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 유목제국사

도서명:흉노 유목제국사
저자/출판사:정재훈/사계절
쪽수:424쪽
출판일:2023-07-21
ISBN:9791169811453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서론
1. 무대: 고비 남북의 몽골 초원과 장성 이남의 목농복합구역(잡거지), 그리고 톈산 주변 오아시스와 초원
2. 자료: 한문 자료와 발굴 자료의 간극 극복
3. 내용: 400년 넘게 이어진 몽골 초원의 첫 유목제국 역사 복원
제1편 진상과 전사: 『사기』 「흉노열전」 속의 흉노
제1장 사마천이 그린 기마 유목민, 흉노의 ‘진상’
1. 사마천의 「흉노열전」 저술 구상
2. 사마천이 그린 흉노의 선조와 유목 습속
3. 선조와 유목에 대한 기록의 재구성과 사마천의 흉노 이해
제2장 사마천의 흉노 ‘건국 전사’ 구성: 융적, 융, 호, 그리고 흉노의 출현
1. 도시 주변의 ‘비농경민’ 융적과 중국의 공존
2. 계곡에 사는 다양한 목축민 융과 중국의 만남
3. 유목 기마궁사 호와 중국의 충돌, 그리고 장성
4. 흉노의 출현과 대결의 심화: 흉노사의 시작
제2편 건국과 발전(기원전 209~기원전 141)
제1장 묵특의 국가 건설과 지향: 선우에서 대선우로(기원전 209~기원전 174)
1. 묵특의 집권과 호와 융의 통합 노력
2. 기마 유목민 ‘인궁지민’ 중심의 체제 정비
3. 통일 중국 한과의 화친과 반한 세력의 포섭
4. 서방 진출과 기마 유목민 중심의 유목제국 ‘인궁지국’의 성립
제2장 대선우 중심의 체제 정비와 한과의 관계(기원전 174~기원전 141)
1. 노상 대선우의 위상 강화와 한인 관료의 협력
2. 군신 대선우의 압박과 한의 화친 고수
제3편 대결과 위축(기원전 141~기원전 56)
제1장 흉노와 한의 전면전과 막북 이주(기원전 141~기원전 119)
1. 군신 대선우의 공세와 무제의 북벌
2. 대결 격화와 이치사 대선우의 막북 이주
제2장 한의 공세 강화와 막북에 위축된 흉노(기원전 119~기원전 56)
1. 흉노의 위축과 지역 국가화
2. 전면전 재개와 흉노의 고립 타개 노력
3. 종전 이후 흉노의 화친 요구와 공방전 재개
4. 선제의 북벌 이후 흉노의 위축 심화와 계승 분쟁
제4편 고립과 반격(기원전 56~48)
제1장 흉노의 고립과 막북 중심 국가의 형성(기원전 56~기원전 8)
1. 호한야의 남하와 질지골도후의 서천 실패
2. 막북 초원 중심의 체제 정비와 한과의 공존
제2장 한에 대한 흉노의 반격과 그 한계(기원전 8~48)
1. 흉노의 고립 심화와 한과의 갈등 폭발
2. 신한 교체기 흉노의 확장 노력과 실패
제5편 분열과 해체(48~216)
제1장 흉노의 남북 분열과 대결(48~91)
1. 계승 분쟁의 재현과 남북 경쟁
2. 흉노의 남북 대결 심화와 북흉노의 소멸
제2장 남흉노의****화와 해체(91~216)
1. 한의 통제 강화와 남흉노의 분열
2. 대선우 권위의****화와 흉노의 군소 세력화
맺음말 - 고대 유목제국의 원상과 그 후계
1. 흉노 유목제국의 성격과 그 유산
2. 흉노의 후계, 내지로 침투한 병주 흉노(216~310)
부록
1. 흉노 유목제국 대선우의 계승과 분열
2. 흉노 유목제국 대선우의 계보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