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위진남북조우언
도서명:중국위진남북조우언
저자/출판사:최봉원/명문당
쪽수:346쪽
출판일:2017-07-05
ISBN:9791188020195
목차
●서문
●일러두기
《소림(笑林)》 우언
001 절간입성(截竿入城) // 장대를 잘라 성(城)에 들어가다
002 교주고슬(膠柱鼓瑟) //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여 놓고 비파를 타다
003 수엽은신(樹葉隱身) // 나뭇잎으로 몸을 숨기다
004 인운역운(人云亦云) // 남이 말하는 대로 따라 말하다
005 연자초주(?者抄奏) // 보좌관이 상주문(上奏文)을 베끼다
006 명문인찬화(命門人鑽火) // 하인에게 나무 막대를 문질러 불을 피우라고 명하다
007 장란장사(腸爛將死) // 창자가 문드러져 죽으려 하다
008 한세노인(漢世老人) // 한(漢)나라 때의 어느 노인
009 한인자책(漢人煮?) // 한중(漢中) 사람이 대자리를 삶다
010 의치타배(醫治駝背) // 꼽추를 치료하다
011 모갑명곡(某甲命曲) // 갑(甲)이라는 사람이 곡목(曲目)을 지정하여 연주하게 하다
012 염부족(鹽不足) // 소금이 부족하다
013 함육저구(銜肉著口) // 고기를 입에 물다
014 갑견읍재(甲見邑宰) // 갑(甲)이 현령(懸令)을 알현하다
015 답상설비(踏床?鼻) // 침대를 밟고 올라서서 코를 물다
《열이전(列異傳)》 우언
016 종정백매귀(宗定伯賣鬼) // 종정백(宗定伯)이 도깨비를 팔다
《만기론(萬機論)》 우언
017 이인평왕(二人評王) // 두 사람이 왕(王)을 평하다
《완적집(阮籍集)》 우언
018 슬처곤중(?處?中) // 바지 속에 사는 이
019 홍곡상수비(鴻鵠相隨飛) // 백조가 무리를 지어 날다
《삼국지(三國志)》 우언
020 대선칭상(大船稱象) // 큰 배로 코끼리의 무게를 달다
021 여어득수(如魚得水) // 마치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하다
022 서시단안(鼠矢斷案) // 쥐똥을 보고 사건을 판단하다
《서경잡기(西京雜記)》 우언
023 착벽투광(鑿壁偸光) // 벽을 뚫어 불빛을 훔치다
《수신기(搜神記)》 우언
024 초산노군(焦山老君) // 초산(焦山)의 태상노군(太上老君)
025 상중생리(桑中生李) // 뽕나무에서 자두나무가 자라다
026 초미금(焦尾琴) // 꼬리가 그을린 거문고
027 이기참사(李寄斬蛇) // 이기(李寄)가 뱀을 베어 죽이다
028 현학헌주(玄鶴獻珠) // 현학(玄鶴)이 구슬을 바치다
《부자(?子)》 우언
029 여호모피(與狐謀皮) // 여우의 가죽을 벗기려고 여우와 상의하다
030 화도매마(?圖買馬) // 말을 그려 가지고 그림과 똑같은 말을 사려 하다
031 금시조지사(金翅鳥之死) // 금시조(金翅鳥)의 죽음
032 군슬상살(群蝨相殺) // 여러 마리의 이가 서로 물어 죽이다
033 오여마의(鼇與?蟻) // 큰 자라와 개미
034 정인도서(鄭人逃暑) // 정(鄭)나라 사람이 더위를 피하다
035 만금지환(萬金之患) // 만금(萬金)의 재앙
《수신후기(搜神後記)》 우언
036 정령위학도(丁令威學道) // 정령위(丁令威)가 도술(道術)을 배우다
037 음조수회(陰曹受賄) // 저승사자가 뇌물을 받다
《이원(異苑)》 우언
038 앵무구화(鸚鵡救火) // 앵무새가 불을 끄다
039 산계무경(山?舞鏡) // 꿩이 거울을 보며 춤을 추다
《후한서(後漢書)》 우언
040 사은여공법(私恩與公法) // 사사로운 은혜와 국가의 법령
041 양속현어(羊續懸魚) / 양속(羊續)이 생선을 걸어 두다
042 요동백두저(遼東白頭猪) // 요동(遼東)의 흰머리 돼지
043 양상군자(梁上君子) // 들보 위에 있는 군자(君子)
044 타증불고(墮甑不顧) // 시루를 떨어뜨리고 돌아보지 않다
045 대미필기(大未必奇) // 성인이 되어서도 반드시 출중한 것은 아니다
046 상당연이(想當然耳) //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다
047 악양자처(樂羊子妻) // 악양자(樂羊子)의 아내
《유명록(幽明錄)》 우언
048 엽응(獵鷹) // 사냥매
049 초호묘축(焦湖廟祝) // 초호묘(焦湖廟)의 향촉(香燭) 관리인
《세설신어(世說新語)》 우언
050 관녕할석(管寧割席) // 관녕(管寧)이 자리를 절단하다
051 급불상기(急不相棄) // 위급한 상황에 처해서도 버리지 않다
052 지공호학(支公好鶴) // 지공(支公)이 학(鶴)을 좋아하다
053 위개문몽(衛?問夢) // 위개(衛?)가 꿈에 대해 묻다
054 칠보작시(七步作詩) // 일곱 걸음을 걷는 동****시를 짓다
055 도방고리(道旁苦李) // 길가에 있는 쓴맛의 자두
056 상두착도인(牀頭捉刀人) // 평상(平床) 옆에 칼을 잡고 서있는 사람
057 효악출유(效岳出遊) // 반악(潘岳)을 흉내 내어 놀러 나가다
058 주처입지(周處立志) // 주처(周處)가 뜻을 세우다
059 망매지갈(望梅止渴) // 매실을 기대하여 갈증을 멎게 하다
060 왕람전성급(王藍田性急) // 왕람전(王藍田)의 급한 성격
《송서(宋書)》 우언
061 기가지벽(嗜痂之癖) // 부스럼 딱지를 좋아하는 괴이한 버릇
062 광천(狂泉) // 마시면 미치는 샘물
《홍명집(弘明集)》 우언
063 문린(問麟) // 기린(麒麟)에 대해 묻다
064 대우탄금(對牛彈琴) //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타다
《속제해기(續齊諧記)》 우언
065 자형수(紫荊樹) // 박태기나무
《은운소설(殷芸小說)》 우언
066 미상견려(未嘗見驢) // 당나귀를 본 적이 없다
067 희무옹파(喜舞瓮破) // 좋아서 춤을 추다가 독을 깨뜨리다
068 욕겸삼자(欲兼三者) // 세 가지를 모두 겸하려 하다
《고승전(高僧傳)》 우언
069 세약미진(細若微塵) // 가늘기가 마치 미세한 먼지와 같다
《금루자(金樓子)》 우언
070 환공위문(桓公?蚊) // 환공(桓公)이 모기를 먹이다
071 가월구익(假越救溺) // 월(越)나라 사람을 청하여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 하다
072 헌향옹부(獻香?婦) // 코가 막힌 아내에게 향료를 바치다
073 부자걸양(富者乞羊) // 부자가 양을 구걸하다
《위서(魏書)》 우언
074 절전교자(折箭敎子) // 화살을 꺾어 자식을 가르치다
《유자(劉子)》 우언
075 혁추패혁(?秋敗?) // 혁추(?秋)가 바둑을 지다
076 예수실산(隸首失算) // 예수(隸首)가 셈을 틀리다
077 잠정(岑鼎) // 잠정(岑鼎)
078 관비견우(貫鼻牽牛) // 소의 코를 꿰어 끌다
079 공수각봉(公輸刻鳳) // 공수반(公輸盤)이 봉황을 조각하다
080 민시식우(民始識禹) // 백성들이 비로소 우(禹)의 현명함을 알다
081 환공지사(桓公知士) // 환공(桓公)이 인재(人才)를 알아보다
082 촉후영금우(蜀侯迎金牛) // 촉(蜀)나라 군주가 황금소를 맞이하다
083 이인평옥(二人評玉) // 두 사람이 옥을 평가하다
《안씨가훈(顔氏家訓)》 우언
084 박사매려(博士買驢) // 박사(博士)가 당나귀를 사다
085 파두효자(巴豆孝子) // 파두효자(巴豆孝子)
086 시시(試詩) // 작시(作詩)를 시험하다
《녹이전(錄異傳)》 우언
087 무두역가(無頭亦佳) // 머리가 없는 것도 좋다
《계안록(啓顔錄)》 우언
088 치인옹모(癡人甕帽) // 천치의 옹기 모자
089 거번두복(車?豆覆) // 수레가 뒤집혀 콩이 쏟아지다
090 납선여요로(拉船與搖櫓) // 배를 끄는 일과 노를 젓는 일
091 둔추이추(鈍槌利錐) // 무딘 망치와 날카로운 송곳
092 괴자현지(槐子懸枝) // 홰나무 씨를 가지에 걸다
093 호여****(虎與刺蝟) // 호랑이와 고슴도치
[부록]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우언에 관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