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 관동대학살 생존자의 증언

도서명:1923 관동대학살 생존자의 증언
저자/출판사:****배/창조문예사
쪽수:328쪽
출판일:2023-08-15
ISBN:9791191797305
목차
시인의 말
1부_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100년 
관동대지진 일본 정부 
항일 저항시의 근간은 관동대학살이다 
제노사이드 당한 조선인 수 
임시정부 《독립신문》에 6,661명 게재 
희생자 구조와 조사 요원 
제노사이드 함구령과 언론 통제 
관동대학살 교과서 수록 문제 
일본 도항과 동경이재동포위문반과 유학생 위로회 
조선인 대학살과 자경단 
참혹한 제노사이드 
일본 한국 양국의 작가들 
시인 소월 김정식 
시인 파인 김동환 
나라시노수용소 
오충공 감독과 보화종루 
시인 지촌 김용제 
문학평론가 백철 
소설가 민촌 이기영 
소설가 백릉 채만식 
소설가 마명 정우홍 
자경단 재판 
관동대지진과 망우역사문화공원 
시인 월파 김상용 
한국인 제노사이드 자료 
계엄령과 유언비어 언론 통제 
2부_ 관동대지진 조선인 제노사이드 100년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1923년 9월 1일~10월 9일 진판옥 일기 
1923년 9월 2일 자경단과 학살령 
1923년 9월 3일 신문 기사와 윤치호 일기 
1923년 9월 5일 백작 송병준 신문 광고 
1923년 9월 7일 초대 주불공사 한승인 
1923년 9월 8일·9일 일본 진재 영화 상영 
1923년 9월 10일·11일 의연금 모집과 부산 부두 귀국동포 
1923년 9월 10일·11일 아사카와 다쿠미[浅川巧] 일기
동강 하정웅 청리은하숙과 사진작가 후지모토 다쿠미 
1923년 9월 12일 총독부 출장소 개시와 부****진재 의연 분배 
1923년 9월 13일 황세자 전하와 자금시장 및 시중 쌀값 
1923년 9월 14일·15일 비행사 안창남과 이주만 군 
1923년 9월 16일 유언비어와 장형두와 진재 사진 4보 도착 
1923년 9월 17일 조선인 폭동의 허설 
1923년 9월 18일 인천 재적인 소식과 윤치호 일기 
1923년 9월 19일 고학후 군과 민속학자 송석하 
1923년 9월 20일 정평군청 처지 부당과 각 지역 소식 
1923년 9월 21일 진재 의연금과 구제회 조직과 선천의 이영찬과 이영학 형제
3부_ 진재지방재유동포의 안부 조사 및 조선총독부 출장소가 조사한 동포 소개
1923년 9월 22일 진재지방재유동포의 제일회 안부 조사 도착, 
 조선총독부 출장소 제일회로 조사한 동포 소개
1923년 9월 23일 동경진재 지방생존동포 제일보 
1923년 9월 23일 공초 오상순(吳想殉) 
1923년 9월 24일 동아일보 특파원 제이회 안부 조사, 총독부 제일회 조사 동시 도착
1923년 9월 25일 상애회 박춘금 
1923년 9월 26일 시인 신석정 집****
 소설가 정우홍 이익상 신석상 가수 신형원
1923년 9월 26일 총독부 제이회 안부 조사 도착 
1923년 9월 27일·28일 안창남 고한용 홍사익 정인영 자살 
1923년 9월 29일 무정부주의자 독립운동가 김중한
1923년 9월 30일 동아일보 특파원 이상협 나라시노수용소 방문기 
1923년 10월 1일 본사 특파원의 제4회 안부 조사 도착 
1923년 10월 2일·3일 유언비어와 시인 이상화 
1923년 10월 4일 김동환 안창남 
1923년 10월 5일 안창남 오누이 만남 
1923년 10월 6일 동요 반달 윤극영 
1923년 10월 7일 정신병 환자와 젊은 아내 자살 
1923년 10월 8일 소설가 이익상과 임영신 
1923년 10월 10일 조선총독부 출장소 조사 제13보 
1923년 10월 11일 유학생 전학 배분 
1923년 10월 13일 진재 중에 참사한 동포 
1923년 10월 14일·15일 군마현 자경단과 기특한 일본 부인 
1923년 10월 17일 유언비어의 출처가 판명 
1923년 10월 18일 군마의 학살범 34명 검거 
1923년 10월 19일 임장 순사가 동정금 기부를 중지 
4부_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참상 뒤 
1923년 10월 20일 조선인 학살 사건 신문 보도 통제 ‘일부 해금’ 
1923년 10월 25일·26일 이상화의 시 「독백」 
시인 설정식 시 「진혼곡」 
1923년 10월 27일~11월 3일 진재 조난 환영회 
1923년 11월 4일 신시 「명월야」 박팔양 
1923년 11월 5일 경부보를 불공대천지수 
1923년 11월 8일 7,061 동포 부산 상륙 
1923년 11월 10일 진재 후 귀환수 2만 8천여 인 
1923년 11월 12일 류종열과 류겸자 음악회 
1923년 11월 17일 중국 상해 〈추도가〉 
1923년 11월 28일 순창 동포 15인 추도식 
1923년 12월 5일 독립신문 김승학 추도문 추도가 
1923년 12월 9일·10일 참사동포 추도식 전민철 
1924년 9월 3일 인천노동총동맹 추도회 조봉암 
시인 영랑 김윤식 
시인 용아 박용철 
영문학자 이하윤 
극작가 유치진 
수필가 이양하 
수필가 삼오당 김소운 
소설가 한설야 
평론가 김문집 
불문학자 손우성 
동요 〈반달〉 작곡가 윤극영 
동요 〈짝짜궁〉, 〈졸업식의 노래〉 작곡가 정순철 
《씨 의 소리》 발행인 민중운동가 함석헌 
영화인 나운규 〈아리랑〉 
최승만과 변희용 
독립운동가 백정기 서민호와 엿장수 구학영 화가 백남순
님 웨일즈 『아리랑』의 혁명가 장지락
재독한인회 이미륵 이극로 김준연
한성산부인과 의사 길정희
추도가 / 동경에서 B생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추모식과 특별법안
관동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희생자 추도식 축문을 대신하여 
관동대지진 제노사이드 당한 희생자 - 2009년 5월 8일 현재까지
지바현 현장 답사 안내 - 지바현 내의 학살 사건 일람 
1924년 4월 말 현재 주요 인물 및 경시청 편입 요시찰인물 
一年이 되어 온 震災통 - 日記와 그 때의 回想, HY生의 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