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승과 연구

도서명:조선의 승과 연구
저자/출판사:정각/불광출판사
쪽수:432쪽
출판일:2024-05-31
ISBN:9791193454954
목차
추천사
저자의 말
I. 서언
II. 승록사(僧錄司)와 양종도회소(兩宗都會所)
1. 승관제(僧官制)와 승록사(僧錄司)
1) 삼국(三國)과 통일신라 대의 승관제(僧官制)
2) 고려시대의 승관제와 승록사(僧錄司)
2. 조선시대 승록사와 승록사 혁파
1) 조선시대 승록사와 그 역할
2) 종파(宗派) 통폐합과 승록사 혁파
3. 양종도회소(兩宗都會所)의 구성과 역할
1) 양종도회소의 구성
2) 양종도회소의 역할
Ⅲ. 조선 승과(僧科)의 양상과 전개
1. 조선의 승과(僧科), 선시(選試)
1) 선시(選試)의 형식
2) 선시와 등계(登階)
3) 승인호패법(僧人號牌法)과 선시의 폐지
2. 조선의 승과, 선시(選試) 혁파에 대한 고찰
1) 선시 혁파와 『대전속록』 「도승(度僧)」 조 폐기
2) 양종도회소 혁파와 『경국대전』 「도승」 조 삭제
3) 승인호패법, 또 다른 형태의 도첩제 실시
3. 명종(明宗) 대 선과(禪科) 복원에 대한 고찰
1) 양종(兩宗) 복립과 선과(禪科) 복원
2) 명종 대 선과(禪科)의 양상
4. 또다시 회복된 선과(禪科), 기형화된 모습
1) 기형화된 선과의 양상
2) 승군(僧軍)과 매골승 등 다수의 승직자 양산
3) 승단 등계(登階)의 변화
Ⅳ. 승과(僧科)의 주관자와 입격자
1. 선시(選試)와 선과(禪科)의 주관자
1) 선시(選試) 주관자
2) 복원된 선과(禪科)와 주관자
2. 선시(選試) 입격자
1) 선시(選試) 입격자의 한정
2) 태조~태종 대의 입격자
3) 세종~단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4) 세조~성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5) 연산군~인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3. 선과(禪科) 입격자
1) 명종 대에 활동한 선시, 선과 입격자
2) 선조 대 선과 입격자의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