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 지은 경복궁
도서명:예로 지은 경복궁
저자/출판사:임석재/인물과사상사
쪽수:888쪽
출판일:2015-05-29
ISBN:9788959063451
목차
서문 경복궁에 존재하는 ‘플러스알파’를 찾아서 5
제1부 경복궁의 역사
제1장 한양, 경복궁, 풍수지리
태조와 한양 천도 28 | 고려 때 도읍 후보지, 남경 31 | 한양은 명당 중의 명당 34 | 정도전이 경복궁을 짓다 37
제2장 북악산 대 인왕산-풍수지리논쟁
북악산 대 인왕산-풍수지리의 의미 41 | 풍수지리로 보는 북악산과 인왕산 43 | 한국 문학과 한국화에 등장하는 북악산과 인왕산 46 | 경복궁과 함께 본 북악산과 인왕산 52 | 진산으로 인왕산보다 북악산이 적합한 이유 61 | 진산 논쟁에 대한 해석 63 | 좌묘우사-종묘와 사직의 건설 68 | 문묘와 성곽의 건설과 한성부 5부의 제정 72
제3장 의외로 외로웠던 경복궁
왕들이 꺼렸던 경복궁 77 | 경복궁****사 (1)-창건에서 세종까지 79 | 경복궁****사 (2)-힘들었던 비운의 역사 83 | 왕자의 난과 태종의 경복궁 기피 88 | 엄격한 구성과 심리적 부담감 92 | “산이 가두고 물이 말라”-산과 물의 문제 96
제2부 『주례』와 오문삼조 : 경복궁의 배치 원리 (1)
제1장 오문삼조의 다양한 의미
『주례』의 궁궐 지침 107 |『주례』의 참뜻-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의 조화 110 | 삼문삼조와 ‘3’의 미학 112 | 오문의 기본 구성 115 | 오문의 건축적 의미 (1)-축 구성 119 | 오문의 건축적 의미 (2)-동심원 구성과 어울림의 미학 123 | 오문의 미학적 의미-‘5의 미학’ 126 | ‘오문’의 두 가지 범위-궁성과 황성 128 | 오문 구성의 두 가지 종류 131 | 오문삼조의 모호함과 중국 궁궐 135
제2장 『주례』와 경복궁의 오문삼조
『주례』와 경복궁의 탄생-경복궁의 다섯 가지 정의 140 | 경복궁의 세 단계 143 | 경복궁의 네 가지 도판 145 | 경복궁의 오문삼조 (1)-창건 당시 ****152 | 경복궁의 오문삼조 (2)-임진왜란 이전 ****157
제3장 삼문과 오문 사이-경복궁의 교묘한 문 체제
경복궁과 오문삼조의 해석 문제 165 | 경복궁의 교묘한 문 구성-자존심과 사대 사이 169 | ‘왕궁 오문, 제후삼문’-삼문과 오문 사이 172 | 국가의 자존심, 제후의 도리, ‘예 정신’ 176
제4장 『주례』와 중국 궁궐
『주례』와 동아시아 궁궐 180 |『주례』와 중국 궁궐의 역사 182 |『주례』와 자금성 188 |『주례』의 오문삼조가 잘 ****지켜진 이유 195
제3부 축과 동심원 : 경복궁의 배치 원리 (2)
제1장 경복궁의 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
『주례』와 궁궐 건축의 두 유형-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 202 | 축과 동심원의 조화는 법치와 예치의 조화 205 | 경복궁과 축과 동심원의 조화-‘창건 당시 안’ 207 | 세 개의 초점-‘임진왜란 이전 안’과 강화된 동심원 구성 214
제2장 경복궁의 풍부한 동심원 구도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1)-공간을 뛰어넘은 다차원적 ‘관계 맺기’ 222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2)-세 초점과 네 겹 동심의 의미 226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3)-다중 동심원 231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4)-원심력을 지향하다 233 | 자금성과의 비교-경복궁의 동심원 구도를 확인하다 237 | 경복궁의 주체성과 예치 이상 240 | 고려 궁궐과의 비교 (1)-고려 궁궐의 배치 구성 243 | 고려 궁궐과의 비교 (2)-경복궁의 조화의 미학을 한 번 더 확인하다 248
제3장 축의 미학 (1)-맹자의 ‘충실함’, 호연지기, 대미
반듯하고 번듯한 경복궁-축의 미학 255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1)-충실함과 호연지기 257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2)-대미 260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3)-제왕론 262 | 맹자의 미학, 경복궁, 조선 건국 264
제4장 축의 미학 (2)-사순언문
사순언문-반듯한 사리와 전거 있는 표현 272 | 사순언문과 경복궁의 축 구성 275 | 사순과 언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세 가지 경우 284 | 사순과 언문의 상호작용과 경복궁 286 | 사순언문의 확장-기, 예, 덕, 예술 형식
292 | ‘기-예-덕’이 하나 된 예술 작품으로서의 경복궁 295
제5장 축의 미학 (3)-‘하늘은 쉽고 땅은 간단하다’
하늘은 쉽고 땅은 간단하다-인의와 천지의 공통 원리 302 | 음양의 상호 교합-경복궁 축 구성의 궁극적 목적 306
제6장 동심원의 미학 (1)-동심원과 동아시아 문화
『삼재도회』와 『한국삼재도회』의 동심원 예들 313 |『삼례도』-
<율려상생지도>
와
<정전도>
318 | 기타 여러 예들과 동심원 구도의 의미 324
제7장 동심원의 미학 (2)-‘중’과 궁궐
‘中’=가운데 막대기+둥그런 원형 332 | 천하의 중심으로서의 궁궐 333 | 중국 궁궐의 예 (1)-‘중’ 개념의 형성과 발전 337 | 중국 궁궐의 예 (2)- ‘중’ 개념의 완성 340
제8장 동심원의 미학 (3)-한양과 경복궁의 ‘중’ 개념
한양과 경복궁의 예 (1)-풍수지리의 중심 346 | 한양과 경복궁의 예 (2)-자연의 권위를 빌린 중심 349 | 한양 내에서 경복궁의 동심원, 안팎으로 아홉 겹을 이루다 354 | 한양을 밖으로 둘러싸는 다섯 겹의 동심원 358 | 경기제-정치·경제의 중심이 만들어내는 동심원 361
제9장 동심원의 미학 (4)-경복궁의 14겹 동심원
중앙 집중 구도-왕권과 방위 문제 369 | 수도 집중의 문제 372 | 자연 동심원과 인공 동심원의 조화 374 | 자연이 점지한 궁궐, 경복궁 376
제4부 조화의 미학 : 경복궁의 배치 원리 (3)
제1장 화, 인, 예
‘화’의 세 가지 의미-이상과 현실의 양면성 386 | ‘화’와 공자의 ‘인’-이상을 공유하다 389 | ‘화’와 ‘예’ (1)-공자의 등급 법과 현실 전략 392 | ‘화’와 ‘예’ (2)-묵자의 겸애사상과 평등 이상 395 | ‘화’의 진정한 완성=이상과 현실의 통합 399 | 경복궁과 조화의 미학 (1)-‘화’의 이상과 현실을 표현하다 401 | 경복궁과 조화의 미학 (2)-이상과 현실을 합해서 완전한 ‘화’에 이르다 404
제2장 중화, 중용, 예
중화 미 (1)-딱 들어맞아서 어울리는 상태 408 | 중화 미 (2)-중용과 ‘예’ 411 | 경복궁과 중화 미의 구현 414
제3장 강유상제와 청탁상제
강유상제 (1)-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구제하다 420 | 강유상제 (2)-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이기다 423 | 강유상제 (3)-경복궁에 구현된 내용 426 | 청탁상제 (1)-궁음에 담긴 화합과 벼리의 뜻 437 | 청탁상제 (2)-궁음의 뜻과 경복궁의 모범 439 | 청탁상제 (3)-한계를 지키며 상호 교합한다 443 | 청탁상제 (4)-상탁과 청음근애 446 | 청탁상제 (5)-경복궁에 구현된 내용 449
제4장 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을 공유하는 다양한 문헌들
『예기』의
<왕궁오문>
과 『서경』의
<요제오복도>
455 | 『삼례도』와 『예경궁실답문』-오문삼조, 축 구성, 동심원 구성 459 | 『삼재도회』와 『한국삼재도회』-『주례』의 충실한 계승자 464 | 『주례』와 예 정신-경복궁에 담긴 참뜻 469
제5부 『주례』, 성리학, 경복궁
제1장 『주례』와 조선 건국
『주례』, 조선 건국, 성리학 477 | 『주례』는 어떤 책일까? 479 | 『주례』와 이상국가-‘주’와 ‘예’의 이상성 483 | 『주례』와 성리학 488 | 신진사대부와 『주례』-『주관육익』의 편찬 491 | 『주례』와 『조선경국전』-왕도정치의 이상 494
제2장 신진사대부와 성리학
한국 유교의 흐름 502 | 고려 말의 한계 상황과 성리학의 수용 505 | 성리학으로 무장한 신진사대부 509 | 고려 성리학-고려 개혁 대 조선 건국 512 | 송나라 성리학의 성립 514 | 성리학이란 어떤 유교인가? 517
제3장 성리학과 이상국가-왕, 신하, 백성의 성스러움
성리학과 경복궁 (1)-배치 규범과 ‘경’의 가치 522 | 성리학과 경복궁 (2)-도덕 교과서로서의 경복궁 524 | 정도전과 성스러운 이상국가 (1)-왕과 신하의 성스러움 527 | 정도전과 성스러운 이상국가 (2)-경복궁과 백성의 성스러움 531
제4장 경복궁과 세 가지 성스러움
왕의 성스러움과 ‘경복’ 536 | 신하의 성스러움과 ‘평’의 미학 538 | 백성의 성스러움 (1)-애민사상과 검소함의 미학 541 | 백성의 성스러움 (2)-규모의 미학 545 | 백성의 성스러움 (3)-조율의 미학 551 | 성리학적 이상의 좌절 (1)-왕자의 난과 왕도정치의 종말 553 | 성리학적 이상의 좌절 (2)-경복궁 기피 현상 556
제5장 『조선경국전』과 경복궁
왕과 신하의 성스러움 560 | 백성의 성스러움 563 | 성스러움을 매개로 한 ‘왕-신하-백성’의 육적 통합 570 | 애끓는 애민사상과 민본국가 574
제6부 법치, 예치, 경복궁
제1장 법치와 예치 (1)-『주례』의 예
‘예’의 세 가지 이상성 585 | ‘예’를 매개로 한 『주례』와 성리학의 연관 587 | ‘예’의 양면성-법치와 예치 592 | 『주례』와 법치-순자와 관중을 종합하다 595 | 『주례』와 예치 (1)-등급 법과 법 집행에 끼치는 영향 597 | 『주례』와 예치 (2)-교화 작용과 오례의 실천 수칙 600
제2장 법치와 예치 (2)-순자의 예
순자의 법치 사상-‘법’의 세 가지 의미 604 | 순자의 예치 사상 (1)-인위성과 화성기위론 606 | 순자의 예치 사상 (2)-분업으로서 계급 608 | 순자의 예치 사상 (3)-‘선’의 이상과 성왕정치 610
제3장 경복궁에 나타난 등급 법과 법치 정신
전각에 나타난 등급 법 615 | 은유적인 전각의 이름-겸손함의 미학을 견지하다 618 | 문에 나타난 등급 법 620 | 품계석과 어도에 나타난 등급 법 623 | 경복궁에 담긴 등급 법의 여섯 가지 의미 627
제4장 『조선경국전』에 나타난 법치와 예치
‘예’로 세운 나라, 조선-정도전과 예치 633 | 『조선경국전』에 나타난 예치의 내용 637
제7부 세종과 경복궁
제1장 순자의 예치 정신과 경복궁
순자의 ‘예 이상’ (1)-법은 예법이다 647 | 순자의 ‘예 이상’ (2)-법치는 예치를 돕는 수단이다 650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1)-인위성과 검소함의 미학 653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2)-등급 법, 예별이, 형식미 655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3)-분업론과 나누기의 미학 658 | 순자의 예 이상과 ‘평’의 미학 659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4)-‘평’의 미학 662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5)-이상성과 어울림의 미학 664
제2장 순자의 후왕론과 세종-‘지금 이 시점에서 열심히 노력하는 자’
순자의 후왕론 671 | 후왕론과 조선의 왕계 674 | 후왕론과 세종 678 | 천인론+후왕론=하늘을 대신해서 ‘인’과 ‘덕’으로 다스리다 681 | 민본주의=애민사상+예치 685
제3장 ‘평’의 미학-융평, 풍평, 예치
융평, 풍평, 예치 692 | ‘평’ 정신과 평등사상-법은 만인 앞에 평등하다 697 | 형평주의와 신형주의-‘평’의 미학의 구체적 실천 정책 701
제4장 세종의 경복궁 중건-‘평’의 미학을 구현하다
후왕론과 경복궁 707 | 세종과 경복궁 중건-“삼대를 지나서는 ****된다” 708 | 경복궁 중건에 나타난 ‘평’의 미학 711 | 다중 동심원-인정을 구현하고 ‘예’의 미학을 강화하다 715 | 인정을 통해 검소함의 미학과 ‘화’의 미학을 구현하다 717 | 문의 미학-군덕을 행하다 720 | 왕계, 백성, 합리주의-애민사상을 구현하다 724 | 덕과 화락을 실어 예치를 완성하다 727
제8부 중심 삼조의 건축 미학
제1장 광화문과 흥례문-‘예’로 시작하다
광화문 (1)-왕을 보호하는 품격 있는 갑옷 735 | 광화문 (2)-‘소리 길’의 한가운데에서 바깥세상을 향하다 740 | 광화문과 흥례문-서로에게 읍양의 예를 갖추다 745 | 흥례문-‘예’로 궁궐을 감싸다 751 | 흥례문 외행각과 유화문-문양 구성과 비대칭으로 ‘화락’을 표현하다 754 | 영제교-궁궐과 바깥세상을 이어주던 물길 760
제2장 근정전-위엄 있는 누대
누대의 미학 (1)-높은 산을 대신해 하늘로 오르다 768 | 누대의 미학 (2)-천하의 중심지 771 | 누대의 미학 (3)-상고시대 이상 누대 774 | 근정전, 상고시대 이상 누대를 부활시키다 776 | 상고시대 이상 누대를 부활시켜 성리학의 가르침을 구현하다 781 | 북악산을 닮은 인공 산을 토템기둥이 떠받치다 785
제3장 사정전-검소하지만 역동적인 ‘생각’하는 공간
한국사에서 중요한 역사를 창출하던 현장 793 | 생각하는 공간-검소하지만 역동적이다 796 | 지자요수-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인다 801 | 나누기의 미학과 휘언휘서 806 | 완곡하고 너그럽게 보여 군신 간의 예를 지키다 810
제4장 강녕전-‘변’과 음양오행
왕의 침전, 강녕전 818 | 가장 역동적인 남성 공간 821 | 음양-‘양’을 양답게 해주는 것은 ‘음’이다 827 | ‘변’의 미학-변덕과 변통 829 | ‘변’과 음양이 구현된 건축 처리 831 | 오행-역동적 균형에 의한 순환 작용 838 | 오행 원리를 구현한 건축 처리 843
제5장 교태전-사랑으로 사람을 품는 산
강녕전의 짝, 왕비의 침소 850 | 좌유좌기 참유참양-용마루 없는 지붕 854 | 인자요산-사람을 품는 따뜻한 품 859
도판 목록 865
표 목록 871
참고문헌 873
찾아보기 876
요제오복도>
왕궁오문>
정전도>
율려상생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