 마시며(飮酒) · 도잠
    91.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歸田園居) · 도잠
    92. 여름날 이공이 방문하여(夏日李公見訪) · 두보
    93. 위팔 처사에게 드림(贈衛八處士) · 두보
    94. 석호촌의 관리(石壕吏) · 두보
    95. 미인(佳人) · 두보
    96. 수주로 공부하러 가는 제갈각을 전송하며(送諸葛覺往隨州讀書) · 한유
    97. 사마온공의 독락원(司馬溫公獨樂園) · 소식
    98. 위좌상에게 올리는 시 사십 구(上韋左相二十韻) · 두보
    99. 이백에게 부침(寄李白) · 두보
    100. 개부 가서한 장군께 드리는 시 사십 구(投贈哥舒開府二十韻) · 두보
    101. 위좌승에게 드림(贈韋左丞) · 두보
    102. 취하여 장비서에게 드림(醉贈張秘書) · 한유
    103. 잗다랗고 잗다란(齪齪) · 한유
    104. 양강공에게 마치 술에 취한 도사와 같은 모양을 한 돌이 있는데 이로 인해 이 시를 읊음(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 · 소식

    칠언고풍 단편(七言古風短篇)
    105. 아미산의 달 노래(峨眉山月歌) · 이백
    106. 산속에서 속인들에게 답하다(山中答俗人) · 이백
    107. 산속에서 대작하다(山中對酌) · 이백
    108. 봄날의 꿈(春夢) · 잠삼
    109. 소년행(少年行) · 왕유
    110.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尋隱者不遇) · 위야
    111. 보허사(步虛詞) · 고변
    112. 열 그루의 대나무(十竹) · 승 청순
    113. 삼유동에 노닐며(遊三遊洞) · 소식
    114. 양양 길에서 한식을 만나다(襄陽路逢寒食) · 장열
    115. 고기잡이 노인(漁翁) · 유종원
    116. 금릉의 술집에서 남겨 두고 떠남(金陵酒肆留別) · 이백
    117. 변경을 생각함(思邊) · 이백
    118. 오야제(烏夜啼) · 이백
    119. 장난으로 새소리에 화답함(戱和答禽語) · 황정견
    120. 우림랑 도 장군을 전송하며(送羽林陶將軍) · 이백
    121. 연 따는 노래(採蓮曲) · 이백
    122. 맑은 강의 노래(淸江曲) · 소상
    123.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登金陵鳳凰臺) · 이백
    124. 이른 봄에 왕한양에게 부치다(早春寄王漢陽) · 이백
    125. 금릉성 서쪽 누각 달 아래에서 읊음(金陵城西樓月下吟) · 이백
    126. 동계공의 유거에 제하다(題東溪公幽居) · 이백
    127. 이옹에게 올림(上李邕) · 이백
    128. 뜰 앞의 감국화를 탄식하며(歎庭前甘菊花) · 두보
    129. 가을비의 탄식(秋雨歎) · 두보
    130. 이월에 매화를 보고(二月見梅) · 당경
    131. 수선화(水仙花) · 황정견
    132. 황학루에 올라(登黃鶴樓) · 최호
    133. 당구에게 드림(贈唐衢) · 한유
    134. 고인의 마음(古意) · 한유
    135. 정병조에게 드림(贈鄭兵曹) · 한유
    136. 꿩이 화살을 맞음(雉帶箭) · 한유
    137. 남릉에서의 이별을 서술함(南陵敍別) · 이백
    138. 달밤에 손님과 함께 살구꽃 아래에서 술 마시며(月夜與客飮酒杏花下) · 소식
    139. 인일에 두씨 댁 둘째 습유에게 부침(人日寄杜二拾遺) · 고적
    140. 야랑으로 유배 가며 신판관에게 드림(流夜郞贈辛判官) · 이백
    141. 취한 뒤에 정씨 댁 열여덟째가 내가 황학루를 쳐부순다는 것을 시로써 나무라기에 이에 답하다(醉後答丁十八以詩譏予?碎黃鶴樓) · 이백
    142. 채석산의 달을 노래하여 곽공보에게 드림(采石月贈郭功甫) · 매요신
    143.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묻다(把酒問月) · 이백
    144. 남나무가 비바람에 뽑힌 것을 탄식함(枏木爲風雨所拔歎) · 두보
    145. 태을진인의 연엽도에 적음(題太乙眞人蓮葉圖) · 한구
    146. 강가에서 슬퍼함(哀江頭) · 두보
    147. 사정에서 잔치하며(燕思亭) · 마존
    148. 우미인초(虞美人草) · 증공
    149. 젊은이를 풍자함(刺年少) · 이하
    150. 여산(驪山) · 소식
    151. 은하수(明河篇) · 송지문
    152. 마애비를 제목으로 삼아(題磨崖碑) · 황정견
    153. 괵국부인야유도(?國夫人夜遊圖) · 소식

    칠언고풍 장편(七言古風長篇)
    154. 생각나는 바 있어(有所思) · 송지문
    155. 여지를 한탄하노라(?枝歎) · 소식
    156. 정혜원의 해당화(定惠院海棠) · 소식
    157. 도연명 사진도(陶淵明寫眞圖) · 사과
    158. 도원도(桃源圖) · 한유
    159. 왕정국이 소장한 왕진경의 그림 연강첩장도를 보고 적다(書王定國所藏煙江疊?圖王晉卿畵) · 소식
    160. 노동에게 띄움(寄盧仝) · 한유
    161. 이공린이 그린 그림(李伯時?圖) · 형거실

    장단구(長短句)
    162. 술을 권하려 한다(將進酒) · 이백
    163. 또 같은 시(又) · 이하
    164. 원단구 선생이 무산을 그린 병풍 앞에 앉아 있는 것을 보고(觀元丹丘坐巫山屛風) · 이백
    165. 세 자, 다섯 자, 일곱 자로 쓴 시(三五七言) · 이백
    166. 양왕이 놀던 서하산의 맹씨의 도화원에서(登梁王棲霞山孟氏桃園中) · 이백
    167. 훌륭한 분이 지나시는 길에 들르시다(高軒過) · 이하
    168. 생각나는 바 있어(有所思) · 노동
    169. 가는 길 험하구나(行路難) · 장곡
    170. 요월정(邀月亭) · 마존
    171. 장회요(長淮謠) · 마존
    172. 초상화를 그려 준 하충 수재에게(贈寫眞何秀才) · 소식
    173. 묽고 묽은 술(薄薄酒) · 소식
    174. 오잠 현령인 나와 과거시험 동기생 조숙이 지은 야옹정(於潛令?同年野翁亭) · 소식
    175. 태항산에 오르는 길(太行路) · 백거이
    176. 칠덕무(七德舞) · 백거이
    177. 바위를 파고 새긴 비문의 탁본을 읽은 뒤에(磨崖碑後) · 장뢰
    178. 술을 권하며 이별을 슬퍼함(勸酒惜別) · 장영
    179. 옛사람을 생각함(古意) · 석 관휴
    180. 촉으로 가는 길 험난하구나(蜀道難) · 이백
    181. 여산고(廬山高) · 구양수

    가류(歌類)
    182. 대풍가(大風歌) · 유방
    183. 양양가(襄陽歌) · 이백
    184. 음중팔선가(飮中八僊歌) · 두보
    185. 취했을 때 읊음(醉時歌) · 두보
    186. 서 사또 댁의 두 아들을 노래함(徐卿二子歌) · 두보
    187. 장난삼아 왕재가 그린 산수화를 소재로 삼아(?題王宰?山水歌) · 두보
    188. 초가집이 가을바람에 부서지다(茅屋爲秋風所破歌) · 두보
    189. 성상께서 친히 향공들이 시험 치는 것을 살펴보심을 노래하다(觀聖上親試貢士歌) · 왕우칭
    190. 산수를 그리다(?山水歌) · 오융
    191. 짧은 등잔걸이(短?歌) · 한유
    192. 넓고 크게 노래함(浩浩歌) · 마존
    193. 칠석날 밤의 노래(七夕歌) · 장뢰
    194. 차를 노래함(茶歌) · 노동
    195. 창포를 노래함(菖蒲歌) · 사방득
    196. 돌북을 노래함(石鼓歌) · 한유
    197. 나중에 돌북을 노래함(後石鼓歌) · 소식
    198. 장난삼아 화경정을 읊음(?作花卿歌) · 두보
    199. 이존사의 소나무 병풍에 적다(題李尊師松樹障子歌) · 두보
    200. 위언이 한 쌍의 소나무 그림을 그림에 장난삼아 짓다(?韋偃爲雙松圖歌) · 두보
    201. 유소부가 그린 산수 병풍을 노래함(劉少府?山水障歌) · 두보
    202. 이조의 팔분소전 글씨를 노래함(李潮八分小篆歌) · 두보
    203. 천육의 나는 듯이 달리는 말(天育驃騎歌) · 두보
    204. 강남에서 천보 연간의 악공을 만나다(江南遇天寶樂?歌) · 백거이
    205. 긴 한탄(長恨歌) · 백거이
    206. 여섯 노래(六歌) · 문천상

    행류(行類)
    207. 가난한 사귐(貧交行) · 두보
    208. 취하여 부르는 노래(醉歌行) · 두보
    209. 고운 여인들을 노래함(麗人行) · 두보
    210. 늙은 측백나무(古柏行) · 두보
    211. 전차의 노래(兵車行) · 두보
    212. 병마를 씻으며 부르는 노래(洗兵馬行) · 두보
    213. 천자께 상주하러 들어감을 노래함(入奏行) · 두보
    214. 부도호 고선지의 푸른 말(高都護?馬行) · 두보
    215. 호현의 현령이신 이씨 어르신의 호마를 노래함(李?縣丈人胡馬行) · 두보
    216. 청백색의 준마를 노래함(?馬行) · 두보
    217. 초서를 노래함(草書歌行) · 이백
    218. 매우 가까이 삶을 노래함(?側行) · 두보
    219. 떠나가자꾸나(去矣行) · 두보
    220. 더위를 괴로워함(苦熱行) · 왕곡
    221. 비파의 노래(琵琶行) · 백거이
    222. 대내전(大內殿) 앞의 광경을 노래함(內前行) · 당경
    223. 고운 여인들을 노래함에 이어 씀(續麗人行) · 소식
    224. 의심하지 말게나(莫相疑行) · 두보
    225. 호랑이 그림(虎圖行) · 왕안석
    226. 도원의 노래(桃源行) · 왕안석
    227. 오늘 저녁(今夕行) · 두보
    228. 군자의 노래(君子行) · 섭이중
    229. 분음의 노래(汾陰行) · 이교

    음류(吟類)
    230. 옛 장성을 읊조림(古城長吟) · 왕한
    231. 백설조를 읊조림(百舌吟) · 유우석
    232. 양보를 읊조림(梁甫吟) · 제갈량

    인류(引類)
    233. 채색 그림을 노래함(丹靑引) · 두보
    234. 도죽 지팡이 노래(桃竹杖引) · 두보
    235. 위풍 녹사 댁에서 조 장군이 말을 그린 그림을 노래함(韋諷錄事宅觀曹將軍畵馬圖引) · 두보

    곡류(曲類)
    236. 명비의 노래 · 1(明妃曲一) · 왕안석
    237. 명비의 노래 · 2(明妃曲二) · 왕안석
    238. 명비의 노래(明妃曲) · 구양수
    239. 명비를 노래하여 왕안석에게 화답함(明妃曲和王介甫) · 구양수
    240. 변방의 노래(塞上曲) · 황정견
    241. 까마귀가 깃듦(烏棲曲) · 이백

    사류(辭類)
    242. 연창궁의 노래(連昌宮辭) · 원진

    찾아보기
    delivery.jpg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 교환정보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

오늘본상품

오늘 본 상품

  • 고문진보 전집
    고문진보 전집 31,500

위시리스트

  • 보관 내역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