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기원
도서명:불교의 기원
저자/출판사:고빈드,찬드라,판데/민족사
쪽수:740쪽
출판일:2019-02-25
ISBN:9791189269197
목차
간행사 요약 … 3
일러두기 … 14
네 번째 개정판 서문 … 15
서문 … 20
역자의 말 … 24
제1부 초기불교의 근원 연구 … 27
제1장 불교의 경전과 연대기 … 29
경장(Sutta Pi?ka, 經藏) 29 / 논장(Abhidharma Pi?a, 論藏)과 다른 판본 29
율장(Vinaya Pi?a, 律藏)과 다른 판본 31 / 경전, 니까야의 연대 39
제2장 니까야의 시대구분: 문제와 방법 … 48
문제 48 / 율장에 담긴 이야기 49 / 경장에 대한 올덴베르그의 입장 50
경장에 대한 리스 데이비즈와 로우의 입장 50 / 경장과 다른 연구자들 54
시대구분 기준 58 / 형이상학적 목적과 형식의 경향 59 / 산문과 운문 84
제3장 『숫따니빠따』, 『이띠웃따까』, 『우다나』의 시대구분 … 87
『숫따니빠따(Sn.)』와 한역 아함 87 / 산문과 게송 88
오래된 「앗타까왁가(Atthakavagga)」와 「빠라야나왁가(Parayanavagga)」 89
『숫따니빠따』의 시대구분 92 / 주요 「앗타까왁가」 94
「앗타까왁가」의 나머지 97 / 「앗타까왁가」에 대한 결론 97
「빠라야나왁가」 97 / 「빠라야나왁가」에 대한 결론 99
『마하왁가(Mahavagga)』 100 / 『마하왁가』에 대한 결론 102 / 나머지 102
『이띠웃따까(Itivuttaka)』 107 / 의심의 여지 없이 진본인 4장(Nip?) 108
3장(章, nip?a) 110 / 1~2장(章, nip?) 111 / 결론 114
『우다나(Ud?a)』 114 / 결론 120
제4장 『디가니까야(D?ha Nik?a)』에서 초기와 후기 … 121
『장아함경(D?gh?ama)』과 『디가니까야』 121
『장아함경』과 『디가니까야』 경전의 순서 123
첫 번째 왁가(Vagga, 品) 126 / 경전의 초기 특징 128 / 경전의 두 부분 129
몇 가지 후기 특징 131 / 두 번째 왁가(Vagga, 品) 141 / 프르질루스키의 결론 146
경전 16에 대한 분석 149 / 이후 경전에 대한 분석 155
세 번째 왁가(Vagga, 品) 160 / 결론 165
제5장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a)』의 초기와 후기 … 167
『맛지마니까야』의 경전 분류와 순서 167 / 후대의 것으로 보이는 세 번째 빤나사 168
초기/후기/복합/불분명으로 경전 분류 169
⒜ 초기 170 / 다른 전기(傳記) 경전 두 가지 177
⒝ 후기 183 / ⒞ 복합 201 / ⒟ 불분명 218
제6장 『상윳따니까야(Sa?utta Nik?a)』의 초기와 후기 … 245
『잡아함(Sa?ukt?ama, 雜阿含)』과 『상윳따니까야』 245
「사가타왁가(Sag?ha vagga)」의 특징 246 / 「데와따상윳따(Devatasa?utta)」 247
「사가타왁가」의 나머지 부분 253 / 『상윳따니까야』의 나머지 왁가 262
「니다나상윳따(Nid?asa?utta) 266 / 「니다나왁가」의 다른 상윳따 276
「칸다왁가(Khandhavagga)」 279 / 「칸다왁가」의 나머지 상윳따 283
「살라야따나왁가(Sa??atanavagga)」 285 / 「살라야따나왁가」의 나머지 상윳따 293
「마하왁가(Mah?agga)」 297
제7장 『앙굿따라니까야(A?uttara Nik?a)』의 초기와 후기 … 306
『증일아함』과 『앙굿따라니까야』 306 / 진본인지 의심스러운 열한 번째 니빠따 307
여섯 번째 니빠따 이후를 구성하는 새로운 동향 307
‘유명무실한’ 일부 그룹 생략 308 / 『증일아함』에서 ‘생략’과 숫자로 나타낸 체계 310
『앙굿따라니까야』의 시대층을 구분하는 어려움 310 / 특별한 종류의 일부 경전 310
『앙굿따라니까야』 일부 경전의 시대층에 대한 고찰 311 / 결론 325
제2부 불교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연구 … 327
제8장 베다의 배경 연구 … 329
베다 문명 이전 시대의 중요성 329 / 베다 시대의 무니와 슈라마나 336
베다 사회의 진화 340 / 신과 인간 344 / 추상적 [개념의] 신(神) 증가 349
유일신교와 범신론 경향 350 / 종말론 352 / 의례와 그 발달 353
희생제의 특성 353 / 희생제의 종류 354 / 희생제의 철학 357
윤리와 삶의 가치 358 / 신들 사이의 변화 359 / 상징주의: 비디야, 우빠사나 360
브라흐마나: 종말론과 윤회론의 기원 361 / 우파니샤드 사상 366
카르만 교리와 제사장의 세계: 도덕적 변혁 367
즈냐나(J??a, 智)와 카르만(Karman, 業) 368 / 카르만과 신 369
불멸 370 / 자기 지식[앎]의 증가 371 / 브라흐만(Brahman) 377
최고선(最高善) 379 / 위짜라(Vic?a, 伺) 381 / 요가(Yoga) 382
요가의 기원 384 / 상키야의 기원 386 / 최종 견해 391
제9장 붓다 시대의 종교적 조건 … 392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392 / 붓다 시대의 사회적 변화 393
브라흐마나와 그 종교 397 / 대중적인 종교 399 / 금욕주의의 발생 403
[불교 이전이 아닌] 네 가지 아슈라마 이론 404
‘네 번째 아슈라마’를 강력히 반대하던 브라흐마나 407
『다르마 수트라』의 네 가지 아슈라마 최초 형태 408
베다 울타리에 금욕주의 등장 409
기원전 6세기 금욕적이고 지적(知的)인 운동의 기원 410
브라흐마나와 비(非)브라흐마나의 금욕주의 411
은둔 수행자와 탁발 수행자 412 / 거주지 420
우안거(雨安居)와 우포사타(布薩) 420 / 지적(知的) 동요 421
시간의 철학 421 / 스바바와바다 422 / 니야티바다 423 / 야드르차바다 423
사상적 동요의 원인: 추정 424 / 아크리야바다 425 / 막칼리 고살라 426
상사라위숫디 426 / 아지바카의 도덕성 429 / 아크리야바다의 또 다른 다양성 431
상키야 또는 바이셰시카 433 / 까싸빠, 깟짜야나와 사상적 동요 433
‘회피론자’ 아닌 불가지론 434 / 유물론(唯物論) 435
「브라흐마잘라 숫따」 436 / 니간타(자이나교) 437 / 초기 자이나교 신앙의 개요 440
깜마 이론 444 / 가티(Gati, 運命) 449 / 마하비라의 금욕주의 451
결론 452 / 후대에 발달된 일부에 대한 기록 453
제10장 붓다의 생애 … 455
출처 455 / 관점 456 / 출생 457 / 사끼야 457
가족 459 / 어린 시절 459
『아비니슈크라마나(Abhini?rama?, 佛本{行集經)』 460
고귀한 탐구 (Ariyapariyesan?) 464 / 빠다나(Padh?a, 努力) 465
깨달음 466 / 마라와의 논쟁 407 / 붓다의 첫 번째 설법 469
삼보디 이후의 사건들 470 / 브라흐마의 간청 470
바나라스에서 472 / 위나야의 이야기 472 / 붓다의 교리 전파 473
다른 집단 476 / 불교와 다양한 사회 계급 478
붓다의 성격 479 / 삶과 가르침 481
제3부 초기불교 교리 연구 … 483
제11장 괴로움과 그 기원 … 485
아리야삿짜니(Ariyasacc?i, 고귀한 진리) 485 / 의학과의 관련성 486
아비다르마에 따른 내용 487 / 둑카(苦), 붓다의 가르침에서의 위치 488
리스 데이비즈 여사의 회의론 489 / 근거가 충분치 않음 489
니까야에서의 둑카 490 / 둑카의 본질 491 / 둑카의 기원 494
연기(Pa?ccasamupp?a)의 해석 495 / 연기의 진위 501
연기의 두 가지 측면 501 / 연기의 일반적 원리: 그 발견과 의의 502
연기의 신비로운 면 504 / 유한한 독립존재를 부정하는 연기 505
중도(中道)로서의 연기 508 / 연기와 흐름 513
연기와 브라흐마노우파니샤드의 배경 514 / 붓다의 독창성 515
연기에 대한 개념의 발달 516 / 연기: 응용 형식 518
깜마(業)와 둑카 518/ 기능적이며 비실재적인 깜마 520
대중적인 깜마 이론 형태 522 / 상사라(Sa??a, 輪廻)의 유래 522
연기, 정형구 증가 523 / 세 가지 단계 524 / 빳짜야(緣): 관계의 의미 526
다양한 니다나(因緣) 527 / 12 니다나에 대한 결론 531
제12장 니르바나(Nirv??, 涅槃) … 534
니르바나에 관한 논란과 역사적 관점 534 / 니르바나에 대한 해석 ─ (Ⅰ) 고대 535
불교의 니르바나 개념: ‘산따(Santa, 寂靜)’와 ‘아삼스크르타’ 543
니르바나에 대한 해석 ─ (Ⅱ) 현대 544 / 결론 549
소빠디와 니루빠디 549 / 붓다와 아라한 550 / 보디(Bodhi, 覺) 551
윗자 552 / 위뭇띠(Vimutti, 解脫) 552 / 삼보디와 직관적 앎 553
빤냐 554 / 연기와 삼보디 556 / 삼보디 557
니르바나와 경험 558 / 담마와 그 중요성 문제 559
담마에 대한 해석 559 / 담마의 두 가지 의미 564 / 삼보디와 담마 566
닙바나와 연기 566 / 닙바나의 본성: 초월적 실재로서의 닙바나 567
연기와 닙바나의 관계에 대한 바루아의 견해 570
닙바나와 상사라 571 / 목표로서의 닙바나 572 / 정적(靜寂)의 본성 573
해방(해탈) 575 / 앗따(Atta, 自我) 문제 576 / 현대적 해석 577
마디야미카(M?hyamika, 中觀派) 관점 579 / 니까야 자료의 역사적 분석 580
뿌리사 585 / 뿌리사뿍갈라와 뿍갈라 586 / 뿍갈라와다 587
뿍갈라와다의 기원 589 / 윤회의 주체로서 윈냐나 590
초월적 개념으로서 윈냐나와 실증적 개념으로서 윈냐나의 양 측면 591
니까야에서 윈냐나 개념의 세 단계 593 / 칸다 이론의 늦음 594
안앗따 이론 596 / 붓다의 침묵 603 / 결론 607
제13장 니르바나(Nirv??, 涅槃)에 이르는 길 … 609
길(道)과 진리 609 / 불교의 길(道)과 우파니샤드 610
실라, 사마디, 프라즈냐 612 / 길(道)이 아닌 것 613 / 앗탕기꼬 막고 615
믿음(信) 621 / ‘마음챙김’ 624 / 이띠빠다 627 / 보디빡키야 담마: 결론 628
윤리적 문화 629 / 연민(慈悲) 630 / 브라흐마위하라(Brahmavih?a, 梵住) 630
집중과 명상 632 / 고대 불교에서 선정(禪定)의 중요성 632
선정의 목적 634 / 네 가지 선정 636 / 선정의 특징 639
자나(禪定), 아루빠(無色界), 니르바나 640 /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 642
정신적 성장[聖人]의 단계 644
제14장 선행 종교와 경쟁관계에서 초기불교 … 646
불교와 자이나교 646 / 불교와 상키야(S??ya, 數論) 653
불교와 요가 658 / 불교와 베다 전통 661 / 결론 663
제15장 니까야 이후 불교의 발전 동향 … 665
분열의 기원 665 / 규율의 상태 667 / 교리에 대해 668
부파 668 / 주요 문제 673 / 발달 계보 674
부록 1 초기 자이나 자료 _ 677
2 빠알리의 발상지에 대해 _ 685
3 마이트라야니야 우파니샤드 _ 687
·약어 및 참고문헌 … 690
·찾아보기 … 708
·증보 … 729
·간행사 전문 … 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