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발, 부처님 발우 이야기

도서명:불발, 부처님 발우 이야기
저자/출판사:권오민/운주사
쪽수:544쪽
출판일:2024-05-10
ISBN:9788957467695
목차
머리말·5
제1장 트라푸사와 발리카 두 상인의 첫 공양 19
1. 두 상인의 음식 공양 20
2. 최초의 불제자, 트라푸사와 발리카 29
1) 박트리아 출신의 상단 행수 29
2) 최초의 공양 35
3) 최초로 성불의 기별을 받은 자 41
4) 현성으로서의 두 상인 50
3. 최초의 불탑 건립 54
1) 불조탑(佛爪塔)과 불발탑(佛髮塔) 54
2) 여래의 머리카락 인연 58
3) 최초의 불탑 64
4. 동남아시아에서의 타풋사와 발리카 67
제2장 사천왕의 발우 봉납 73
1. 사천왕, 부처님께 발우를 바치다 74
1) 삼의일발(三衣一鉢) 74
2) 사천왕의 돌 발우 봉납 80
2. 사천왕, 그들은 누구인가? 91
1) 호세(護世)의 왕 91
2) 불전에서의 사천왕 96
3) 사천왕과 봉발(奉鉢) 104
3. 부처의 발우와 비구의 발우 110
1) 『사분율』 등 율장에서의 돌 발우 110
2) 돌 발우의 이중성 114
4. 사천왕이 바친 발우의 행방 118
1) 바이샬리 사람들과의 이별 선물 118
2) 『방광대장엄경』에서의 불발과 그 행방 125
제3장 나이란자나 강가 마을 여인의 공양 129
1. 고행의 포기 130
1) 고행에 대한 다양한 관점 130
2) 불교 수행법으로서의 고행 136
3) 단식(斷息)과 단식(斷食)의 고행 140
4) 난행으로서의 고행 144
2. 나이란자나 강가 마을 여인의 공양 148
1) 고행 후 ‘우유죽 공양’의 전승 문제 148
2) 고행 전후의 공양 151
3) 16전(轉)의 우유죽 공양 154
3. 금 발우와 공양 이후의 행방 169
1) 금 발우 공양 169
2) 금 발우의 행방 172
3) 역류의 기적 177
4. 축원과 이후의 이야기 181
제4장 불발, 간다라로 옮겨가다 189
1. 푸루샤푸르의 불발 189
2. 카니시카 왕과 불발 194
1) 다양한 이민족의 도래 194
2) 카니시카 왕의 파탈리푸트라 원정 199
3) 세 가지 보배 202
3. 카니시카 왕과 불교 211
1) 전단 왕(旃檀王) 카니시카 211
2) 카니시카 왕과 불교 215
3) 비유문학에서의 카니시카 왕 224
제5장 간다라의 불발 신앙 233
1. 간다라의 ‘이야기 불교’ 233
1) 법성(혹은 正理)의 불교와 이야기(譬喩) 불교 233
2) 『찬집백연경』의 첫 번째 이야기 240
2. 간다라에서의 불발 이해 244
1) 음식에 대한 다른 이해 244
2) 음식을 담는 그릇과 법을 담는 그릇 247
3) 간다라에서의 불발신앙 250
3. 구법승들의 불발 예배 255
4. 간다라 미술과 불발 263
1) 이야기의 조형화 263
2) 간다라의 불발 관련 도상 269
제6장 불발의 파괴와 정법 멸진 283
1. 정법의 멸진 284
1) 시대에 따른 정법의 쇠퇴 284
2) 이방의 무법 왕들의 정법 파괴 288
2. 불발의 파괴와 정법 멸진 292
1) 미히라쿨라의 불발 파괴 292
2) 『대당서역기』에서의 미히라쿨라 294
3) 『부법장인연전』에서의 미히라쿨라 304
3. 불발의 파괴와 말법사상 311
1) 『연화면경』에서의 말법 311
2) 깨어진 불발 315
4. 동아시아에서의 ‘깨어진 불발’ 318
제7장 불발의 유전과 미륵불의 불발 예배 325
1. 파르샤(페르시아)의 불발 326
1) 『대당서역기』에서의 불발의 행방 326
2) 카불 박물관의 불발 329
3) 신앙대상으로서의 불발 336
2. 불발의 유전과 찬탄 341
1) 불발의 복원 341
2) 『연화면경』에서의 불발의 유전과 찬탄 344
3. 미륵불의 출현과 불발 예배 359
1) 미륵불의 불발 예배 359
2) 동아시아에서의 불발탑 조성과 예배 364
제8장 미륵세존과 불발 373
1. 미륵불과 불발 374
2. 석가세존의 메신저, 마하가섭 376
1) 가섭, 그는 누구인가? 376
2) 전법의 신표 384
3. 마하가섭의 열반 이야기 389
1) 계족산에서의 열반 389
2) 미륵불과 마하가섭의 만남 393
3) 『대당서역기』에서의 계족산 이야기 403
4. 선종에서의 전등(傳燈)과 의발(衣鉢) 408
제9장 반야바라밀다와 불발 419
1. 반야바라밀다와 불발 420
1) 『반야경』에서의 불발 420
2) 『대지도론』에서의 발우 이야기 425
2. 문수보살의 불발 찾기 433
1) 불가득의 반야바라밀다 433
2) 부처님께서 발우를 내려놓은 이야기 436
3. 성문의 발우와 보살의 발우 451
1) 『보초삼매경』에서의 공양 이야기 451
2) 『유마경』에서의 공양 이야기 459
3) 『보장경』에서의 공양 이야기 462
4. 불발은 어디 있는가? 471
제10장 우리나라의 불발 477
1. 통도사 봉발탑 478
2. 흥덕사의 청동 불발 484
3. 백제의 불발 489
1) 백제 석조 489
2) 공주지역과 불발신앙 498
4. 법주사의 석련지와 희견보살상 503
1) 석련지는 연꽃을 띄우는 용기인가? 503
2) 희견보살상과 용화보전 510
3) 법주사와 불발 517
5. 금산사 미륵전의 철수미좌 524
참고자료·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