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에 대한 성찰과 전망

도서명:예술에 대한 성찰과 전망
저자/출판사:김광명/학연문화사
쪽수:600쪽
출판일:2023-08-16
ISBN:9788955084955
목차
책 머리에 / 8
1장 | 다시 ‘철학함’의 의미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일상적 삶의 예술
1. 들어가는 말 / 15
2. 다시 ‘철학함’의 의의와 본질 / 17
3.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서의 예술 / 22
4. 비대면의 대면이 된 일상의 미적 의미 / 27
5.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공감과 소통 / 38
2장 | 한국미와 미적 이성의 문제 - 관조와 무심,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51
2. 한국미의 개념과 미의식 / 53
3. 한국미의 특성: 관조와 무심의 경지 / 60
4. 감정의 보편적 전달가능성: 공감과 소통 / 68
5. 맺는 말 / 74
3장 | 예술에서의 ‘우연’의 문제와 의미
1. 들어가는 말 / 83
2. 우연의 학적 의미 / 88
1) 생명현상과 우연 / 88
2) 자연과 역사에서의 우연의 개입 / 96
3. 예술에서의 우연의 등장과 의미 / 101
1) 미적 우연과 진리 / 101
2)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서의 우연의 의미 / 110
3) 우연의 효과와 기법 / 119
4. 맺는 말 / 124
4장 | 예술에서의 미적 자유와 상상력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43
2. 미적 자유와 미적 거리 / 145
3. 미적 자유와 유희 / 152
4. 미적 자유와 상상력 / 162
5. 미적 ‘아우라’와 자유연상 / 171
6. 맺는 말 / 181
5장 | 컨템포러리 아트의 의미와 미적 지향성
1. 컨템포러리 아트의 의미 / 191
2. 컨템포러리 아티스트들의 시각과 표현 / 205
3. 컨템포러리 아트의 미적 지향성 / 223
6장 | 지구미학의 문제와 전망
1. 들어가는 말 / 251
2. 예술과 지질학의 관계: 지질학 속의 예술 또는 예술 속의 지질학 / 256
3. 자연에 대한 지질학적 인식과 환경미학에서의 자연 인식 / 272
4. 예술 작품을 통한 지구 미학적 접근: 이사무 노구치와 마야 린, 김홍태, 그리고 정소영
의 경우 / 280
5. 맺는 말 / 288
7장 | 놀이적 상상력과 생명의 근원
1. 놀이적 상상력이 극대화되는 ‘아름다운 순간’: 박상천의 작품세계 / 301
2. 생명의 ‘근원’에 다가가는 원근(遠近)의 대비와 조화: 박은숙의 작품세계 / 320
3. 생성과 소멸의 변주: ‘빛과 그림자’의 명암으로 본 작가: 박현수의 작품세계 / 332
8장 | 일상의 삶과 자연
1. 일상의 삶과 자연에 내재된 숨은 질서와 조화 :석철주의 작품세계 / 352
2. 삶의 길에 펼쳐진 빛과 희망의 메시지 : 이영희의 작품세계 / 368
3. 미적 감성을 통한 자연의 내면에 대한 온전한 이해: 최장칠의 작품세계 / 379
4. 삶과 자연의 풍경에 내재된 기억: 전이환의 작품세계 / 395
9장 | 관계의 교감과 소통
1. 관계의 교감과 소통의 미학: 이목을의 삶과 작품세계 / 410
2. 흘러내림의 물성(物性)과 관계의 미학: 이재옥의 작품세계 / 431
3. 위로와 치유의 모색: 김다영의 〈시들지 않는 꽃집〉 / 441
4. 대립과 공존의 미학적 모색: 김인의 작품세계 / 451
10장 | 미적 구성의 의미
1. 평면에 담긴 공간의 시각적 깊이와 미적 구성 : 이태현의 작품세계 / 462
2. ‘Work’ 연작에서 색에 의한 면 구성의 미적 의미: 김영철의 작품세계 / 479
3. 우연에서의 질서와 조화: 화산 강구원의 작품세계 / 494
11장 | 미래에의 전망 - ‘뉴 퓨처리즘 New Futurism’: 황은성의 작품세계
1. 들어가는 말 : 예술의지와 연관하여 / 513
2. 예술세계에 담긴 종교성과 기독교적 의미 / 518
3. 새로운 미래주의의 내용과 의미 / 526
4. 유기적 형상들의 상징성 / 536
5. 정서적 공감과 가치의 공유로서의 예술 / 542
글의 출처 / 557
참고문헌 / 559
찾아보기 /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