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이란 무엇인가
도서명:일본인이란 무엇인가
저자/출판사:야마모토,시치헤이/페이퍼로드
쪽수:611쪽
출판일:2012-11-22
ISBN:9788992920773
목차
저자 서문_ 새로운 『국화와 칼』 007
프롤로그 『다이세이산텐코』의 일본 ― 다테 지히로의 역사관
일본의 독창성 019 | 골(骨)ㆍ직(職)ㆍ명(名)의 새로운 구분 024
제1부 씨족 시대에서 율령 시대로
제1장 일본인이란 무엇인가
인류 역사를 뛰어넘은 민족 029 | 지금도 남아 있는 조몬 시대의 음식 032 | 중국 역사서
에 나타난 일본 038 | 쓰다 소키치 박사의 이론 047 | 골(骨) 시대의 씨족 체제 051
제2장 문자의 창조
일본 문화의 근원 ‘(가나’055 | 가나를 만든 과정 061 | 가나는 누가 만들었을까 065 |
가나 문자 문화 완성을 위한 고투 070 | 일본 문학의 독자성과 보편성 074
제3장 율령제의 성립
과거제도 없는 율령제의 도입 080 | 중앙집권 국가로의 변신 084 | 개혁의 기둥 ‘(반전수
수법’087 | 엘리트의 ‘빈궁문답가’ 091 | 율령제 붕괴를 재촉한 농민의 도주 093 | 율령제
보다 가나 문화 097
제4장 신화와 전설의 세계
일본 신화의 영속성 105 | 진화형에서 창조형으로 111 | 신화에 나타난 신들의 행동 116 |
신화가 뒷받침한 천황의 정통성 121
제5장 불교의 전래
종교 혼효(混淆, 뒤섞임)의 유사성 127 | 일본의 불교 수용은 ‘(상위에서 하위로’128 |
유교와 도교가 합쳐진 중국 불교 130 | 유교와 불교가 협력해서 그리스도교를 공격하다
131 | 도교와 신토는 같은가 133 | 천인(天人)과 선인(仙人)은 도교 용어 134 | 통치 신학
으로써의 신유불합일론 136 | 불교 국가 창건의 공죄(功罪) 137 | 주술과 말법(末法) 사상에
의한 불교 변질 139 | 염불만 선택한 호넨(法然) 142 | 계율을 사수한 유일한 승려 묘에(明惠)
143 | 일본 불교의 특징 145
제6장 민주주의의 기묘한 발생
공명(共鳴)으로 민주주의 정착 147 | 비밀투표의 뿌리 150 | 다수결은 신의 뜻이다 152 |
불합리한 강소의 첨병들 157 | 초법적 공간인 장원(莊園)의 질서 160
제2부 율령 시대에서 바쿠후 시대로
제7장 무가와 일부일처제
세금과 병역을 피해 도망가는 농민들 165 | 도적 횡행으로 무사가 경찰권 장악 168 |
장원 관리에 전념한 다이라노 기요모리 170 | 율령을 벗어나 일본을 다스린 마나모토노 요
리토모 171 | 일부다처제를 금지한 호조 시게토키(北條重時) 174 | 조직과 혈연은 가훈으로 조정한다 179 | 배려가 상징하는 신생 정부의 입장 181
제8장 무가 혁명과 일본식 법치국가의 성립
조큐의 난은 조정과 무가의 정면충돌 185 | 중국의 사상으로 반란을 정당화하다 188 |
무가의 질서 확립을 목표로 한 조에이시키모쿠 공포 191 | 시비(是非)로 결단하는 것의 어려움
194 | 기청문에 나타난 신불혼효 197 | 일본 고유의 법, 시키모쿠(式目) 200 |
탈중국 체제, 일본식 법치국가의 성립 204
제9장 무가법의 특징
바쿠후에 대한 기대, 본령안도(本領安堵) 207 | 가마쿠라의 무사는 페미니스트 212 |
능력주의인 무가 사회 216 | 연좌를 인정하지 않는 개인주의 220 | 조정ㆍ바쿠후의 병존 체
제 222
제10장 이코노믹 애니멀의 출현
일본의 화폐제도 정착에 놀란 한국인 226 | 화폐경제 확립의 바탕은 화폐 수입과 금 수입
229 | 무사를 직격한 화폐의 맹위 232 | 무사를 토지에서 분리시킨 무진 234 |
도난 빈발에 따른 화폐 침투 237 | 가마쿠라 바쿠후의 기반ㆍ소료제의 붕괴 240
제11장 하극상과 집단주의의 발생
가마쿠라 바쿠후의 붕괴와 내우외환 243 | 혈연집단에서 계약집단으로 246 | 세력이
강해지는 고쿠진 잇키 248 | 잇키의 절대화로 소료제 소멸 253 | 가라카사연판에서 나타난
일본인의 평등주의와 집단주의 255 | 잇키는 현대 일본의 원점 256
제12장 화폐와 계약과 조직―중세의 종말
현실과 괴리된 무로마치 문화 260 | 대중국 굴복 외교의 원조 아시카가 바쿠후 262 |
바쿠후의 보호 아래 고리대금업 융성 264 | 도쿠세이에 나타난 아시카가 바쿠후의 금권정치
266 | 로카쿠 요시하루는 일본판 존(John) 왕이다 268 | 기청문에 보이는 모리 모토나리와
가신단의 역학 관계 270 | 맹약의 색채가 짙은 영주와 가신 271 | 센고쿠 시대의 종식을
가속시킨 토지ㆍ화폐ㆍ총포 272
제3부 바쿠후 시대―서구의 충격
제13장 쓰치 잇키(土一揆)ㆍ잇코슈(一向宗)ㆍ크리스천
일본인의 마음에 숨어 있는 종말 감각 281 | 농민에게까지 침투한 잇키 282 | 진종 왕국
(眞宗王國)을 구축한 렌뇨(蓮如) 284 | 백성 소유 구니의 출현 287 | 사비에르의 일본 방문과
기독교 전도 288 | 렌뇨 방식을 계승한 발리냐노 291 | 교육ㆍ출판의 성공 295
제14장 무역ㆍ식민지화ㆍ노예ㆍ전례(典禮) 문제
일본의 기독교 정책 299 | 예수회와 포르투갈 상인 301 | 정치 문제로서의 기독교 정책
304 | 전국 통일을 위한 5개조 힐문장(詰問狀) 307 | 기독교 금지령의 진의 314 |
히데요시의 분노를 산 스페인 317
제15장 네덜란드인과 영국인
운명적인 리프더 호(De Liefde號)의 표류 324 | 네덜란드 국왕의 편지 328 | 영국인
사절이 본 일본 331 | 이에야스의 전방위 외교 337
제16장 쇄국은 과연 있었는가
이에야스의 기독교관 340 | 시마바라의 난(島原の亂)이 일어난 과정 344 | 시마바라의 난,
또 하나의 진상 348 | 데라우케 제도의 역할 352 | 신에게 맹세하고 전향한 크리스천
들 355
제17장 기독교 사상의 영향
절대성이 부정된 기독교 358 | 시대가 필요로 하는 신종교 362 | 자연신학(自然神學)이
가져온 구제와 질서 364 | 하비안의 전향―선택 받지 못한 기독교 368 |
근대 일본인의 탄생 371
제4부 다테 지히로의 현대
제18장 이에야스가 창출한 체제
선례를 따른 이에야스의 정치체제 377 | 가마쿠라의 전통을 계승하다 379 | 조정과
사원ㆍ신사의 세력을 체제로 편입시키다 381 | 횡적(橫的) 단결을 방지하는 지혜 384 |
화폐제도의 확립 386 | 유연한 통치 사상의 확립 389
제19장 바쿠한 체제(幕藩?制)
경제 시대로의 전환 393 | 일원적 경제체제로의 전환 395 | 가타나가리령(刀狩令)의 의도
400 | 경제를 자극한 해상 운수 401 |『 닛폰 에이타이구라(日本永代藏)』에 등장한 사람들
403 | 새로운 농기구와 기술의 도입 406 | 주역(主役) 교체 시기 410
제20장 종적 사회와 하극상
수직화와 역수직화 414 | 조선의 외교를 둘러 싼 야나가와(柳川) 사건 416 | 주군과 가신
(家臣)이 서로 제소(提訴)하다 418 | 정치적 재판에 의한 결말 420 | 주군 타도의 정당화
423 | 개혁을 저지하는 주신단(重臣團) 427 | 엄밀한 의미의 ‘전제군주’는 없었다 430
제21장 ‘5공5민’과 ‘번’의 경영
5공5민(五公五民)은 착취 수단인가 432 | 겐치가 형식적이 된 이유 436 | 자급 체제를
촉진한 쇄국 439 | 번의 경영 능력 차이 442 | 생산력을 확대하려는 노력과 군역(軍役)
면제 효과 444
제22장 바쿠한 체제하의 경제
상업 도시 오사카의 발전 450 | 금속 정련 기술의 발달 455 | 금융업의 번영과 한사쓰(藩
札)의 성패 461 | 번은 중상주의인가, 중농주의인가 464
제23장 에도 시대의 기술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의 지혜 468 | 정시법과 비정시법 472 | 시계 전래의 역사 474 |
호화롭고 비싼 ‘.와도케이(和時計)’476 | 시계에 열중한 여러 가지 연구 479 |
시계 기술이 정밀공업의 기초를 만들다 487
제24장 에도 시대의 민중 생활
쇼핫토(諸法度)는 기본법이다 490 | 15세부터 성인이 된다 493 | 결혼은 일종의 상호계약이다
495 | 실명 상속과 유산상속은 별개 497 | 은거(隱居)를 해도 친권 상실은 없다
500 | 봉건법이 적용되는 무사는 겨우 7퍼센트 502 | 상속인은 어떻게 결정했나 504
제25장 에도 시대의 사상
- 민간 학자의 출현과 어용 사상의 위험
일본 특유의 상인학자 509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에 의해 개안하다 510 | 바쿠한
체제를 인정하지 않은 아사미 게사이 514 | 일본과 중국이 대등하다는 주장 517 |
자신의 존재 의식을 미래에 두다 518 | ’(절명의 사(辭)’(로 보는 게사이의 정통성 지향 521 |
민간 학자 배출의 시대 526 | 불법칙세법(佛法則世法)을 역설한 스즈키 쇼산 527 |
사민일용(四民日用)』을 통해 본 쇼산의 사상 531 | 본성대로 살라고 주장한 이시다 바이간
536 | 이퇴계(李退溪)의 영향 540
제26장 현대 일본인의 원형
- 종교 비판, 무신론, 진화론, 지동설
삼교 병존의 관용성 542 | 도미나가 나카모토(富永仲基)의 가상론(加上論) 544 | 도미나가 나카모토를 높이 평가했던 국학자들 547 | 현대적인 나카모토의 사상 549 | 이색적인
반토(番頭) 학자 552 | 주자학에서 출발한 과학적 발상 554 | 선조의 제사에 대한
반토의 생각 560 | 근대적인 반토의 우주설(宇宙說) 564
제27장 현대 일본의 원형
일본의 수학 569 | 세키 다카카즈의 흐름을 이은 혼다 도시아키 572 | 유학과 결별한
‘탈아(脫亞)’의 선구자 574 | 도시아키가 주장한 사대급무(四大急務) 576 | 맬서스 인구론
과의 유사성 579 | 벽지(僻地)의 개척ㆍ진흥을 주장하다 581 | 시대에 앞서간 개국론(開
國論) 586 | 현장에서 발상한 가이호 세료 589 | 경제 문제 해결의 장해를 지적하다 590
| 세료의 번 주식회사 이론 595
에필로그 메이지유신의 출발점
■일본은 어떻게 메이지유신에서 성공했을까 599
■도쿠가와 시대에 이미 활약한 유리 기미마사 602
■유신을 성공으로 이끈 진정한 이유 606
맺음말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