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도서명: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저자/출판사:하타노,세츠코/푸른역사
쪽수:332쪽
출판일:2016-09-15
ISBN:9791156120797
목차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이광수 연보
I. 유년시절―몰락, 야심이 싹트다
1. 성장과정
탄생|나라와 집안의 쇠퇴|전통문화의 세계
2. 동학과의 만남과 러일전쟁
동학과의 만남|손병희의 문명개화노선|‘삼전론’의 제자
II. 일본 유학(1905~1910)
1. 멸시―20세기 초반의 아시아인 유학생
‘문명’의 충격|일본 유학생의 계보|아시아의 유학생들|불쾌한 몇몇 사건들|거세지는 아시아 멸시
2. 동학 교단의 분열과 귀국
어학학교 ‘도카이의숙’ 입학|한국의 보호국화―제2차 한일협약 체결|다이세이중학 입학과 홍명희와의 사귐|귀국과 단지사건
3. 메이지학원 편입―문학소년의 길로
하쿠산학사와 마루야마후쿠야마초|메이지학원 보통학부에서의 학창생활|기노시타 나오에, 톨스토이, 바이런|기무라 다카타로의 《바이런 문학계의 대마왕》|제국주의시대의 통념|루쉰과 이광수, 서로 다른 영향
4. 초기의 창작―일본어와 조선어의 구사
영화의 ‘번역’|이언어 창작―일본어 단편 〈사랑인가〉와 조선어 단편 〈무정〉|소설의 모델이 된 이광수|《신 한자유종》 제3호|귀국의 여정
III. 교사생활의 좌절에서 대륙방랑으로(1910~1915)
1. 오산학교―윗연배뿐인 학생들
이승훈과 안창호|오산학교 부임|‘시로가네의 세계’와 ‘오산의 세계’
2. 한국병합의 충격
‘힘’에 대한 희구|헌신에서 갈등으로|배척사건
3. 대륙방랑의 길―상하이, 블라디보스토크, 치타
빈번한 우연|상하이―독립운동가들과 함께|블라디보스토크|무링|치타|〈공화국의 멸망〉|다시 도쿄로
4. 와세다대학 입학―반일사상과 특고의 감시
5년 만의 도쿄|1910년대 유학생들|두 개의 투고―상반된 표현
IV. 《무정》의 시대―명성의 획득과 3ㆍ1운동
1. 조선총독부 ‘기관지’의 의뢰
아베 미츠이에와 나카무라 겐타로|《매일신보》에 글을 쓴 이유|춘원春園 이광수|욕망의 교육과 〈자녀중심론〉|〈우리는 금일 어떻게 아버지가 될 것인가〉
2. 《무정》의 집필―한국 근대 초기 문학작품의 배경
《무정》의 탄생|《무정》의 줄거리|과도기의 조선을 그린 ‘시대의 그림’|‘영채 이야기’에서 《무정》으로|욕망을 고취하는 소설|계몽의 이면에 자리한 고향의 아내|나혜석―한국 페미니즘의 선구자|허영숙과 결핵|《무정》 속의 허영숙
3. 이언어 연재와 사랑의 도피
두 개의 언어로 쓴 기행문 〈오도답파여행〉|사랑의 도피, 베이징으로
4. 독립운동에의 참여―2ㆍ8 독립선언서 집필 후 상하이 임시정부로
2ㆍ8독립선언서|3ㆍ1독립운동|안창호와 흥사단|귀국―명망보다 실질을
V. 수양동우회와 두 개의 신문사(1920~30년대)
1. 〈민족개조론〉에 대한 비판
칩거―〈감사와 사죄〉|〈민족개조론〉과 수양동우회|동아일보사 취직|〈민족적 경륜〉|수양동우회에서 동우회로
2. 투병하의 집필활동―민족애의 고조
높이 평가받은 몇몇 연재소설|결핵과의 싸움
3. 브나로드 운동과 안창호의 체포
인민 속으로―문맹퇴치운동|안창호의 체포와 귀국
4. 절망감―아들의 죽음과 민족운동의 좌절
아들의 죽음|도쿄의 집|《가이조》의 야마모토 사네히코|중학시절 이래의 일본어 소설 〈만영감의 죽음〉|서구문명에 대한 반발의 심화
VI. 대일협력시절―중일전쟁ㆍ태평양전쟁기
1. 체포ㆍ사상전향의 표명―동우회사건
동우회사건|〈무명〉과 《사랑》|허영숙 산원|사상전향 표명―〈합의〉|‘내선일체’의 논리|대일협력을 향한 발걸음
2. 가야마 미츠로香山光郞로의 창씨개명―지식인 학살명부에 대한 우려
일본어 소설 〈진정 마음이 닿아서야말로〉|《?기》와 경성제국대학|일본어 강제의 강화―누구를 향해 썼는가|최종심에서의 무죄 판결|‘진정보편의 전향’으로|지식인 학살명부와 대일협력
3. ‘대동아전쟁’하의 ‘역할’
‘서양에 대한 반발’의 부상|대동아문학자대회 참가|괴로움의 토로에 대한 비난|학병 지원 권유―일본유학생권유단|민족 생존을 위한 고민
4. 일본어 소설을 집중적으로 쓴 1년
이광수의 일본어 소설|〈가가와 교장〉|〈파리〉|〈군인이 될 수 있다〉|〈대동아〉|〈소녀의 고백〉|춘원의 망상
VII. 해방 후―‘친일’에 대한 비난, 북한군의 연행
해방의 날|《나》와 《나의 고백》|《나의 고백》|말미에 붙인 ‘친일파의 변’|‘나는 민족을 위해 친일했습니다’|한국전쟁의 발발과 연행
주요 참고문헌
부록―2ㆍ8독립선언서
저자 후기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