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문화, 난쟁이와 거인의 노래

도서명:과학문화, 난쟁이와 거인의 노래
저자/출판사:김지연/자유아카데미
쪽수:572쪽
출판일:2024-08-30
ISBN:9791158086237
목차
"
서문: 분열된 세계에서 함께 노래하기
1부 우리의 과학문화
1장 과학의 문화적 지위
두 개의 세계, 두 개의 문화 | 홉스와 보일 논쟁 | 홉스의 공격, 보일의 전략 | 실험이 자연을 대변하나 | 분리된 헌법, 분열된 세계 | 사실과 가치, 과학과 상식 | 과학과 문화, 자기표현의 형식 | 시민 교양과 전문성의 협력
2장 과학혁명과 대중
17세기 과학혁명은 있었나? | 과학 선전가들 그리고 자국어 출판 | 과학은 어떻게 성공하나 | 과학의 패러다임 | 과학혁명의 구조와 정상과학 | 세계관의 변화 | 노동하는 사람의 과학
3장 과학과 젠더
과학에 내장된 젠더 | 과학의 정치성 | 플라톤의 사랑과 성 | 베이컨의 과학, 지배와 복종의 기술 | 근대과학의 영혼과 이성 | 바버라 맥클린톡의 이야기
4장 기술의 정치
기술의 힘, 삶의 방식 | 기술의 위험 | 기술에 관한 오해를 부르는 관념 | 기술의 위험관리
와 책임 | 불확실성 문제 | 불균형을 조정하는 거버넌스 | 탈정상과학과 기술 거버넌스 |
시민 인식론 | 재난의 윤리
인터루트: 과학의 의제성
2부 생명의 행성
5장 생명의 진화
생명종의 의미 | 인공선택으로 인한 동식물의 변이 | 품종개량과 변이의 법칙 | 자연 상태의 변이 | 생존 투쟁 | 생명종의 상호연결성 | 자연선택 | 성 선택 | 형질 분기
6장 공생하는 생명
45억 년 전 지구는 | 생명, 외부 세계를 지각하는 존재 | 기계인가? 영혼인가? | 오토포이에시스, 세포에서 생물권까지 | 켄타우로스와 야누스 | 세균과 고세균이 해낸 일 | 세포 내 공생 | 최초의 세포 | 인간의 지위, 기생자에서 공생자로
7장 생명의 움벨트
도리언 세이건의 윅스퀼 | 진드기의 세계, 움벨트 | 복수의 불완전한 움벨트 | 누구의 떡갈나무인가? | 카리용, 각각 그러나 모두의 멜로디 | 의미의 이론 | 생물기호학, 인간과 동물은 소통할 수 있나? | 윅스퀼 이후
8장 인간과 자연의 전쟁
내부자이면서 이방인 | 비인간 존재 | DDT, ‘해충과의 전쟁’ | 살충제의 최종 도착지는 인간 | 살충제의 원리 | 자연에 대한 오해 | 식물에 대한 오해 | 해충을 제거하지도 못하면서 새를 죽이기 | 자연과의 공존
인터루트: 버섯과 엘프
3부 과학자의 과학 이야기
9장 현대 과학 비평
물리학자의 정신병원 | 과학의 ‘운명적 결함’ | 근대과학의 이중성 | 환원주의의 늪에서 구성주의 과학으로 | 테크노사이언스 | 20세기 핵물리학 | 핵발전 반대 운동가 | 프로크루스테스 | 과학자의 반역 | 과학의 윤리, 아마추어 과학자의 역할
10장 모든 것의 사이버네틱스
수학자의 실천 | 사이버네틱스란 무엇인가? | 사이버네틱스의 기본구조 | 인간과 기계의 연결 | 청각장애인을 위한 응용 | 통합적 메시지 이론 | 정보와 엔트로피 | 커뮤니케이션 기계의 미래 | 위너 이후
11장 인공지능과 인간
도구, 기계, 인공지능 | 데카르트의 보편 도구 | 튜링 기계, 불완전한 기계 | 지능을 가진 기계 | 보편 기계, 학습하는 기계 | 기계 지능 시험하기, 튜링 테스트 | 철학자의 논박 | 지능의 사회성 | 말하는 기계, 엘리자 | 거대 언어 모델
인터루트: 교과서 속 인공지능
4부 과학의 존재론
12장 지식의 구성과 실재
과학기술학(STS) | 강한 프로그램 | 해석적 유연성과 사회적 협상 | 행위자-연결망 이론 | 근대주의 비판 | 야누스의 얼굴 | 중성자와 유니콘 | 인간과 비인간의 집합체, 그리고 권력 | 아마존 현장 연구 사례 | 파스퇴르의 세균 이야기
13장 사이보그와 반려종
최초의 사이보그 | 페미니즘과 사이보그 | 사이보그의 존재론 | 현대의 사이보그 | 이원론에 저항하는 사이보그 | 반려종, 인간과 동물의 사이보그 | 지배의 정보학 | 사이보그 시민권 | 사이보그 친족 만들기 | 촉수적 사유와 쑬루세
14장 인류세와 지구족
자연사 연구 | 인류세 담론 | 인간종, 종적 인식의 부상 | 지구 시스템 연구 | 호흡하는 지구 | 인류세 황금못 | 거대한 가속 | 오르비스 못 | 행성 경계 | 지구족의 탄생
인터루트: ‘협상의 극장’에서 배우기
5부 대중문화 속 과학
15장 SF의 미학
SF의 존재론 | 프랑켄슈타인, 남성적 번식의 꿈 | 괴물의 변신 | 멋진 신세계의 행복 | 생물학적 시민 | 설국열차, 인간의 기후위기 대처법
16장 존재의 경계, 인공지능
에레혼, 기계가 없는 세계 | 기계의 의식과 번식 | 기계로 만들어진 영혼 | 아이, 로봇, 로봇 윤리의 시작 | 로봇은 ‘해석의 주체’인가 | 안드로이드와 전기양 | 인간과 기계의 경계 | 기계의 움벨트
인터루트: 헬라 세포 이야기
나오며: 윤리와 혁신이 만날 때, 난쟁이와 거인의 노래가 흐르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