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문화 100년사

도서명:한국 언론문화 100년사
저자/출판사:조맹기/청어람M&B
쪽수:776쪽
출판일:2024-07-22
ISBN:9791194180005
목차
머리말
제1장 조선시대 언관 구조에 관한 연구
1. 전통 커뮤니케이션 구조
2. 대간 제도의 기본이념
3. 언관 구조
4. 언로의 실천
5. 언관과 타구조와의 역학 관계
6. 직분 강화의 유교적 인간관계
제2장 초기 정론지의 언론활동(1883~1910)
1. 정론지 연구의 필요성
2. 정론지의 발아
1) 개화파의 「한성순보(漢城旬報)」
2) 온건 개화파의 「한성주보(漢城周報)」
3) 서재필(徐載弼)의 「독립신문」
3. 정론지의 정립
1) 윤치호(尹致昊)의 「독립신문」
4. 정론지의 와해
1) 급진 개화파의 「일신문」
2) 정체성 위기의 「뎨국신문(帝國新聞)」
3) 개신 유학자의 「황성신문(皇城新聞)」
4) 저항지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5. 정론지의 생성과 소멸
제3장 신문에 나타난 강점기시대의 문화정치(1920~1940)
1. 문화정치의 시대적 상황
2. 문화정치의 산물인 일간신문의 출현
3. 강점기 언론의 도전
4. 강점기시대의 민족문화운동
5. 신문에 나타난 강점기시대의 민족문화운동
제4장 강점기시대의 사회구조와 사회주의 언론(1920~1945)
1. 언론을 통한 평등 사상의 추구
2. 본문의 구조, 방법 그리고 쟁점
3. 강점기시대 사회주의 형성과 신문 매체(기관지)
4. 사회주의 운동의 여론화·조직화
5. 팸플릿을 통한 일제하의 대항 언론
6. 문화적 가치 실현을 위한 언론
제5장 정론지(政論紙)와 ‘신문윤리강령’(1945~1961)
1. ‘신문윤리강령’과 ‘신문윤리실천요강’의 시대적 과제
2. 해방 후 정론지의 선명성
3. 미군정기의 좌파 정론지 소멸
4. 李승만 정부하의 정론지 소멸
5. ‘신문윤리강령’과 ‘신문윤리실천요강’
6.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서의 윤리강령
제6장 권력, 자본 그리고 언론 노조를 통한 한국 언론사의 이해(1960~1988) - 언론의 민주적 관료제
1. 언론의 민주화
2. 관리 문화의 형성
3. 의존적 관리기구
4. 관료제의 정립
5. 언론의 민주적 관료제
제7장 한국인의 현대사로서의 방송 70년(1927~1997)
1. 한국 방송의 실제
2. 라디오 방송 시대
1) 일제 강점기하의 라디오 매체
2) 해방 후 라디오 매체
3. 텔레비전 방송 시대
1) 흑백 TV 매체
2) 컬러 TV 매체
4. 한국인의 현대사로서의 방송 70년
제8장 6공화국에서의 언론 정체성(1987~2002)
1. 6공화국과 미디어 중심주의
2. 노태우 정부와 언론의 분화
3. 김영삼 정부와 다매체
4. 김대중 정부와 디지털 미디어
5. 미디어 팽창과 언론 정체성
제9장 노무현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2003~2012)
1. 노무현 참여정부
1) 인터넷 시대의 정부
2) 인터넷과 TV의 융합
3) 새로운 정치문화
4) 미완의 언론개혁
5) 과거사 정리와 미완의 개혁
2. 이명박 정부
1) 정책운용 원리
2) 언론정책 방향과 그 실천
3) MB 기호의 제국
4) 언론의 운용
5) 신문·방송 겸용 허용과 신문법 개정
6) 인권과 과거사 정리
제10장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과 문재인 정권(2013~2022)
1. 박근혜 정부의 개혁과 좌절
1) 정부의 개혁 구상
2) 개혁의 실천
3) ‘진지전’ 구축의 언론 활동
4) 세월호 사건으로 동력 상실
5) 개혁과 국민행복의 좌절
2. 문재인 정권의 언론과 북한
1) 언론을 앞세운 체제 개혁
2)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북한 추켜세우기
3) 언론을 통한 진지전 구축
4) 망가진 사회 체제 그리고 경제, 언론
5)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실패
6) 부정선거와 언론의 수난
제11장 윤석열 정부의 ‘반지성주의’(2022~)
1. 자유·인권·법치의 애매성
2. 살얼음판 정국에서 돌파구
3. 공영언론과 갈등심화
4. 5·18, 정율성 그리고 홍범도
5. 윤석열 정부의 ‘반지성주의’ 자리매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