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종족집단연구

도서명:한국종족집단연구
저자/출판사:이창기/경인문화사
쪽수:372쪽
출판일:2023-12-29
ISBN:9788949967721
목차
머리말
제1장 : 종족집단의 기초 이해
Ⅰ. 종족집단의 개념
Ⅱ. 종족집단의 결합범위와 조직
Ⅲ. 종족집단의 기능
Ⅳ. 주요 용어의 검토
제2장 : 한국 종족집단의 연구사
Ⅰ. 서론
Ⅱ. 일제강점기의 한국 종족마을 연구(1930~1945)
Ⅲ.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종족집단 연구(1960~1979)
Ⅳ.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종족집단 연구(1980~1999)
Ⅴ. 2000년 이후의 종족집단 연구(2000~2020)
Ⅵ. 평가와 과제
제3장 : 종법의 수용과 종족집단의 조직화
Ⅰ. 머리말
Ⅱ. 종법 도입 이전의 한국 가족제도: 부계 혈연집단의 미조직화
Ⅲ. 성리학의 도입과 종법제도의 정착
Ⅳ. 조선 중기 한국 가족제도의 변화
Ⅴ. 조선 후기 한국 가족제도의 특징
Ⅵ. 맺는 말
제4장 : 한국 종족집단의 구성원리
Ⅰ. 머리말
Ⅱ. 종족의식의 구체적 내용
Ⅲ. 종족조직의 활성화 조건
Ⅳ. 맺는 말
제5장 : 삼성종족마을의 혼인연대
Ⅰ. 서론
Ⅱ. 세 성씨의 원구리 정착 과정과 종족 정체성
Ⅲ. 세 성씨의 혼인관계
Ⅳ. 동제와 줄다리기에서 나타나는 종족 간의 경쟁과 협동
Ⅴ. 맺는 말
제6장 : 종족구성과 마을조직
Ⅰ. 서론
Ⅱ. 조사 대상 마을의 종족구성
Ⅲ. 마을의 사회조직 양상: 동제조직・장례조직・노인들의 교유관계
Ⅳ. 종족구성과 마을조직의 특징
제7장 : 종족집단의 계보조직과 지역조직
Ⅰ. 서론
Ⅱ. 계보조직과 지역조직
Ⅲ. 벽진이씨 대종회
Ⅳ. 벽진이씨 대구화수회
Ⅴ. 계보조직(대종회)과 지역조직(화수회)의 특징
Ⅵ. 결론
제8장 : 종족집단 간의 친화관계
Ⅰ. 서론
Ⅱ. 종족집단 간의 친화관계
Ⅲ. 종족집단 간 친화관계의 형성요인
제9장 : 산업화 시기 종족집단의 변화
Ⅰ. 서론
Ⅱ. 종족조직의 변화
Ⅲ. 종족기능의 변화
Ⅳ. 요약과 결론
제10장 : 21세기 한국 종족집단의 변화와 장래 전망
Ⅰ. 서론
Ⅱ. 종족의식의 변화
Ⅲ. 종족조직의 변화
Ⅳ. 문중재산의 변화: 전답과 임야에서 수익성 부동산으로
Ⅴ. 출산율 저하와 종족집단의 미래
Ⅵ. 종족 활동의 양극화: 쇠퇴와 부흥의 이중주
부론 : 지역적 통혼권 연구의 비판적 검토
Ⅰ. 문제의 제기
Ⅱ. 지역적 통혼권의 연구 경향
Ⅲ. 행정구역별 통혼권 분석의 문제점
Ⅳ. 새로운 방법 모색을 위한 논의들
Ⅴ. 생활권과 통혼권
Ⅵ.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 종족집단 문헌목록
찾아보기