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바구니0

최병해 전공국어 고전시가 > 임용고시

상품간략정보 및 구매기능

최병해 전공국어 고전시가

기본설명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법률저널
원산지 국내산
브랜드 법률저널
시중가격 49,000원
판매가격 49,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소구매수량 1 개
최대구매수량 999 개
  • 최병해 전공국어 고전시가
    +0원

관련상품

등록된 관련상품이 없습니다.

  •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최병해 전공국어 고전시가

    9788963367897.jpg

    도서명:최병해 전공국어 고전시가
    저자/출판사:최병해/법률저널
    쪽수:934쪽
    출판일:2023-04-14
    ISBN:9788963367897

    목차
    PART 1 문학 평가에 대한 이해 및 대응 방법

    제1장 고전시가 기출문제 분석
    제1절 고전시가 기출문제의 문제 유형 방법 16
    제2절 연도에 따른 고전시가 출제 작자 및 작품 21
    제3절 시대와 갈래에 따른 출제작자 및 작품 23
    제4절 고전시가 기출문제 작품 및 중요 작품 25

    제2장 임용 시험 고전시가 학습 방법 30
    제1절 임용시험 고전시가에 대한 접근 방법 30
    제2절 고전시가 기출문제 학습 방법 32
    제3절 고전시가 서답형 문제 및 대응 방법 44
    제4절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14종 수록 작품 69

    PART 2 고전시가 이해 및 작품 감상

    제1장 고전문학사 82
    제1절 원시·고대 문학 82
    제2절 중세 전기 문학 84
    제3절 중세 후기 문학 87
    제4절 근대 이행기 문학 93

    제2장 고전시가의 이해 100
    제1절 고전시가의 개념 및 하위 갈래 100
    제2절 고전시가 형식면의 영향 관계 102

    제3장 고대 가요 112
    제1절 고대 가요 이해 112
    제2절 고대 가요 작품 감상 117
    1 구지가(龜旨歌) 117
    2 해가사(海歌詞) 122
    3 황조가(黃鳥歌) 124
    4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128
    5 정읍사(井邑詞) 134

    제4장 향 가 142
    제1절 향가 이해 142
    제2절 향가 작품 감상 150
    1 도솔가(兜率歌) 150
    2 서동요(薯童謠) 152
    3 헌화가(獻花歌) 157
    4 제망매가(祭亡妹歌) 159
    5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68
    6 안민가(安民歌) 173
    7 처용가(處容歌) 181
    8 혜성가(彗星歌) 192
    9 원왕생가(願往生歌) 196
    10 원가(怨歌) 200
    11 풍요(風謠) 202
    12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203
    13 우적가(遇賊歌) 207
    14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천수대비가) 208
    15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212

    제5장 고려 속요 216
    제1절 향가계 여요 216
    제2절 고려 속요 218
    제3절 고려 속요의 양상 223
    제4절 소악부 225
    제5절 고려 속요 작품 감상 226
    1 동동(動動) 226
    2 사모곡(思母曲) 234
    3 상저가 236
    4 가시리 238
    5 서경별곡(西京別曲) 243
    6 청산별곡(靑山別曲) 249
    7 정석가(鄭石歌) 256
    8 정과정(鄭瓜亭) 263
    9 쌍화점(雙花店) 272
    10 만전춘(滿殿春) 279
    11 이상곡(履霜曲) 285

    제6장 경기체가 292
    제1절 경기체가 이해 292
    제2절 경기체가 작품 감상 299
    1 한림별곡(翰林別曲) 299
    2 상대별곡(霜臺別曲) 306
    3 관동별곡 309
    4 독락팔곡 311

    제7장 악 장 318
    제1절 악장 이해 318
    제2절 악장 작품 감상 320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320
    2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334
    3 신도가(新都歌) 336
    4 감군은(感君恩) 340

    제8장 시 조 346
    제1절 시조 이해 346
    제2절 시조 작품 감상 ⑴ 고려 후기 362
    1 梨花(이화)에 月白(월백)고 362
    2 春山(춘산)에 눈 녹인 바 363
    3  손에 막 잡고 364
    4 하여가(何如歌) 365
    5 단심가(丹心歌) 366
    6 가마귀 호 골에 369
    7 白雪(백설)이 자진 골에 371
    8 구룸이 無心(무심) 말이 372
    제3절 시조 작품 감상 ⑵ 조선 전기 373
    1 五百年(오백년) 都邑地(도읍지)를 373
    2 興亡(흥망)이 有數(유수)니 374
    3 눈 마 휘어진 를 375
    4 仙人橋(선인교) 나린 물이 376
    5 가마귀 검다 고 377
    6 朔風(삭풍)은 나모 긋희 불고 378
    7 首陽山(수양산) 바라보며 379
    8 이 몸이 주거 가셔 380
    9 가마귀 눈비 마 381
    10 房(방) 안에 혓 燭(촉)불 382
    11 千萬里(천만 리) 머나먼 길 383
    12 간밤에 우던 여흘 384
    13 이시렴 브디 갈 385
    14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386
    15 聾巖(농암)애 올아 보니 389
    16 어부단가(漁父短歌, 어부가) 391
    17 말 업슨 靑山(청산)이요 394
    18 秋江(추강)에 밤이 드니 395
    19 대쵸볼 불근 골에 396
    20 삿갓셰 되롱이 입고 397
    21 十年(십 년)을 經營(경영)여 398
    22 음이 어린 後(후)ㅣ니 399
    23 재 너머 成勸農(성권롱) 집의 400
    24 두류산 양단수를 401
    25 三冬(삼동)에 뵈옷 닙고 402
    26 녹초청강상(綠草晴江上)에 403
    27 올 댤은 다리 404
    28 風霜(풍상)이 섯거친 날에 405
    29 오륜가(五倫歌) 406
    30 훈민가(訓民歌) 410
    31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414
    32 淸凉山(청량산) 六六峰(육륙봉)을 425
    33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426
    34 태산이 높다하되 431
    35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432
    36 에 단니 길히 439
    37 사랑이 엇터니 440
    38 간밤에 부던 람에 441
    39 오면 가랴 고 442
    40 북창이 다커늘 443
    41 어이 얼어 잘이 444
    42 冬至(동지)ㅅ 기나긴 밤을 445
    43 어져 내 일이야 446
    44 靑山裏(청산리) 碧溪水(벽계수)ㅣ야 447
    45 내 언제 무신(無信)야 448
    46 梨花雨(이화우) 흣릴 제 449
    47 묏버들 갈 것거 449
    48 내 ᄆᆞᄋᆞᆷ 버혀내여 451
    49 청초(靑草) 우거진 골에 452
    50 지당(池塘)에 비 뿌리고 453
    제4절 시조 작품 감상 ⑶ 조선 후기 454
    1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454
    2 오우가(五友歌) 469
    3 만흥(漫興) 473
    4 견회요(遣懷謠) 475
    5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479
    6 동기로 세 몸 되어 480
    7 짚방석 내지 마라 481
    8 山村(산촌)에 눈이 오니 482
    9 노래 삼긴 사 484
    10 춘산곡(春山曲) 485
    11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486
    12 국치비가(國恥悲歌) 487
    13 청석령 지났느냐 488
    14 전가팔곡(田家八曲) 489
    15 菊花(국화)야, 너난 어이 491
    16 님이 헤오시매 492
    17 하하 허허 들(笑意歌) 492
    18 주려 주그려 하고 493
    19 농가 구장(農歌九章) 494
    20 江山(강산) 죠흔 景(경)을 498
    21 書劍(서검)을 못 일우고 498
    22 田園(전원)에 나믄 興(흥)을 499
    23 白鷗(백구)야 말 물어 보자 500
    24 草庵(초암)이 寂寥(적료) 500
    25 내 사리 담박한 중에 501
    26 뉘라서 가마귀를 502
    27 님 글인 相思夢(상사몽)이 503
    28 매화사(梅花詞) 504
    29 고울사 저 꽃이여 505
    30 암이 다 울고 506
    31 靑山(청산)도 절로절로 506
    32 한숨이 람이 되고 507
    33 나뷔야 청산 가쟈 508
    34 굼벙이 매암이 되야 508
    35 풍파에 놀란 사공 509
    36 한산섬 달 밝은 밤에 510
    37 청강(淸江)에 비 듣는 소ᄅᆡ 511
    38 철령(鐵嶺) 높은 봉(峯)에 512
    39 동창(東窓)이 밝았느냐 513
    40 아침은 비 오더니 514
    41 사랑이 거즛말이 515
    42 빈천(貧賤)을 ᄑᆞᆯ랴 하고 516
    43 말하기 좋다 하고 517
    44 마음이 지척(咫尺)이면 518
    45 단가 육장(短歌六章) 519
    46 박인로 자경가(自警歌) 521
    47 박인로의 입암(立巖) 29곡 522
    48 신계영의 탄로가(嘆老歌) 524
    제5절 사설시조(조선 후기) 이해 526
    제6절 사설시조 작품 감상 ⑴ 조선 후기 529
    1  盞(잔) 먹새그려 529
    2 書房(서방)님 병 들여 두고 531
    3 갓나희들이 여러 층이오레 532
    4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뫼헤 533
    5 님 그려 겨오 든 잠에 534
    6 귀리 져 귀리 535
    7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536
    8 님이 오마 거 540
    9 가버슨 兒孩(아해)ㅣ들리 541
    10 싀어마님 며리 낫바 542
    11 논 밭 갈아 기음 매고 545
    12 개야미 불개야미 546
    13 대천 바다 한가온데 547
    14 두터비 리를 물고 548
    15  눈 멀고  다리 져는 549
    16 窓(창) 내고쟈 窓(창)을 내고쟈 550
    17 한슴아 셰한슴아 551
    18 내게는 원슈가 업셔 552
    19 어이 못 오던가 553
    20 (宅)들에 동난지이 사오 555
    21 가마귀 가마귀를 따라 556
    22 일신이 사쟈 이 556
    23 天寒(천한)코 雪深(설심) 날에 558
    24 곡구롱(谷口哢) 우ᄂᆞᆫ 소ᄅᆡ에 561
    25 벽사창 밖이 어른어른ᄒᆞ거늘 562
    26 재 우희 우ᄯᅮᆨ 션 소나모 563
    27 갈가보다 말가보다 564
    28 님으란 회양(淮陽) 금성(金城) 오리남기 되고 565
    29 ᄇᆞᄅᆞᆷ도 쉬여 넘ᄂᆞᆫ 고ᄀᆡ 566
    30 청천(靑天)에 ᄠᅥᆺᄂᆞᆫ 기러기 한 쌍 567
    제7절 사설시조 작품 감상 ⑵ 기타 작품 568

    제9장 가 사 572
    제1절 가사 이해 572
    제2절 가사 작품 감상 ⑴ 조선 전기 586
    1 상춘곡(賞春曲) 587
    2 만분가(萬憤歌) 593
    3 면앙정가(俛仰亭歌) 601
    4 성산별곡(星山別曲) 611
    5 관동별곡(關東別曲) 621
    6 사미인곡(思美人曲) 636
    7 속미인곡(續美人曲) 645
    8 규원가(閨怨歌) 656
    제3절 가사 작품 감상 ⑵ 조선 후기 666
    1 선상탄(船上歎) 667
    2 누항사(陋巷詞) 676
    3 태평사(太平詞) 688
    4 만언사(萬言詞) 694
    5 탄궁가(嘆窮歌) 702
    6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07
    7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715
    8 연행가(燕行歌) 719
    9 고공가(雇工歌) 727
    10 용부가(庸婦歌) 734
    11 계녀가(誡女歌) 743
    12 우부가(愚夫歌) 750
    13 봉선화가 755
    14 덴동 어미 화전가 760
    15 상사별곡(想思別曲) 765
    16 청춘과부가(靑春寡婦歌) 767
    17 상사회답곡(相思回答曲) 775
    18 갑민가 780
    19 춘면곡 783
    20 농부가 788
    21 영삼별곡 791
    22 별사미인곡 795
    23 북찬가(北竄歌) 797
    24 황계사(黃鷄詞) 800
    25 고공답주인가 802
    26 관등가(觀燈歌) 804
    28 기음 노래 806

    제10장 잡 가 810
    제1절 잡가 이해 810
    제2절 잡가 작품 감상 814
    1 유산가(遊山歌) 814
    2 영변가(민요 계열 잡가) 819

    제11장 민 요 822
    제1절 민요 이해 822
    제2절 민요 작품 감상 828
    1 시집살이요 828
    2 아리랑 타령 837
    3 모내기 노래 842
    4 논매기 노래 843
    5 자장 노래 845
    6 잠 노래 846
    7 강강술래 847
    8 밀양 아리랑 848
    9 베틀 노래 850
    10 진도 아리랑 852
    11 정선 아리랑 853
    12 수심가(愁心歌) 854
    13 초부가(樵夫歌) 855
    14 만가(輓歌) 857
    15 창세가(創世歌) 858
    16 여러 가지 민요 860

    제12장 두시언해 864
    제1절 두시언해 이해 864
    제2절 두시언해 작품 감상 865
    1 춘망(春望) 865
    2 강촌(江村) 866
    3 절구(絶句) 867
    4 등악양루(登岳陽樓) 868
    5 등고(登高) 869
    6 귀안(歸雁) 870
    7 추흥(秋興) 871

    제13장 한 시 874
    제1절 한시 이해 874
    제2절 한시 작품 감상 877
    1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877
    2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878
    3 추야우중(秋夜雨中) 881
    4 송인(送人) 882
    5 동명왕편(東明王篇) 884
    6 시벽(詩癖) 889
    7 사리화(沙里花) 892
    8 부벽루(浮碧樓) 893
    9 상률가(橡栗歌) 897
    10 사청사우(乍晴乍雨) 899
    11 영산가고(咏山家苦) 900
    12 만보(晩步) 901
    13 봄비 902
    14 빈녀음(貧女吟) 903
    15 곡자(哭子) 904
    16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佛日庵贈因雲釋) 905
    17 잠령민정(蠶嶺閔亭) 906
    18 산민(山民) 907
    19 농가탄(農家歎) 908
    20 탄빈(歎貧) 909
    21 이노행(貍奴行) 910
    22 탐진촌요(耽津村謠) 912
    23 보리타작(打麥行) 913
    24 구우(久雨) 918
    25 가마꾼(肩輿歎) 919
    26 용산마을 아전[龍山吏] 922
    27 과안락견(過安樂見:안락성을 지나며) 924
    28 무제(無題) 925
    29 절명시(絶命詩) 926
    30 무어별 927
    31 누항락 929
    32 원생원 930
    33 스무나무 밑의 931
    34 유배지에서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며(配所輓妻喪) 933
    delivery.jpg
  •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정보

    배송업체 : 한진택배 (1588-0011)
     배송비
     2,500원 (2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일부상품제외) 군부대 및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
     : 평일 오전 7시 이전 주문 시 당일 발송 (2~3일 소요) : 단, 공휴일, 연휴,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발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추적
     : 당일 발송건에 한해 익일 오전 9시 이후 확인 가능합니다.


    교환/반품

     ◆반품/교환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품/교환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단, 상품이 훼손되지 않았거나, 속 비닐이 있는 경우 듣지 않았을    때 가능합니다.
     •고객님의 변심 또는 잘못 주문하신 경우에는 왕복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입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 상품에 대해서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면 상담 후 교환해 드립니다.
     ◆오배송, 파본, 불량상품의 배송비는 환불처에서 부담합니다.
     교환/반품
     ◆환불은 상품이 환불에 도착 시 처리됩니다. (카드 취소는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1234-5678

회사명 (주)꼭대기 주소 서울 특별시 마포구 연희로 11,5층 S-537호
사업자 등록번호 795-87-00429 대표 오주봉 전화 02-356-5779 팩스 02-356-5779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마포-0052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dhwnqhd

Copyright © 2001-2013 (주)꼭대기.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