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및 운영관리
도서명:생산 및 운영관리
저자/출판사:문일경 , 김병수 , 김훈태 , 서용원 , 이철웅 ,/생능
쪽수:616쪽
출판일:2024-11-18
ISBN:9791186689578
목차
PART Ⅰ 생산 및 운영관리란?
CHAPTER 1 생산 및 운영관리의 개념
1.1 서론 24
1.2 기업 운영과 생산관리 25
1.3 제품과 서비스 27
1.4 생산관리와 의사결정 29
1.4.1 의사결정 단계 29
1.4.2 의사결정 고려사항 31
1.4.3 의사결정 모형 34
1.5. 생산 및 운영관리의 발전 과정 35
1.5.1 1차 산업 혁명의 영향 36
1.5.2 과학적 관리법의 영향 36
1.5.3 2차 세계 대전의 영향 38
1.5.4 컴퓨터 기술 발전의 영향 39
1.5.5 일본 경제 성장의 영향 39
1.5.6 최근 동향 40
1.6 이 책의 구성 42
1.7 요약 46
■ 연습문제 47
CHAPTER 2 생산 전략
2.1 서론 50
2.2 전략적 경영 51
2.2.1 미션과 비전 52
2.2.2 목표와 목적 52
2.2.3 전략 53
2.3 생산 전략 56
2.3.1 비용 기반의 전략 57
2.3.2 품질 기반의 전략 58
2.3.3 시간 기반의 전략 58
2.3.4 유연성 기반의 전략 59
2.3.5 경쟁 우선순위의 선택 60
2.4 생산성 60
2.4.1 생산성의 개념 61
2.4.2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65
2.4.3 생산성의 의미 65
2.4.4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68
2.5 요약 70
■ 연습문제 72
PART Ⅱ 운영 시스템 분석 및 설계: 시장을 고려한 자원 계획
CHAPTER 3 제품 설계 및 개발
3.1 서론 78
3.2 제품 설계 및 개발 79
3.2.1 제품 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 80
3.2.2 제품 설계의 중요성 81
3.3 설계의 과정 83
3.3.1 제품 설계 프로세스 83
3.3.2 동시공학 85
3.3.3 컴퓨터지원 설계 86
3.4 제품 설계 기법 86
3.4.1 제조고려 설계 87
3.4.2 가치공학 88
3.4.3 표준화와 모듈화 89
3.4.4 차별화 지연 90
3.4.5 신뢰성 92
3.4.6 강건설계 93
3.4.7 품질기능전개 95
3.4.8 카노모델 96
3.4.9 서비스 블루프린트 98
3.5 요약 100
■ 연습문제 101
CHAPTER 4 프로세스 분석
4.1 서론 107
4.2 프로세스 분석의 목적과 접근방법 108
4.3 프로세스 문서화 111
4.3.1 공정도 111
4.3.2 서비스 블루프린트 114
4.3.3 비즈니스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115
4.4 작업시간의 결정 117
4.4.1 실적자료법 117
4.4.2 시간연구 방법 118
4.4.3 표준자료법 119
4.4.4 사전결정 시간표준 방법 120
4.4.5 워크샘플링 방법 120
4.5 기업의 프로세스 유형 121
4.5.1 프로젝트 프로세스 121
4.5.2 개별작업 프로세스 122
4.5.3 배치 프로세스 122
4.5.4 라인 프로세스 123
4.5.5 연속 흐름 프로세스 124
4.6 라인 프로세스의 분석 사례 124
4.6.1 공정도의 적용 사례 124
4.6.2 조립 라인의 작업장 재설계 사례 125
4.7 요약 129
■ 연습문제 131
CHAPTER 5 프로세스 변동성
5.1 서론 137
5.2 변동성과 프로세스 138
5.2.1 변동성의 원인과 측정 방법 138
5.2.2 도착 프로세스 140
5.2.3 고정적 도착 140
5.2.4 지수 분포 기반의 도착 간격 141
5.2.5 콜센터의 문제점 143
5.2.6 서비스 시간의 변동성과 평균대기시간의 예측 144
5.2.7 직원 수에 대한 계획 146
5.2.8 우선순위 규칙 147
5.2.9 변동성의 감소 148
5.2.10 풀링 효과 149
5.2.11 Excel 실습예제 151
5.3 변동성의 영향 152
5.3.1 평균값의 함정 152
5.3.2 단일 자원 대기행렬의 산출 손실 153
5.3.3 대기 포기 고객 산출 손실 154
5.3.4 복합적인 변동성 관리 155
5.4 요약 157
■ 연습문제 158
CHAPTER 6 입지선택
6.1 서론 168
6.2 입지선택의 영향요인 169
6.2.1 제조업의 주요 입지요인 170
6.2.2 서비스업의 주요 입지요인 171
6.3 입지선택의 정량적 방법: 단일시설의 입지선택 172
6.3.1 단일시설의 입지선택을 위한 다수입지의 비교 173
6.3.2 부하-거리 방법의 적용 174
6.3.3 손익분기점(break-even) 분석의 활용 177
6.4 입지선택의 정량적 방법: 복수시설의 입지선택 기법 180
6.4.1. 입지선택의 정량적 방법: 복수시설의 입지선택 기법 1 180
6.4.2 입지선택의 정량적 방법: 복수시설의 입지선택 기법 2 182
6.5 입지선택 분석기법들의 분류 185
6.6 요약 186
■ 연습문제 190
CHAPTER 7 용량계획
7.1 서론 196
7.2 용량의 개요 196
7.2.1 용량의 개념과 중요성 196
7.2.2 용량의 구분 197
7.2.3 용량의 측정 198
7.2.4 용량과 규모의 경제 199
7.3 용량과 흐름률 202
7.3.1 흐름률의 정의 202
7.3.2 병목과 용량 203
7.3.3 흐름 제약 203
7.3.4 활용률 205
7.4 여유용량과 용량 증설 전략 206
7.4.1 여유용량의 개념 206
7.4.2 용량 증설 전략의 유형 207
7.5 요약 211
■ 연습문제 215
PART Ⅲ 운영 계획 및 통제: 변화에 대응한 계획 수립
CHAPTER 8 수요예측
8.1 서론 224
8.2 예측의 공통적 특징 224
8.3 수요예측시스템 225
8.3.1 문제의 명시 225
8.3.2 문제의 이해 226
8.3.3 모형의 개발 229
8.3.4 모형의 해결 230
8.3.5 해의 해석 및 실행 231
8.4 수요예측기법 232
8.4.1 정성적 예측기법(qualitative forecasting method) 233
8.4.2 정량적 예측기법(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 235
8.5 수요예측의 정확도 253
8.6 수요예측의 모니터링 255
8.7 수요예측기법의 선정 및 활용 259
8.8 요약 260
■ 연습문제 264
CHAPTER 9 총괄생산계획
9.1 서론 271
9.2 생산계획의 구성 272
9.3 총괄생산계획 수립의 고려사항 274
9.3.1 수요와 공급의 관계 274
9.3.2 총괄 276
9.3.3 주문 관리 277
9.3.4 주요 입력 자료 277
9.3.5 제약 조건과 비용 요소 278
9.3.6 총괄생산계획의 목적과 결정 사항 279
9.4 총괄생산계획의 전략 279
9.4.1 수요 추종 전략 280
9.4.2 평준화 전략 282
9.4.3 혼합 전략 283
9.4.4 외주 전략 285
9.4.5 총괄생산계획 전략의 비교 286
9.5 총괄생산계획의 수립 기법 287
9.5.1 대****평가법 288
9.5.2 선형계획법 295
9.6 요약 299
■ 연습문제 303
CHAPTER 10 일정계획
10.1 서론 310
10.2 일정계획 기본 용어 및 기호 정의 311
10.2.1 작업 312
10.2.2 자원 312
10.2.3 척도 313
10.2.4 간트 차트(Gantt chart) 315
10.3 부하할당기법 및 작업순서결정 319
10.3.1 부하 할당 319
10.3.2 작업순서 결정 324
10.4 단일기계 및 흐름 생산시스템 일정계획 휴리스틱 331
10.4.1 단일기계 일정계획 휴리스틱 알고리즘 331
10.4.2 두 개의 흐름공정에 대한 작업순서 결정 333
10.5 요약 336
■ 연습문제 338
CHAPTER 11 프로젝트 관리
11.1 서론 345
11.2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 347
11.2.1 프로젝트 수명 주기(project life cycle) 347
11.2.2 프로젝트 관리의 범위 348
11.2.3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 350
11.3 프로젝트 정의 351
11.3.1 프로젝트 범위 정의 351
11.3.2 작업 분류 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352
11.4 프로젝트 시간과 비용 추정 354
11.4.1 시간, 비용, 자원의 추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354
11.4.2 하향식 추정 vs 상향식 추정 356
11.4.3 프로젝트 시간과 비용 추정 방법 357
11.4.4 추정치의 개선 365
11.5 프로젝트 계획 수립 367
11.5.1 바 차트(Bar Chart) 367
11.5.2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369
11.5.3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및 구축 369
11.5.4 AOA와 AON 기법의 장단점 373
11.5.5 주경로법(Critical Path Method: CPM) 373
11.5.6 CPM에서의 시간-비용 분석 379
11.5.7 프로그램 평가 및 검토 기법(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384
11.6 요약 388
■ 연습문제 389
PART Ⅳ 재고관리: 수요를 맞추는 공급
CHAPTER 12 자재소요계획법
12.1 서론 397
12.2 자재소요계획의 개요 398
12.3 자재소요계획의 입력 자료 400
12.3.1 기준생산계획 401
12.3.2 자재명세서 405
12.3.3 재고 기록 407
12.4 MRP 전개 410
12.4.1 품목별 MRP 전개 410
12.4.2 품목의 MRP 전개 순서 415
12.5 MRP의 운영 419
12.6 요약 420
■ 연습문제 425
CHAPTER 13 재고관리
13.1 재고의 역할 437
13.2 재고의 종류 438
13.3 재고의 보유 이유 439
13.4 재고비용의 종류 440
13.5 확정적 재고 모형 442
13.5.1 경제적 주문량(EOQ) 모형 442
13.5.2 EOQ - 재주문점모형 447
13.5.3 EOQ - 가격할인 모형 448
13.5.4 계획적 부재고 450
13.5.5. 와그너-휘틴(Wagner-Whitin) 모형 452
13.6 확률적 재고 모형 457
13.6.1 신문 판매원 모형 457
13.6.2 분포 자유 신문 판매원 모형 464
13.6.3 품절과 서비스 수준 466
13.6.4 연속조사 재주문점 모형 467
13.6.5 연속조사 재주문점 최적화 모형 470
13.7 ABC 재고관리 473
13.8 요약 474
■ 연습문제 479
PART Ⅴ 전사적 운영 혁신: 혁신을 위한 경영 기법
CHAPTER 14 품질경영
14.1 서론 489
14.2 품질경영의 중요성 490
14.2.1 품질경영의 발전과정 490
14.2.2 Taylor의 품질 원칙 491
14.2.3 Shewhart의 품질 이론 492
14.2.4 Deming의 14가지 품질 이론 492
14.2.5 Juran의 품질 이론 494
14.2.6 품질 정의 495
14.2.7 서비스 품질 평가 및 품질의 결정요인 498
14.2.8 불량품질의 결과 500
14.2.9 윤리와 품질경영 502
14.3 전사적 품질경영(TQM) 503
14.3.1 전사적 품질경영의 접근법 504
14.3.2 전사적 품질경영의 요소 505
14.3.3 6시그마 507
14.3.4 전사적 품질경영 구현의 성공 요인 509
14.3.5 전사적 품질경영 구현의 방해 요인 510
14.4 품질측정도구 511
14.4.1 순서도 511
14.4.2 체크 시트 512
14.4.3 파레토 분석 512
14.4.4 산포도 512
14.4.5 관리도 513
14.4.6 특성요인도 513
14.4.7 런차트 514
14.4.8 브레인스토밍 514
14.4.9 유사도 514
14.4.10 품질 분임조 515
14.4.11 인터뷰 516
14.4.12 벤치마킹 516
14.5 통계적 공정관리 517
14.5.1 공정통제 517
14.5.2 관리 프로세스 517
14.5.3 변동과 관리 518
14.5.4 관리도 518
14.5.5 변량관리도 - 평균관리도 520
14.5.6 변량관리도 - 범위관리도 521
14.5.7 변량관리도의 이용 522
14.5.8 속성관리도 - 불량률 관리도 523
14.5.9 속성관리도 - 결점 수 관리도 523
14.5.10 관리도에 관한 경영적 고려사항 524
14.5.11 Excel 실습예제 525
14.6 공정능력 527
14.6.1 공정능력 분석 527
14.6.2 공정능력의 개선 528
14.6.3 공정능력지수의 한계 528
14.7 요약 529
■ 연습문제 530
CHAPTER 15 토요타 생산 시스템
15.1 토요타 자동차회사의 역사, 발전 과정 및 위기 539
15.2 토요타 생산 시스템의 목표와 기본 개념 541
15.3 준비작업시간의 단축 542
15.4 생산리드타임의 단축 545
15.5 칸반(Kanban) 시스템 547
15.6 다기능공의 양성 550
15.7 자동화(jidoka) 시스템 552
15.8 생산 평활화 553
15.9 생산 평활화를 위한 수리 모형 555
15.10 요약 559
■ 연습문제 561
CHAPTER 16 공급망관리
16.1 서론 565
16.2 공급망관리의 개념 567
16.3 공급망의 역동성: 채찍효과(bullwhip effect) 571
16.4 공급망관리의 주요 문제 575
16.4.1 공급망관리와 기업 부문 간 통합 576
16.4.2 시스템 관점에서의 전체최적화 577
16.4.3 공급망의 위험(risk)과 불확실성(uncertainty) 580
16.5 공급망관리의 주요 기법 584
16.6 공급망에서의 계약방식에 따른 주문량 의사결정 분석 590
16.7 수량 할인 계약에 의한 공급량 의사결정 조정의 예 593
16.8 요약 598
■ 연습문제 599
● 부록 601
● 찾아보기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