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에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도서명:과학자에게 이의를 제기합니다
저자/출판사:도다야마,가즈히사/플루토
쪽수:284쪽
출판일:2019-12-24
ISBN:9791188569144
목차
해제 | 의심과 질문은 시민의 의무, 과학적 사고는 시민의 도구
들어가기
1부 과학은 잘 모르지만 과학을 이야기할 수 있다
1장 창조론자의 과학은 진짜 과학일까? 이론과 사실
과학이 말하는 언어와 과학을 말하는 언어 | 크리에이셔니스트 스티커 | 지적설계론의 전략 | 진화학자의 응답 | 99.9퍼센트는 가설 | 흑과 백이 아니라 회색으로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1
2장 프톨레마이오스와 뉴턴, 누구의 하늘이 실제일까? 더 좋은 이론과 가설
진리에 가까우면 좋은 이론일까 |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과 뉴턴의 물리학 | 뉴턴 역학이 더 좋은 가설인 이유 | 더 좋은 가설과 이론을 판단하는 세 가지 기준 |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는 이론 | 판구조론의 승리 |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 | 판구조론은 왜 좋은 이론일까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2
3장 운석과 공룡을 연결하면 어떤 이야기가 될까? 설명한다는 것
설명하기의 첫 번째 패턴: 원인을 규명하기 | 설명하기의 두 번째 패턴: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 도출하기 | 설명하기의 세 번째 패턴: 정체를 규명하기 | 세 가지 설명하기 패턴의 공통점 | 과학 이념, 환원주의와 통일 | 초심리학은 왜 과학이 될 수 없을까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3
4장 해왕성은 맞고, 수성은 틀리다 이론과 가설 만들기
생명의 발생을 둘러싼 어떤 설명들 | 비연역적 추론법 네 가지 | 귀납법, 투사, 유추, 귀추의 특징 | 비연역적 추론이 왜 필요할까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4 | 연역적 추론에 대하여 | 연역적 추론은 왜 필요할까 | 두 추론법을 합체하면 엄청난 힘이 생긴다! | 공룡 멸종의 원인을 추론해보자 | 가설을 확인할 때 주의해야 할 점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5
5장 틀린 과학과 유사과학은 다르다 검증과 반증
내 머릿속 규칙을 맞춰보세요 | 검증조건과 반증조건 | 네 장의 카드 문제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6 | 어디에 갖다놔도 다 맞는 이야기 | 모호한 표현으로 반증을 허락하지 않는 이야기 | 모호함을 없애주는 ‘조작적 정의’ |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심령주의 열풍 | 초심리학에서 이용하는 실험자 효과 | 틀린 과학과 유사과학은 다르다 | 반증 예가 나타났다! 지킬 것인가, 버릴 것인가! | 반증 예가 나타나도 바로 포기하지 않는다 | 보조가설도 중요하다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7
6장 비교 없는 99.9퍼센트는 위험하다 실험과 해석
보리 단지에서 저절로 생겨난 쥐 | 헐거운 마개와 자연발생설 | 거위목 플라스크가 찍은 종지부 |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정말 어려운 이유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8 | 어려울 때는 사분할표적 사고를 | 중요한 것은 상관관계 | 뇌과학의 위험성 | 두 종류의 오차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9 | 상관관계를 따질 때 주의할 점-샘플링 오류 | 상관관계를 따질 때 주의할 점-덮어놓고 인과관계로 가지 않는다 | 상관관계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할 때-사례 1 | 상관관계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할 때-사례 2 | 허상의 상관관계 |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10
2부 과학자가 아니어도 쓸데 있는 과학 리터러시
7장 과학자도 아닌데 왜 과학 리터러시를 알아야 할까? 질문할 수 있다
과학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첫 번째 : 과학 자체가 인류의 희소자원 | 과학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두 번째 : 트랜스-사이언스적 문제 | 과학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세 번째 : 과학과 기술 자체가 문제 | 비전문가도 공범이다 | 자, 그럼 왜 과학 리터러시를 익혀야 할까 |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는 지식의 양에 있지 않다 | 과학 리터러시를 어떻게 활용하지? | 시민의 힘을 보여준 컨센서스 회의라는 실험 | 누가 의제를 설정하는가
8장 피폭 위험성은 얼마나 되는걸까? 판단할 수 있다
과학 정보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1 |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100밀리시버트의 의미 | 베크렐과 시버트는 어떤 단위인가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2 | ‘알기 쉬운 것’의 함정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3 | 선량한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4 | 선형 역치 없는 모델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5 | 선형 역치 없는 모델을 어떻게 해석하고 전달할까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6 | 피폭 리스크를 둘러싼 두 조직의 입장 차이 | 리스크 평가의 정답은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다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7 | 냉정한 평가를 방해하는 선입견 극복하기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8| 안전과 안심의 차이 | 안심은 마음의 문제가 아니다 | 원자력발전에서 안전과 안심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9 | 리스크 논쟁은 무엇에 뿌리를 두고 있는가 | 질문할 수 있는 시민의 과학 리터러시 10
9장 도대체 시민이란 누구지?
의미 없는 ‘원전 문화인’ 몰아가기 | 이제 설득은 중요하지 않다 | 온정주의에서 벗어나는 사람들 | 여기에 시민이 있다!
나오기
과학을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한 연습문제 해설
더 알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