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시대와 문학
도서명:격동의 시대와 문학
저자/출판사:조미숙/한국학술정보
쪽수:356쪽
출판일:2010-06-16
ISBN:9788926811030
목차
Ⅰ. 일제 강점기 속죄양 인물의 의미-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속죄양
1. 서론: 한국문학과 속죄양 유형의 인물
2. 염상섭 소설의 속죄양 유형의 인물
1) 속죄양 인물과 그들의 환경
2) 속죄양 인물들의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3. 속죄양 인물들과 이념 그리고 시대적 의미
4. 결론: 일제 강점기 속죄양 인물의 의미역
Ⅱ. 식민지 치하의 가난과 민중의 삶
1. 서론: 리얼리스트 강경애가 포착한 식민지 치하의 가난
2. 체험의 생생한 기록 - 강경애 삶과 문학
3. 강경애 문학의 특성 - 가난의 포착과 ‘힘’의 강조
1) 자전적인 소설
2) 비자전적인 소설
4. 강경애 문학의 특성, 하층민에의 집착
1) 근우회와 밑바닥 삶의 경험
2) 간도, 그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의 문학
3) 객관적 입장에서의 객관묘사, 작가 개입의 자제
Ⅲ. 강점기 노동자 계층의 형성 - 한설야의 노동자 의식
1. 서론: 일제 강점기,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 계층
2. 노동자화의 과정 - 일제에 의한 삶의 터전 파괴와 농민층 분해
1) 파산형 - 「그 전후」
2) 농어민층의 분해 - 「한길」, 「과도기」
3. 노동자 삶의 포착 - 노동자, 그 비인간적 착취의 대상
4. 노동자들의 단결 과정과 그 의미
5. 전향 혹은 노동운동의 내면화
1) 전향의 적극적 양상 - 전향은 성적 외도로 치환
2) 소극적 전향의 모습 - 소시민적 삶에의 침잠
6. 결론: 강점기 작가가 포착한 당대 노동자의 문제점과 해결 방식
Ⅳ. 식민지 지식인의 행동 양상 - 최남선의 만주행을 중심으로
1. 서론: 일제 말 만주와 만주행의 의미
2. 만주행과 지식인의 동원
3. 식민지 지식인의 고민과 글쓰기 그리고 만주
4. 만주로 간 작가들의 글쓰기 - 최남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1) 지식인을 부르는 만주의 구조
2) 만주, 지식인의 문화 출구
5. 결론: 만주행 지식인과 일제 강점기 글쓰기
Ⅴ. 강점기 매체와 토론 - 잡지에 게재된 만주 담론을 중심으로
1. 서론: 표현과 조선, 토론과 좌담
2. 근대와 매체, 좌담회
3. 강점기 좌담회의 ‘만주’
1) 타자로서의 ‘만주’ - 동광, 별건곤의 만주 담론
2) 국책 호응으로서의 ‘만주’ - 삼천리의 만주 담론
4. 결론: 조선의 좌담회, 표면과 이면
Ⅵ. 한국전쟁기 인간의 재발견 문제 - 삶의 정당성으로서의 휴머니즘
1. 서론: 휴머니즘과 한국문학
2. 전후 시기 작가 추식의 주된 관심 - 삶의 정당성으로서의 휴머니즘
1) 추식의 전기적 고찰
2) 작품의 경향
3. 추식의 전후소설 - 휴머니즘 모색의 몸부림
1) 미성숙한 아이들과 역설적 휴머니즘
2) 성숙한 어른, 휴머니즘 회복에의 희구
4. 결론: 전후문학으로서의 추식문학의 특성
Ⅶ. 한국전쟁의 후일담 - 구혜영의 「광상곡」
1. 서론: 전쟁문학과 여성 작가 구혜영
2. 「광상곡」의 구조
1) 한국전쟁 직전 - 여학교 학생들의 사변적 이야기
2) 한국전쟁과 그 이후 - 이데올로기의 극심한 갈등, 얼룩진 개인의 삶
3)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 그들의 트라우마
3. 「광상곡」의 등장인물
1) 신념 지향형 인물들
2) 부화뇌동하는 방관자형 인물들
3) 소신 없이 처세술에 능한 인물들
4) 기타 인물들, 친북적 성향의 인물들
4. 결론: 여성 전후소설의 의의와 한계
1) 「광상곡」의 의의
2) 「광상곡」의 한계
Ⅷ. 산업화 시기 저항문학의 형식과 내용
1. 서론: 민족 비극의 포착과 김정한
2. 김정한 작품의 형식 연구
1) 김정한 작품의 애펠레이션
2) 인물의 계층
3) 김정한 작중인물의 유형
3. 김정한 작품의 경향 - 철저한 저항정신
1) 전기 작품 - 식민치하, 반일ㆍ반봉건의 몸부림
2) 후기 작품 - 광복 이후의 저항과 회한
4. 결론: 김정한 소설의 시대적 의미
Ⅸ. 시대에 따른 전쟁 진술 변화 연구
1. 서론: 날것으로의 전쟁 체험과 여성 작가
2. 박완서와 반공주의-중압감과 이국 지향
3. 박완서의 기억에 대한 자신감, 숙명으로서의 글쓰기
4. 반공주의하 자기검열과 글쓰기
1) 허구적 성격을 가진 고백소설에서의 말하기-‘망각 및 무기억과의 투쟁’으로서의 글쓰기
2) 비허구적 자전소설에서의 말하기-‘지배적 기억의 균열과 위기’에 대응한 글쓰기
3) 80년대와 90년대, 반공의 글쓰기와 탈반공의 글쓰기
5. 탈이데올로기와 글쓰기
Ⅹ. 시대와 국어교과서의 소설 - 한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게재 소설 변천 연구
1. 서론: 교육 현장에서의 반공주의
2.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
1) 반공주의 강화과정으로서의 교육과정
2) 탈반공 혹은 탈이데올로기의 교육과정
3. 교과서 게재 소설의 변화 양상
4. 반공주의와 ‘교과서적’ 텍스트
1) 반공주의 자장 안의 교과서 소설: 1∼4차
2) 탈반공 시대 교과서 소설들의 추이: 5차∼
5. 결론: 남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