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

도서명: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
저자/출판사:이은선/모시는사람들
쪽수:240쪽
출판일:2023-08-31
ISBN:9791166291746
목차
책을 내며
1부┃한국 유교사의 맥과 인류 종교의 미래
1 _ 밭에 감춰진 보화 같은 유교의 도(道)
2 _ 동아시아 문명화 과정과 유교
3 _ 유교 문명의 기원과 전개
4 _ 유교의 인간 이해(人)와 한국인의 사람됨(仁)
5 _ 유교적 인설(仁說)과 성학지도(聖學之道)의 종교성
6 _ 공자의 어린 시절과 어머니 안징재
7 _ 맹자의 정의(義)와 인간 삶의 조건
8 _ 맹자의 효(孝)와 유교적 궁극신앙(事天)
9 _ 16세기 조선에서 퇴계와 양명 만나다
10 _ 16세기 조선의 퇴계와 율곡, 그리고 오늘의 우리
11 _ 17세기 하곡 정제두, 주자학과 양명학의 조선적 통섭
12 _ 18세기 성호 이익, 조선의 주체성과 실학으로서의 성리학
13 _ 18세기 조선 성리학 여성 주체를 일깨우다, 임윤지당의 삶과 사유
14 _ 사유하는 집사람 강정일당의 유교 종교성과 페미니즘
15 _ 18·19세기 조선 성리학, 천학(天學)에 이르다
16 _ 순암 안정복과 하빈 신후담의 서학적 천학 비판
17 _ 18·19세기 호락논쟁의 조선 성리학, 실학을 일으키다
18 _ 19세기 조선 토양에서 다시개벽으로 탄생한 동학, 한국적 지구종교
19 _ 20세기 초 조선 유교와 민족, 홍암 나철의 대종교와 해학 이기의 진교
20 _ 한말의 의병 운동과 유교 공(公)의 영성과 종교성
21 _ 근대 유교개혁과 진암 이병헌의 유교종교화 운동
22 _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와 인류 종교의 미래
2부┃한국 종교문화사 전개와 현대 페미니즘
1 _ 한국 종교문화사를 여성주의적으로 이해하기
2 _ 무교(巫敎)와 한국 여성: 존재의 현재적 기반을 지시해 주는 무교
3 _ 불교와 한국 여성: 존재의 모든 구별과 차별을 無(무)로 돌릴 수 있는 힘
4 _ 조선 유교와 한국 여성: 일상의 삶을 聖으로 승화시키는 유교
5 _ 현대 한국 여성과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 여성적 자아의 확장과 전통과의 새로운 만남
6 _ 한국 여성 종교성의 세 차원: ‘통합성’(聖), ‘타자성’(性), ‘지속성’(誠)
도움 받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